•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 8 인수분해 공식의 활용

01

xÛ`-x=A로 치환하면

AÛ`-8A+12 =(A-2)(A-6)

=(xÛ`-x-2)(xÛ`-x-6)

=(x+1)(x-2)(x+2)(x-3) ∴ a+b+c+d=1+(-2)+2+(-3)=-2

02

x+5y=A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 =A(A-2)+(A-12)

=AÛ`-A-12

=(A-4)(A+3)

=(x+5y-4)(x+5y+3) 따라서 인수인 것을 모두 고르면 ③, ⑤이다.

 (x-2)(2x+9)

 x+4

 4x+12

 -2

 ③, ⑤

04

0<a<1이므로 a+ 1a >0, a-1 a <0 ∴ (주어진 식) =¾Ð{a- 1a}2`+¾Ð{a+1

a }2`

=-{a- 1a}+{a+1 a }

= 2a

05

8xÛ`-50yÛ` =2(4xÛ`-25yÛ`)

=2{(2x)Û`-(5y)Û`}

=2(2x+5y)(2x-5y) 따라서 A=2, B=2, C=-5이므로 A+B+C=2+2+(-5)=-1

06

aÝ`-81 =(aÛ`+9)(aÛ`-9)

=(aÛ`+9)(a+3)(a-3)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①이다.

07

xÛ`+6x-27=(x+9)(x-3)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x+9)+(x-3)=2x+6

08

⑤ (x-2)+(2x-xÛ`) =(x-2)-x(x-2)

=(x-2)(1-x)

09

① 9aÛ`-6ab+bÛ`=(3a-b)Û`이므로 =3 ② xÛ`+14xy+49yÛ`=(x+7y)Û`이므로 =7 ③ 3xÛ`+5x-2=(x+2)(3x-1)이므로 =2 ④ 25aÛ`-16bÛ`=(5a+4b)(5a-4b)이므로 =4 ⑤ xÛ`-8xy+12yÛ`=(x-6y)(x-2y)이므로 =6 따라서  안에 알맞은 수가 가장 작은 것은 ③이다.

10

① xÛ`+2x+1=(x+1)Û`

② xÛ`-1=(x+1)(x-1) ③ 2xÛ`+x-1=(2x-1)(x+1) ④ xÛ`-4x-5=(x+1)(x-5) ⑤ xÛ`+2x-3=(x+3)(x-1)

따라서 x+1을 인수로 갖지 않는 다항식은 ⑤이다.

11

3xÛ`-2x-1=(3x+1)(x-1)

3xÛ`y-3y=3y(xÛ`-1)=3y(x+1)(x-1) 세 다항식의 공통인수는 x-1이므로

2xÛ`-4x+a=(x-1)(2x+m)`(m은 상수)으로 놓으면 2xÛ`-4x+a=2xÛ`+(m-2)x-m이므로

m-2=-4 ∴ m=-2 -m=a이므로 a=2

;a@;

 -1

 ①

 2x+6

 ⑤

 ③

 ⑤

 2

중3해설.indb 57 20. 10. 13. 오후 12:42

11

x=2-1'3=(2-'3)(2+'3)2+'3 =2+'3, y= 1

2+'3= 2-'3

(2+'3)(2-'3)=2-'3이므로 x-y=(2+'3)-(2-'3)=2'3

∴ (주어진 식) =9-(xÛ`-2xy+yÛ`)=9-(x-y)Û`

=9-(2'3)Û`=-3

12

ax+bx-ay-by =ax+bx-(ay+by)

=(a+b)x-(a+b)y

=(a+b)(x-y)=20

이때 a+b=5이므로 5(x-y)=20 ∴ x-y=4 ∴ xÛ`-2xy+yÛ`=(x-y)Û`=4Û`=16

13

두 정사각형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40이므로 4x+4y=40 ∴ x+y=10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차가 20이므로 xÛ`-yÛ`=20, (x+y)(x-y)=20 10(x-y)=20 ∴ x-y=2

14

xÜ`-xÛ`y-x+y=xÛ`(x-y)-(x-y)=(x-y)(xÛ`-1)

=(x-y)(x+1)(x-1)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 x-y이므로 겉넓이는 2{(x-y)(x+1)+(x-y)(x-1)+(x+1)(x-1)}

=2{(xÛ`-xy+x-y)+(xÛ`-xy-x+y)+(xÛ`-1)}

=2(3xÛ`-2xy-1)=6xÛ`-4xy-2

15

점 D는 ACÓ의 중점이므로 ADÓ= a+b2 , DBÓ=a-a+b

2 =a-b 2 ∴ SÁ-Sª‌‌={ a+b2 }2`-{a-b

2 }2`

={ a+b2 +a-b 2 }{a+b

2 -a-b 2 }=ab

01020304 6

05 06 07 08 -39

09x=- 32 또는 x=-1 10 11 12 13 2 14 15

워크북 018 ~ 019

0 9 이차방정식의 풀이

 ②

 16

 2

 ②

 ①

03

x+y=A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2AÛ`-5A-18=(2A-9)(A+2) 이때 주어진 식의 값이 소수가 되려면 2A-9=1 또는 A+2=1이어야 한다.

Ú 2A-9=1일 때, A=5

Û A+2=1일 때, A=-1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x+y=A이므로 x+y=5를 만족하는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는 (1, 4), (2, 3), (3, 2), (4, 1)의 4개이다.

04

(주어진 식) ={(x-1)(x+6)}{(x+1)(x+4)}+a

=(xÛ`+5x-6)(xÛ`+5x+4)+a 이때 xÛ`+5x=A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A-6)(A+4)+a=AÛ`-2A-24+a 이 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24+a={ -22 }2`=1 ∴ a=25

05

(주어진 식) =3xy-3y+4x-4

=3y(x-1)+4(x-1)

=(x-1)(3y+4) 따라서 a=-1, b=3, c=4이므로 a+b-c=-1+3-4=-2

06

(주어진 식) =xÛ`-(yÛ`-2yz+zÛ`)

=xÛ`-(y-z)Û`

={x+(y-z)}{x-(y-z)}

=(x+y-z)(x-y+z)

07

(주어진 식) =2xÛ`+3xy+yÛ`-y-2

=2xÛ`+3yx+(y-2)(y+1)

=(2x+y-2)(x+y+1)

따라서 두 일차식은 2x+y-2, x+y+1이므로 두 일차식의 합은 (2x+y-2)+(x+y+1)=3x+2y-1

08

880_884+880_6

885Û`-5Û` = 880_(884+6)

(885+5)(885-5)

= 880_890890_880 =1

09

f(x)= xÛ`-1

xÛ` =(x-1)(x+1)

x_x 이므로

(주어진 식) = 2_43_3 _3_5

4_4 _y_ 9_11

10_10 _10_12 11_11

= 23 _12 11 = 8

11

10

x+y=1+'3+'3-1=2'3, xy=(1+'3)('3-1)=2이므로 xÛ`+4xy+yÛ` =(x+y)Û`+2xy

=(2'3)Û`+2_2

=12+4=16

 4개

 25

 -2

 ⑤

 ④

 1

 ⑤

 ⑤

중단원 Test

059

그런데 a-2+0, 즉 a+2이어야 하므로 a=3

xÛ`+12x-13=0에서 (x-1)(x+13)=0 ∴ x=1 또는 x=-13

따라서 b=-13이므로 ab=3_(-13)=-39

09

x=3을 xÛ`+px-24=0에 대입하면 9+3p-24=0, 3p=15 ∴ p=5 x=3을 xÛ`-4x+q=0에 대입하면 9-12+q=0 ∴ q=3

2xÛ`+5x+3=0에서 (2x+3)(x+1)=0x=- 32 또는 x=-1

10

① (x+3)(x-3)=0 ∴ x=-3 또는 x=3 ② (3x-1)Û`=0 ∴ x= 13

xÛ`-x-2=0에서 (x+1)(x-2)=0

∴ x=-1 또는 x=2

xÛ`-16=0에서 (x+4)(x-4)=0

∴ x=-4 또는 x=4

xÛ`+6x-16=0에서 (x+8)(x-2)=0

∴ x=-8 또는 x=2 따라서 중근을 갖는 것은 ②이다.

11

4={ 3m+12 }2`이므로 9mÛ`+6m-15=0 3mÛ`+2m-5=0, (3m+5)(m-1)=0 ∴ m=1 (∵ m은 양수)

12

2(x+a)Û`=14에서 (x+a)Û`=7 x+a=Ñ'7 ∴ x=-aÑ'7

따라서 a=3, b=7이므로 b-a=7-3=4

13

(x-5)Û`=2k에서 x-5=Ñ'2Œk ∴ x=5Ñ'2Œk 이때 서로 다른 두 근이 정수가 되려면 2k는 제곱수이어야 한다.

2k=1, 4, 9, 16, y ∴ k= 12, 2, 9 2 , 8, y 따라서 자연수 k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2이다.

14

3xÛ`+12x-6=0의 양변을 3으로 나누면 xÛ`+4x-2=0, xÛ`+4x=2

xÛ`+4x+4=2+4, (x+2)Û`=6 x+2=Ñ'6 ∴ x=-2Ñ'6 따라서 A=4, B=4, C=2, D=6이므로 A+B+C-D=4+4+2-6=4

 -39

 x=-;2#; 또는 x=-1

 ②

 ③

 ⑤

 2

 ②

01

ㄱ. 이차식

ㄴ. 이차방정식이 아니다.

ㄷ. 이차방정식

ㄹ. 2xÛ`-x=0 (이차방정식) ㅁ. xÛ`-2x+1=0 (이차방정식) ㅂ. -4x+4=0 (일차방정식) 따라서 이차방정식은 ㄷ, ㄹ, ㅁ이다.

02

① (-2)Û`+2+0 ② 3Û`+3-6+0 ③ -3_(-3+3)+10 ④ 3Û`+7_3=5_(3+3) ⑤ {- 12-4}_[2_{-1

2 }-1]+0

따라서 [ ] 안의 수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인 것은 ④이다.

03

x=a를 xÛ`+2x-4=0에 대입하면 aÛ`+2a-4=0 ∴ aÛ`+2a=4 x=b를 2xÛ`-3x-6=0에 대입하면 2bÛ`-3b-6=0 ∴ 2bÛ`-3b=6

∴ 2aÛ`-2bÛ`+4a+3b =2(aÛ`+2a)-(2bÛ`-3b)

=2_4-6=2

04

x=a를 xÛ`-2x-1=0에 대입하면 aÛ`-2a-1=0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a-2- 1a=0 ∴ a-1 a =2 ∴ aÛ`+ 1aÛ`={a- 1a}2`+2=2Û`+2=6

05

①, ②, ③, ⑤ x=- 12 또는 x=1

3 ④ x=-2 또는 x=2

06

2xÛ`-6=x-3에서 2xÛ`-x-3=0

(x+1)(2x-3)=0 ∴ x=-1 또는 x= 32

07

xÛ`-6x-16=0에서 (x+2)(x-8)=0 ∴ x=-2 또는 x=8

2xÛ`+x-6=0에서 (2x-3)(x+2)=0 x= 32 또는 x=-2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은 x=-2이다.

08

x=1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대입하면 a-2+aÛ`+3-6a+5=0, aÛ`-5a+6=0 (a-2)(a-3)=0 ∴ a=2 또는 a=3

 ③

 ④

 ②

 6

 ④

 ③

 ①

중3해설.indb 59 20. 10. 13. 오후 12:42

04

12 xÛ`-56 x-13 =0의 양변에 6을 곱하면 3xÛ`-5x-2=0, (x-2)(3x+1)=0x=2 또는 x=- 13

0.2xÛ`-0.1x-0.6=0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2xÛ`-x-6=0, (x-2)(2x+3)=0x=2 또는 x=- 32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근은 x=2이다.

05

x-2y=A로 놓으면 (A-1)(A+3)=-4 AÛ`+2A+1=0, (A+1)Û`=0 ∴ A=-1 따라서 x-2y=-1이므로

2x-4y=2(x-2y)=2_(-1)=-2

06

① (-14)Û`-4_1_49=0  1개 ② 1Û`-4_1_5=-19<0  0개 ③ 3Û`-4_1_1=5>0  2개

④ (-2)Û`-4_3_(-2)=28>0  2개

6xÛ`-5x+1=0에서 (-5)Û`-4_6_1=1>0  2개 따라서 해가 없는 것은 ②이다.

07

(2m)Û`-4_1_(6m-5)=0이므로 4mÛ`-24m+20=0, mÛ`-6m+5=0 (m-1)(m-5)=0 ∴ m=1 또는 m=5 따라서 모든 상수 m의 값의 합은 1+5=6

08

두 근이 -7, 4이고 xÛ`의 계수가 2인 이차방정식은 2(x+7)(x-4)=0, 2(xÛ`+3x-28)=0 ∴ 2xÛ`+6x-56=0

09

3-21'2= 3+2'2

(3-2'2)(3+2'2)=3+2'2이므로 다른 한 근 은 3-2'2이다.

10

-3과 2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3)(x-2)=0 ∴ xÛ`+x-6=0

즉 처음 이차방정식의 상수항은 -6이다.

-1과 2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1인 이차방정식은 (x+1)(x-2)=0 ∴ xÛ`-x-2=0

즉 처음 이차방정식의 x의 계수는 -1이다.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은 xÛ`-x-6=0이다.

11

연속하는 세 짝수를 x-2, x, x+2라고 하면 (x+2)Û`=(x-2)Û`+xÛ`-84

xÛ`-8x-84=0, (x+6)(x-14)=0 ∴ x=14`(∵ x는 자연수)

따라서 연속하는 세 짝수는 12, 14, 16이다.

 x=2

 -2

 ②

 ⑤

 2xÛ`+6x-56=0

 3-2'2

 ②

 12, 14, 16

15

① (x-1)Û`=0이므로 중근 x=1을 가진다.

② 5-k>0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가진다.

(x-1)Û`=3에서 x=1Ñ'3이므로 무리수인 두 근을 가진 다.

(x-1)Û`=9에서 x=-2 또는 x=4이므로 정수인 두 근을 가진다.

(x-1)Û`=5에서 x=1Ñ'5이므로 무리수인 두 근을 가진 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01 02 03 04 x=2

05 -2 0607

08 2xÛ`+6x-56=0 09 3-2'2 10 11 12, 14, 16 12 9세 131415

워크북 020 ~ 021

10 이차방정식의 활용

01

3xÛ`+4x+p=0에서 x=-2Ñ"Ã2Û`-3_p

3 =-2Ñ'Ä4-3p 3

따라서 q=-2, 4-3p=10에서 p=-2이므로 p+q=-2+(-2)=-4

02

xÛ`-5x+2=0에서

x=-(-5)Ñ"Ã(-5)Û`-4_1_2

2_1 =5Ñ'1Œ7 2 따라서 k=5-'1Œ7

2 이므로 4k-3 =4_5-'1Œ7

2 -3=10-2'1Œ7-3

=7-2'1Œ7

03

0.3x+ 45 (xÛ`+1)=xÛ`+1

2 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3x+8(xÛ`+1)=10xÛ`+5

3x+8xÛ`+8=10xÛ`+5, 2xÛ`-3x-3=0 ∴ x=-(-3)Ñ"Ã(-3)Û`-4_2_(-3)

2_2 =3Ñ'3Œ3 4 따라서 a=3, b=33이므로 b-a=33-3=30

 ⑤

 ①

 ③

 ⑤

중단원 Test

061 02

① y=x(x-10)=xÛ`-10x (이차함수)

② y=6xÛ` (이차함수) ③ y=pxÛ` (이차함수) ④ y=3x (일차함수)

⑤ y=x(x+2)=xÛ`+2x (이차함수) 따라서 이차함수가 아닌 것은 ④이다.

03

y=2xÛ`-4-ax(1-x)=(2+a)xÛ`-ax-4가 이차함수이 려면 2+a+0 ∴ a+-2

04

f(1)=2_1Û`+3_1-5=2+3-5=0 f(2)=2_2Û`+3_2-5=8+6-5=9 ∴ f(1)+f(2)=0+9=9

05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 중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는 ③ y= 12 xÛ` ④ y=3

4 xÛ` ⑤ y=2xÛ`

이 중 폭이 가장 넓은 것은 xÛ`의 계수의 절댓값이 가장 작은 것 으로 ③ y= 12 xÛ`이다.

06

④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와 y=-axÛ`의 그래프는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ㄷ과 ㅁ이 x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07

y=axÛ`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2=a_(-1)Û` ∴ a=2

즉 y=2xÛ`의 그래프가 점 (2, b)를 지나므로 b=2_2Û`=8 ∴ ba=8

2 =4

08

y=4xÛ`의 그래프가 점 (-2, a)를 지나므로 a=4_(-2)Û`=16

y=4xÛ`의 그래프는 y=-4xÛ`의 그래프와 x축에 대하여 대칭 이므로 b=-4

∴ a-b=16-(-4)=20

09

이차함수의 식을 f(x)=axÛ`으로 놓으면 y=f(x)의 그래프가 점 (-2, 6)을 지나므로 f(-2)=a_(-2)Û`=6 ∴ a= 32 따라서 f(x)= 32xÛ`이므로

f(6)= 32_6Û`=54

 ④

 ①

 9

 ③

 ④

 4

 20

 54

12

동생의 나이를 x세라고 하면 형의 나이는 (x+7)세이므로 (x+7)Û`=3xÛ`+13

xÛ`-7x-18=0, (x+2)(x-9)=0 ∴ x=9`(∵ x>0)

따라서 동생의 나이는 9세이다.

13

55t-5tÛ`=90에서 tÛ`-11t+18=0 (t-2)(t-9)=0 ∴ t=2 또는 t=9

따라서 물 로켓을 쏘아 올린 지 2초 후 또는 9초 후이다.

14

처음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길이를 x`cm라고 하면 상자의 밑면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x-10)`cm이므 로

5(x-10)Û`=200

(x-10)Û`=40, x-10=Ñ2'1Œ0 ∴ x=10+2'1Œ0`(∵ x>10)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한 변의 길이는 (10+2'1Œ0)`cm이다.

15

x초 후에 처음 직사각형 ABCD와 넓이가 같아진다고 하면 (10+2x)(14-x)=10_14

xÛ`-9x=0, x(x-9)=0 ∴ x=9`(∵ 0<x<14)

따라서 처음 직사각형 ABCD와 넓이가 같아지는 것은 9초 후 이다.

01 3개 02 03 04 9 05 06 07 4 08 20 09 54 10 11 11 12 3

13 14 1 15 16

워크북 022 ~ 02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