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구통계학 특성별 정책 만족도

문서에서 産業 認識 (페이지 98-102)

4. 골프산업 인식에 따른 산업정책 만족도

4.3 골프산업 정책에 대한 만족도 고찰

4.3.1 인구통계학 특성별 정책 만족도

성별에 따른 산업정책 만족도 차이의 분석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12와 같다.

구 분 응답자

(N)

평균 (M)

편차

(SD) t-value 인프라

구축

남 706 3.57 0.70

11.866 ***

여 184 2.90 0.62

정보기술 개발

남 706 3.84 0.83

10.218 ***

여 184 3.14 0.80

시장확대/

투자유치

남 706 3.64 0.67

12.297 ***

여 184 2.99 0.52

***p<.001

표 4.12 성별에 따른 산업정책의 만족도

인프라 구축에서 남자의 평균은 M=3.57, 여자의 평균은 M=2.90로 나타났고, 정보기술개발에서는 남자의 평균은 M=3.84, 여자의 평균은 M=3.14로 나타났으 며,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서는 남자의 평균은 M=3.64, 여자의 평균은 M=2.99로 나타났다. 이때 인프라 구축의 t값이 11.866, 정보기술개발의 t값이 10.218, 문화성의 t값이 10.127, 국제교류성의 t값이 12.187로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p<.001)가 나타났다.

가설을 검증을 위한 t-검증 분석 결과, 인프라 구축, 정보기술개발,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의 모든 요인에서 남자 응답자가 여자 응답자보다 골프산업에 대한 정책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산업정책 만족도의 차이의 분석은 표 4.13과 같다.

구 분 응답자

(N)

평균 (M)

편차

(SD) t-value Scheffe

인프라 구축

1 30대 이하 199 2.62 0.12

372.975*** 4>3>2>1 2 40대 305 3.16 0.75

3 50대 322 4.07 0.12 4 60대 이상 64 4.10 0.17

정보기술 개발

1 30대 이하 199 2.94 0.53

318.843*** 3>4>2>1 2 40대 305 3.21 0.79

3 50대 322 4.49 0.27 4 60대 이상 64 4.30 0.25

시장확대/

투자유치

1 30대 이하 199 2.71 0.21

362.158*** 3>4>2>1 2 40대 305 3.30 0.69

3 50대 322 4.11 0.15 4 60대 이상 64 4.00 0.17

***p<.001

표 4.10 연령에 따른 산업정책의 만족도

인프라 구축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60대 이상으로 평균이 M=4.10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연령대는 30대 이하로 평균이 M=2.62 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로 평균이 M=4.49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연령대는 30대 이하로 평균이 M=2.94로 나타 났으며,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로 평균이 M=4.11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연령대는 30대 이하로 평균이

M=2.71로 나타났다. 이때 F값은 각각 369.648, 345.731, 358.928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1).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인프라 구축에서는 60대 이상이 50대, 40대, 30대 이 하보다 산업정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과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서는 50대가 60대 이상, 40대, 30대 이하보다 산업정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수입에 따른 산업정책 만족도의 차이의 분석은 표 4.14와 같다.

구 분 응답자

(N)

평균 (M)

편차

(SD) F-value Scheffe

인프라 구축

1 200만원 이하 125 2.38 0.27

699.044*** 4>3>5>2>1 2 200-400만원 158 2.65 0.07

3 400-600만원 123 3.74 0.55 4 600-800만원 338 4.05 0.15 5 800만원 이상 146 3.54 0.66

정보기술 개발

1 200만원이하 125 2.71 0.36

397.544*** 4>5>3>1 2 200-400만원 158 2.72 0.52

3 400-600만원 123 3.85 0.62 4 600-800만원 338 4.40 0.38 5 800만원 이상 146 3.84 0.78

시장확대/

투자유치

1 200만원 이하 125 2.62 0.09

600.934*** 4>3>5>1 2 200-400만원 158 2.73 0.23

3 400-600만원 123 3.79 0.56 4 600-800만원 338 4.10 0.16 5 800만원 이상 146 3.52 0.64

***p<.001

표 4.14 월수입에 따른 산업정책의 만족도

인프라 구축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600~800만원 (M=4.05)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200만원 이하(M=2.38)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600~800만원 (M=4.40)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200만원 이하(M=2.71)로 나타났다.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 따라 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600~800만원 (M=4.10)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200만원 이하(M=2.62)로 나타났다.

이때 F값은 각각 699.044, 397.544, 600.934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1).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인프라 구축에서는 600~800만원, 400~600만원, 800만 원 이상, 200~400만원, 200만원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에서는 600~800만원, 800만원 이상, 400~600만원, 200만원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서는 600~800만원, 400~600만원, 800만원 이상, 200만원 이 하 순으로 차이가 나타나 월수입이 높을수록 산업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 경력에 따른 산업정책 만족도의 차이의 분석은 표 4.15와 같다.

인프라 구축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집단은 10년 이상 (M=4.12)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1~3년(M=2.47)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10년 이상(M=4.66) 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1년 미만(M=2.70)으로 나타났다.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 따라 산업정책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집단은 7~9년 (M=4.11)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집단은 1년 미만(M=2.68)으로 나타났다. 이때 F값은 각각 541.683, 739.915, 400.368로 통계적인 의미 차이가 있었다(p<.001).

Scheffe 사후검증 결과 인프라 구축에서는 10년 이상이 7~9년, 4~6년, 1년 미 만, 1~3년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개발에서는 10년 이상이 4~6년, 7~9년, 1~3 년, 1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장 확대 및 투자유치에서는 7~9년이 10년 이상, 4~6년, 1년 미만 순 으로 차이가 나타나 골프경력이 높을수록 산업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구 분 응답자 (N)

평균 (M)

편차

(SD) F-value Scheffe

인프라 구축

1 1년 미만 190 2.65 0.12

541.683*** 5>4>3>1>2 2 1~3년 166 2.47 0.25

3 4~6년 73 3.90 0.45 4 7~9년 308 4.00 0.14 5 10년 이상 153 4.12 0.15

정보기술 개발

1 1년 미만 190 2.70 0.43

739.915*** 5>3>4>2>1 2 1~3년 166 2.86 0.50

3 4~6년 73 4.21 0.70 4 7~9년 308 4.16 0.35 5 10년 이상 153 4.66 0.20

시장확대/

투자유치

1 1년 미만 190 2.68 0.16

400.368*** 4>5>3>1 2 1~3년 166 2.70 0.18

3 4~6년 73 3.96 0.48 4 7~9년 308 4.11 0.13 5 10년 이상 153 4.00 0.14

***p<.001

표 4.15 골프경력에 따른 산업정책의 만족도

문서에서 産業 認識 (페이지 98-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