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름에 나타난 조어․음운적 특징과 형상

문서에서 수 관련 지명형태소에 대하여 (페이지 59-65)

About the Place-name morpheme related to number - Focused on Chungnam area

4. 이름에 나타난 조어․음운적 특징과 형상

4.1. 생일도 지명에 나타난 조어적 특징

생일도 바닷가 지명을 정리하여 서성리 11개, 유촌리 11개, 금 곡리 15개, 용출리와 굴전리 8개 등을 분류해 보면 ‘골창’만 단일어 이고 대부분 합성어다. 18개의 산 지명도 모두 합성어이다.

조어적 특징으로는 혼종어와 고유어 지명이 있다. 한자어가 섞인 혼종어에 해당하는 ‘龍두리(끝)’, ‘常綠바구’, ‘응달(陰-)’, ‘望바구’ 등 이다. 나머지는 모두 고유어 지명이다.

생일도 산지명은 18개를 정리하였다. 산 지명은 ‘산’, ‘재’, ‘목’ 이 혼재해 있다. 한자어 합성 지명으로는 ‘백운산’, ‘와가산’, ‘봉황산’,

‘포수망본산’이 있으며, 고유어와 한자어 합성 지명은 ‘콧바우산’, ‘참 낭골산’, ‘임금산’, ‘앞산’, ‘뒷산’이 있다. ‘재’와 ‘목’에 해당하는 지명 도 모두 합성어다. ‘팽개목’, ‘산재목’, ‘매마중재’, ‘구랍재’, ‘도투마리 재’, ‘새끼미지’, ‘독매재’가 있다. 기타 ‘덜알’과 ‘덜밭’이 있다.

34)심마니들도 산삼은 서덜밭과 양분이 많은 부엽토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고 말하는데, 여기서 ‘서덜밭’은 ‘작은 돌밭’이라는 뜻으로 배수가 잘되는 곳이 라고 한다.

4.2. 생일도 지명에 나타난 음운적 특징

생일도의 바닷가 이름에 나타나는 음운 특징으로 동화, 격음화, 사잇소리현상, 음운(음절) 축약, 연음 등이 보인다.

동화가 반영된 지명으로는 ‘큰물생이’, ‘작은물생이’, ‘베락바구’,

‘베룩콧등’ 등이 있다. 경음화가 반영된 지명은 ‘용두리끝’, ‘씹새머 리’, ‘개맛뜽’, ‘배장사리끝’, ‘치끝’, ‘베룩콧등(뜽)’, ‘큰끝’ 등이다. 격 음화가 반영된 지명은 ‘베룩콧뜽’이다. 사잇소리현상이 반영된 지명 으로는 ‘베룩콧등(뜽)’이 있으며, 축약이 반영된 지명으로는 ‘건네 짝’, ‘순천금’, ‘큰넙’, ‘모래금’, ‘검머리’, ‘목넘’ 등이다. 그리고 연음 이 일부 지명에 반영되었는데 ‘구랍(재)’이 대표적이다. 이는 ‘덜알’

이 연음되지 않고 발음되는 것과 비교된다.

이러한 동화, 경음화, 격음화 등은 근대국어시기에 나타난 음운현 상들이다. 동화는 전라방언 뿐만 아니라 다른 방언에서도 보편적으 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일도 지명에 반영된 동화 지명은 전라방언의 반영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경음화의 경우 현대국어에서도 중부방언보다 남부방언에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생일도에서 경음 화가 반영된 지명은 남부 방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축약이 많이 보이는데 이러한 축약은 전라 방언의 특징 중에서 가장 두드 러지고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방언의 예이다. 또한 이 것은 전라 방언의 경제성을 대표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4.3. 생일도 지명에 나타난 다양한 형상

형상에 따른 지명이 거의 대부분이다. 이는 처음 섬에 들어와 살 기 시작한 사람들이 觀風案이 중심이 되어 바닷가의 형상을 사물의

형상과 유추하여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동물 형상에서 유추된 지명으로는 ‘용두리(끝)’-용, ‘배장사리-노 루’, ‘사자바구-사자’, ‘생치목-소’, ‘수리바구-수리’, ‘오리바구-오리’,

‘베룩콧등-벼룩’, ‘노랑바구-노루’, ‘검머리-거미’ 등이다. 여기서 ‘노 루’의 뜻인 ‘장사니>장사리’와 ‘노랑’이 모두 지명에 나타난 것이 특 이하다.

사물 형상의 지명으로는 ‘멩지개-명주’, ‘호랑바구-주머니’, ‘가마 구미-가마솥’, ‘모래금-모래’, ‘두텁(톱)바구-톱’ ‘도투마리재-도투마 리’ 등이다.

기타 지역 형상으로는 ‘건네짝’, ‘씹새머리’, ‘작은물생이’, ‘큰물생 이’, ‘치끝’, ‘논밑’, ‘큰넙’, ‘물엉바구’, ‘개맛등’, ‘큰바구’, ‘개안’, ‘큰끝’,

‘큰짝지’, ‘작은짝지’, ‘신짝지’, ‘바닥짝지’, ‘높은너리’, ‘방죽등’ ‘골창’

등이다. 그리고 지명의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오성기미’, ‘순천 금’ 등이 있다.

5. 결론

지금까지 ‘생일도’의 지명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생일도 바닷가 지명을 주로 다루었으며 산(재, 목) 지명은 일부만 다루었다.

생일도 바닷가 이름을 중심으로 마을 사람들의 증언과 인근 섬인 덕우도에서 태어난 연구자의 실제 현장 방문에 따른 판단에 의한 것임을 먼저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전라 방언이나 완도 방언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생일도 지명에 나타난 조어․음운적 특징과 다 양한 형상을 밝혔다.

이들 이름에 나타나는 조어, 음운적 특징과 형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어적 특징으로는 한자어가 섞인 혼종어에 해당하는 ‘龍두 리(끝)’, ‘常綠바구’, ‘응달(陰-)’, ‘望바구’ 등이다. 나머지는 모두 고 유어 지명이다.

둘째, 음운 특징으로 동화, 격음화, 경음화, 사잇소리현상, 음운(음 절) 축약, 연음 등이 보인다. 동화가 반영된 지명으로는 ‘큰물생이’,

‘작은물생이’, ‘베락바구’, ‘베룩콧등’ 등이 있다. 경음화가 반영된 지 명은 ‘용두리끝’, ‘씹새머리’, ‘개맛뜽’, ‘배장사리끝’, ‘치끝’, ‘베룩콧등 (뜽)’, ‘큰끝’ 등이다. 방언에 따라 경음화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는 지명으로는 ‘건네짝(지)’, ‘신짝지’, ‘바닥짝지’, ‘작은짝지’, ‘앞짝지’가 있다. 사잇소리현상이 반영된 지명으로는 ‘베룩콧등(뜽)’이 있으며, 축약이 반영된 지명으로는 ‘건네짝’, ‘큰넙’, ‘검머리’, ‘목넘’ 등이다.

그리고 연음이 일부 지명에 반영되었는데 ‘구랍(재)’이 대표적이다.

이는 생일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시기가 근대국어 시기와 일치한 다.

셋째, 형상에 따른 지명이 거의 대부분이다. 이는 처음 섬에 들어 와 살기 시작한 사람들이 바닷가의 형상을 사물의 형상과 유추하여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다.

생일도 바닷가 지명 정리에서 아직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한 것이 있다. ‘오성기미’의 ‘오성’, ‘순천금’의 ‘순천’ 등이다. 추후 그 의미를 밝히도록 한다.

【참고문헌】

한국지명학회(2007), 한국지명연구, 한국문화사.

한글학회(2001), 한국지명총람 전남 편, 한글학회.

한글학회(1992),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Albert Dauzat, La Philosphie du Langage, Ernest Flammarion, Editeur, Paris, 1929. 이기문 역(1955), 언어학원론, 민중서관.

강성수(1986), 고유어 지명에 관한 고찰-전남 영광 지방을 중심으로,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강현모(1998), 도서의 지명 유래 고 , 인문과학연구 창간호, 용인대 인문사 회과학연구소. 8-20.

김경표(2014), 전남 도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전남대 대학원 박사논문.

송하진(1987), 「삼국사기지리지 용자의 기능과 지명 표기에 대한 고찰(1)」,  호남문화연구제27집. 147-169.

이기갑(1986), 전남방언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논문.

이돈주(1966), 「완도지방의 지명고」, 호남문화연구제4집.

한승주(2016), 「완도군 ‘덕우도’ 지명에 관한 연구」, 도서문화제47집.

887-114.

완도군청 누리집(http://www.wando.go.kr/)

【Abstract】

문서에서 수 관련 지명형태소에 대하여 (페이지 59-6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