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론적 배경 <<

문서에서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페이지 39-42)

2

22 위험사회(Risk Society)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로 정의되고 구성될 소지가 많다.

둘째, 현대사회의 위험은 과거와 달리 위험의 영향이 사회․경제적 지위 나 물리적 한계를 넘어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평등적’이다. 유 럽에 위치한 그리스의 재정위기가 유럽뿐만 아니라 다른 대륙의 국가에 도 영향을 미치고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환태평양 인근 국가에 영 향을 미치는 것처럼 현대사회의 위험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Beck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에서 비판이 되고 있다. 즉 위 험은 보편적․전지구적으로 발생하지만, 이에 대해 받는 영향을 계층에 따 라 다르고 위험에 대한 인식도 다르다는 것이다(김영란, 2011).

셋째, 현대사회의 위험은 부메랑과 같다. 위험을 생산하거나 위험을 통 해 이익을 본 사람들도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어부의 무분별한 물 고기 포획은 수자원 고갈로 이어져 어부의 생계에 영향을 주고 농부의 화 학비료를 통한 수확량 증대는 농부에게 토질 악화와 오염으로 위험을 유 발한다.

넷째, 현대사회의 위험은 새로운 시장이 되기도 하는데 위험에 의해 창 출된 보험시장의 확대는 현대사회의 위험적 요소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 이다.

다섯째, 현대사회에서 위험은 지식을 통해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인식 이 그 존재를 규정한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위험은 위험을 규정하는 지식 주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고, 지식이 새로운 정치적 중요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Beck은 위험사회의 정치적 잠재력이 사회학적 견지에 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현대사회의 위험은 정치적이다. 위험에 의한 정치․경제․사 회적 결과가 새로운 영역을 형성하면서 새로운 정치적 영향력을 형성하 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사회의 특징은 현대사회의 위험이 정치적, 문화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적 상황을 포함하여 우리 사회를 둘러싼 사회적 문제라는 점을 보여준다.

2. 위험사회에 대한 담론

위험사회에 대해서는 2가지 측면에서 담론이 제기된다. 하나는 과학기 술의 발달과 사회적 위험의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위험사회의 경험 및 인식에 대한 계층 간 차이이다. 우선, 과학기술(scientific technology) 과 사회적 위험(social risks)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회적 위험의 감소하였나? 그렇지 않다. 과학기술의 과도한 도구적 활용의 결과로 낳은 문명적 파행성이 다시금 인간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위험’의 논리로 변질되어 현대사회에서 파생된 위험은 그 자체가 위험의 원인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위험은 “우리를 위협하는 미래 의 잠재적, 상시적, 실체적 사건”이게 된다.

과학기술의 발달(scientific development)로 사회적 진보(social progress)가 이루어졌나? 이것도 아니다. 현대사회의 과학기술은 사회적 위험에 대한 해결책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으나, 역설적이게도 과학기 술이 실제로는 오히려 사회적 위험의 원인으로 변질되어 작동되었기 때 문이다. 이를 “후기결핍의 사회”(Post-Scarcity Society)라고 하는데, 이 는 물질적 부족함의 해소와 더불어 과거와는 전혀 다르고 전혀 새로운 다 양한 위험들(예, 원전사고, 사생활 침해, 인간성파괴, 노후불안 등)이 부 메랑이 되어 돌아오는 사회를 말한다.

두 번째 논쟁은 위험의 계급화 논쟁이다. 일부에서는 위험의 분배는 평 등화 및 민주화되어 있다고 보고 있다(Beck, 1997, 2010; Giddens, 1991, 2009). 즉, 위험은 전지구적으로 편재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노 출과 경험에는 계층별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반면, 일부에서는 부의 분

24 위험사회(Risk Society)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배와 위험의 분배가 서로 중첩되어 나타나므로, 위험에의 인식과 경험에는 계급화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Taylor-Gooby, 2005; Esping-Andersen, 2007). 특히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이러한 위험에 대한 대책이 미약 하여 노출정도가 높다고 보고 있다(김영란, 2011).

문서에서 위험사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페이지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