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4) 통증 범위 측정

Numeric rating scale(NRS)는 임상적으로 근골격계 문제를 가진 환자에게 적 용하기에 적당하고 1분 이내에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하고 용이한 측정 도구이다 (Krebs et al., 2007; Mannion et al., 2007). 통증 강도의 범위는 0-10, 숫자로 표 기되며 0은 통증이 전혀 없음을 나타내고 10은 아주 심한 통증을 나타내는 것으 로 대상자가 평균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강도를 기록한다(Hawker et al., 2011).

본 연구에서 통증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NRS를 이용하여 인터뷰 형식으로 대상 자들의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사전 검사 시 사후 통증 부위와 강도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피험자는 대상자의 통증부위를 그림으로 표기해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측정된 자료는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인 신체구성, 관절가동범위, 근력, 통증에 대한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다. 각 측정항목에 대 한 집단 간, 시기 간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경우,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신체구성, 관절가동범위, 근력, 통증강도를 비교하기 위 해 독립표본 t 검정 방법을 사용하고, 실험군과 비교군 간의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의 신체구성, 관절가동범위, 근력, 통증강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 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든 가설의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1.690 1 1.690 .166 .693

Period .152 1 .152 .772 .402

Group*Period .097 1 .097 .494 .500

Error 1.767 9 .196

Total 3.706 12

Group pre post t p

C.G 23.94±2.74 24.24±2.83 -.102 .923 E.G 23.52±1.99 23.55±1.50 -2.30 .083

t -.297 -.519

p .773 .616

Ⅳ. 연구결과

1) 골격근량(㎏)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골격근량의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의 결과는 <Table 6>과 <Table 7>과 같다.

Table 6.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Skeletal muscle mass(SM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골격근량은 그룹 간(F=.166, p=.693), 처치기간 간(F=.772, p=.40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검증 결과(F=.494, p=.500)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7. Comparison of SM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Source SS df MS F p

Group 6.225 1 6.225 .057 .817

Period 2.153 1 2.153 4.466 .064

Group*Period 3.390 1 3.390 .500 .026

Error 4.340 9 .482

Total 16.138 12

Group pre post t p

C.G 21.78±8.10 21.94±8.70 -.538 .619 E.G 21.50±6.93 20.08±6.02 2.95 .032

t -.062 .952

Table 8.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of ANOVA for Body fat mass(BFM) for 6weeks

분산분석 결과, 체지방량은 그룹 간(F=.057, p=.817), 처치기간 간(F=.4.466, p=.064)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 검증 결과(F=.500, p=.026)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able 9. Comparison of BF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체지방량은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t=2.95, p=.032)

Source SS df MS F p

Group .152 1 .152 .013 .912

Period 25.606 1 25.606 3.006 .117

Group*Period 7.424 1 7.424 .872 .375

Error 76.667 9 8.519

Total 109.849 12

가 나타났고 비교군에서는 유의한 차이(t=-.538, p=.619)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간 체지방량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2. Comparison of BFM after 6weeks

1) 목 신전(Neck extens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목 신전 관절가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10>과 <Table 11>과 같다.

Table 10.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neck extension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013, p=.912)과 처지기간 간(F=25.606, p=.117)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 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872, p=.375)가 나타나지 않았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10.947 1 10.947 .437 .525

Period 150.341 1 150.341 10.116 .011 Group*Period 27.614 1 27.614 1.858 .206

Error 133.750 9 14.861

Total 322.652 12

Group pre post t p

C.G 28.00±2.74 29.00±2.24 -1.000 .374 E.G 26.67±5.16 30.00±.001 -1.581 .175

t -.517 1.108

p .618 .297

Table 11. Comparison of neck extension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목 신전 관절가동범위는 실험군과 비교군에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 간 목 신전 관절가동범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왼쪽 목 회전(left neck rotat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왼쪽 목 회전 관절가동 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12>과

<Table 13>과 같다.

Table 12.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left neck rotation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 유의한 차이(F=.437, p=.525)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지 기간 간(F=10.116, p=.011)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는 유의한 차이(F=1.858, p=.206)가 나타나지 않았다.

Group pre post t p C.G 46.00±2.24 49.00±4.18 -2.45 .070 E.G 40.83±6.65 48.33±4.08 -2.666 .045

t -1.649 -.267

p .133 .796

Table 13. Comparison of left neck rotation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왼쪽 목 회전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t=-2.666, p=.045)가 나타났고 비교군에서는 유의한 차이(t=-2.666, p=.070)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간 왼쪽 목 회전 관절가동범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3. Comparison of left neck rotation ROM after 6weeks

3) 오른쪽 목 회전(Right neck rotat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오른쪽 목 회전 관절가 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14>와

<Table 15>와 같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102.424 1 102.424 4.460 .064

Period .000 1 .000 .000 1.000

Group*Period .000 1 .000 .000 1.000

Error 50.000 9

Total 152.424 12

Group pre post t p

C.G 44.00±4.18 44.00±2.23 .001 1.000 E.G 48.33±4.08 48.33±4.08 .001 1.000

t 1.734 2.112

p .117 .064

Table 14.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right neck rotation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4.460, p=.064)과 처치기간 간(F=.000, p=1.000)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000, p=1.000)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5. Comparison of right neck rotation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오른쪽 목 회전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과 비 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간 오른쪽 목 회전 관절가동범위 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왼쪽 목 외측굽힘(Left neck lateral bending)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 후 왼쪽 목 외측굽힘 관절가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16>과 <Table 17>와 같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51.856 1 51.856 1.695 .225

Period 273.674 1 273.674 10.463 .010 Group*Period 23.674 1 23.674 .905 .366

Error 235.417 9 26.157

Total 584.621 12

Group pre post t p

C.G 45.00±0.00 45.00±0.00

E.G 35.83±9.17 45.00±0.00 -2.447 .058

t -2.214

p .054

Table 16.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left neck lateral bending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1.695, p=.22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치기간 간(F=10.463, p=.01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905, p=.366)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7. Comparison of left neck lateral bending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왼쪽 목 외측굽힘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t=-2.447, p=.058)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군에서는 실험 전과 후에 변화가 없어 표준오차가 0이므로 상관계수 및 t값을 계산할 수 없었고 두 집단간 표준편차가 0이므로 그룹 간 t값을 계산 할 수 없었다.

5) 오른쪽 목 외측굽힘(Right neck lateral bending)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 후 오른쪽 목 외측굽힘 관절가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18>과 <Table 19>와 같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46.402 1 46.402 1.245 .293

Period 51.856 1 51.856 3.721 .086

Group*Period 6.402 1 6.402 .459 .515

Error 125,417 9 13.935

Total 125,521.66 12

Group pre post t p

C.G 39.00±6.52 41.00±4.18 -1.633 .178 E.G 40.83±6.65 45.00±.001 -1.536 .185

t .459 2.369

p .657 .042

Table 18.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right neck lateral bending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1.245, p=.293)과 처치기간 간(F=3.721, p=.086)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 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459, p=.515)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19. Comparison of right neck lateral bending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오른쪽 목 외측굽힘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과 비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간 오른쪽 목 외측굽힘 관절가 동범위에서는 실험 후(t=2.369, p=.04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왼쪽 어깨 내회전(Left shoulder internal rotat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왼쪽 어깨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20>과

<Table 21>과 같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60.606 1 60.606 .850 .381

Period 38.788 1 38.788 1.922 .199

Group*Period 2.424 1 2.424 .120 .737

Error 181.667 9 20.185

Total 283.485 12

Group pre post t p

C.G 73.20±8.44 76.00±6.52 -2.419 .073 E.G 73.67±7.66 79.17±2.04 -2.261 .073

t .096 1.136

p .926 .285

Table 20.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left shoulder internal rotation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850 p=.381)과 처치기간 간(F=1.922, p=.199)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 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120, p=.737)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21. Comparison of left shoulder internal rotation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왼쪽 어깨 내회전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과 비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간 왼쪽 어깨 내회전 관절가동 범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오른쪽 어깨 내회전(Right shoulder internal rotation) 관절가동범위 (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오른쪽 어깨 내회전 관 절가동범위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량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Table 22>

와 <Table 23>과 같다.

Source SS df MS F p

Group 29.697 1 29.697 1.154 .311

Period 15.152 1 15.152 1.488 .254

Group*Period 15.152 1 15.152 1.488 .254

Error 91.667 9 10.185

Total 151.668 12

Group pre post t p

C.G 76.00±4.18 76.00±4.18

E.G 76.67±6.06 80.00±.001 -1.348 .235

t .208 2.369

p .840 .042

Table 22.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 ANOVA for right shoulder internal rotation ROM after 6weeks

분산분석 결과, 그룹 간(F=1.154, p=.311)과 처치기간 간(F=1.488, p=.254)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룹과 처치기간에 따른 상호작용의 효과를 검 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1.488, p=.254)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23. Comparison of right shoulder internal rotation ROM after 6weeks

Values are mean±standard; C.G: Comparison group; E.G: Experimental group

주 효과 검증결과, 6주 후 오른쪽 어깨 내회전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실험군과 비교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교군에서 실험 전·후 변화가 없어 표준오차가 0이므로 상관계수 및 t값을 계산할 수 없었다. 그룹 간 오른쪽 어깨 내회전 관절가동범위에서는 실험 후(t=2.369, p=.042)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8) 왼쪽 어깨 외회전(Left shoulder external rotat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왼쪽 어깨 외회전 관절

8) 왼쪽 어깨 외회전(Left shoulder external rotation) 관절가동범위(Degree) Janda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정적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군이 6주간의 실험 후 왼쪽 어깨 외회전 관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