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미적 가치 요소의 정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84)

의미적 가치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총 33개의 의미적 가치 요 소가 도출되었다. 이를 보다 세부적인 고찰의 필요가 있어 선행연구를 통해 각 요소별 정의를 정리하였다.

[표 3-6] 브랜드 이미지 표현 디자인의 정의

김영석(2012)에 따르면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로 인한 인식 및 태도의 변 화와 브랜드로 인한 구매용의이며, 번강강(2012)에 따르면 소비자가 특정 기업의 브랜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좋고 나쁜 느낌이라 하였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 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브랜드 이미지

윤재호(2014) “경험된 브랜드의 호감과 기업의 신뢰”

김영석(2012) “브랜드로 인한 인식 및 태도의 변화와 브랜드로 인한 구매용의”

번강강(2012) “소비자가 특정기업의 브랜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좋고 나쁜 느낌”

Dunn(1961)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와 관련시키는 모든 감정적, 심미적인 품질”

Newman(1957) “사람들이 특정 브랜드에 대해 연상 짓는 모든 것”

Kotler P.(1984) “신념의 집합으로 브랜드의 특성에 대하여 소비자가 느끼는 평가의 합”

유부미(2010)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를 극대화시켜 새로운 감성적 경험을 하게 해주는 특성”

브랜드 박구자(2008) “제품과 기업을 신뢰하고 구매할 수 있는 심볼이나 상표”

브랜드 마케팅 임진희(2008) “좋은 브랜드가 해당 제품을 구입하도록 하는 도구”

브랜드 충성도 나광진, 이용균,

육화영(2010) “브랜드에 대한 감정적 몰입”

Dunn(1961)은 “특정 기업이 생산, 판매하는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가 느끼 는 심상 내지 느낌으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와 관련시키는 모든 감정적, 심미적인 품질”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브랜드 이미지 표 현 디자인은 ‘특정 브랜드에 대한 좋고 나쁨과 같은 인식 및 태도’로 정의한 다.

[표 3-7] 과시성 표현 디자인의 정의

Vigneron et al(1999)은 과시를 “고가의 사치품 또는 제품의 소비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표현하는 것이라 정의”하였고 임진희(2008)은 상류층에 소 속감을 성취하고자 하는 경향이라고 하였다. 또한 백경미(1995)는 제품이 나 서비스의 상징성을 통해서 지위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타 인에게 부를 과시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 사용하는 행위”라고 하였으며, Labarbera(1998)는 제품의 경제적, 기능적 효용보다는 사회적,

과시성 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과시

김민우(2018) “본인의 사회적 성공을 타인에게 과시함”

Vigneron et

al(1999) “고가의 사치품 또는 제품의 소비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표현”

임진희(2008) “상류층에의 소속감을 성취하고자 하는 경향”

김건엽(2011) “채워질 수 없는 욕망으로 봄”

조아라, 이윤정(2013)

“자신의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한 경제적 행동으로 남에게 과시하기 위한 목적”

과시소비

백경미(1995)

“제품이나 서비스의 상징성을 통해서 지위를 획득하거나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타인에게 부를 과시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 사용하는 행위”

황민우(2007) “상류층의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부와 계층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

Labarbera(1998) “제품의 경제적, 기능적 효용보다는 사회적,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인상을 주려는 동기에 의한 소비”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인상을 주려는 동기에 의한 소 비”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과시성 표현 디자인은 ‘고가의 사 치품, 제품을 통해 본인의 사회적 성공, 부, 계층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 의한다.

[표 3-8] 유행성 표현 디자인의 정의

박구자(2008)에 따르면 유행은 “일정한 기간 내에 사회의 상당수 사람이 그들의 취미, 기호, 사고방식과 행동양식 등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취함, 선택함으로써 전파되는 사회적 동조현상”이라 하였다. 박진아, 채승진 (2009)은 “풍습이나 관습에 대해 일정 기간 상당수의 사람들이 어떤 행동 양식을 자유로이 선택·채용·폐기함으로써 생기는 광범위한 사회적 동조행동 현상이자 유사한 취향을 가지고 유사한 선택 을 하는 사람들의 행동집합체”

로 정의하였으며 또한 “일정한 사회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 스타일을 수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대중의 필요와 욕구, 새로 움에 대한 기대,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여 끊임없이 변화, 발전, 혹은

유행성 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유행

Vigneron et al(1999)

“최신 유행이나 트렌드 및 의견 선도자들의 소개를 통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재화를 소비”

박구자(2008)

“일정한 기간 내에 사회의 상당수 사람이 그들의 취미, 기호, 사고방식과 행동양식 등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취함,

선택함으로써 전파되는 사회적 동조현상을 의미”

박진아, 채승진(2009)

“일정한 사회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이 특정 스타일을 수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

K. Anspach (1967)

“일정한 기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생활 방식으로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유동적인 특성을 지님”

G.

Simmel(1971)

“사회적 계층에 따른 개인적 차별화의 욕구와 사회적 공통화의 욕구에 의해 발생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

S. Flugen(1950) “사회적 지위와 성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며 시대에 따라 지위와 성의 개념이 바뀌면 유행도 변화함”

쇠퇴하는 특징”이라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유행성 표현 디자인은 ‘대 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특정한 재화를 소비, 트렌드와 유사함’으로 정의하였 다.

[표 3-9] 차별성 표현 디자인의 정의

Vigneron et al(1999)은 차별성을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하지 않는 것이라 하였고 홍성준(2013)은 “남과 다른 것 즉, 다르다는 것을 단순히 다르다는 의미만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대충 다른 것이 아니라 확실히 다른 극단적 인 다름”으로 차별성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정교(2017)는 “대상의 독보적, 극단적 특징과 관련 정보가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서 비스”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다름이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차별성 표

차별성 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차별성 욕구

Snyder et al(1980), Tepper

et al(2001)

“집단에서 일탈하려는 차별성 욕구”

차별성

Vigneron et

al(1999)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하지 않음”

Noble&Kumar

(2010) “경쟁사의 제품이나 산업기준과의 차별성”

박혜신(2010) “타 브랜드와 경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미지 차별화가 핵심”

김문기(2014) “대상과 서비스의 경쟁이 되는 대상과 확실하게 구별시키기 위한 인자 개발과 전술”

홍성준(2013)

“‘남과 다른 것 즉, 다르다’는 것을 단순히 다르다는 의미만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대충 다른 것이 아니라 확실히 다른

‘극단적인 다름’으로 차별”

이정교(2017)

“대상(물)의 독보적, 극단적 특징과 관련 정보가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다름”

김흥주(2009) “집단에서의 일탈, 개인적 자유, 눈에 띄는 행동”

현 디자인은 ‘남들을 따라하지 않고 차이를 두어 구별하는 디자인’이라 정의 한다.

[표 3-10] 우월감 표현 디자인의 정의

박지선, 이규혜(2013)는 자기우월감을 자신이 남보다 더 많은 재능을 가지 고 있고 더 돋보인다고 생각하는 성향이라 하였으며, 이주원 외 2인 (2010)은 사회적 우월감을 자신이 남들보다 더 낫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으로 “좋은 디자인을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의 부러운 시선을 느끼거나 긍 정적인 반응을 얻게 되면 이는 심리적인 보상이 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우월감 표현 디자인은 ‘자신이 남들보다 낫다고 여기는 생각을 제품 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표 3-11] 자긍심 유발 디자인의 정의

우월감 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우월감 김현숙(2015) “남들보다 우위에 있다든가, 리더의 기질이 있다든가 혹은 어떤 대화를 하든지 우세하다는 자신감에 대한 감정”

자기우월감

박지선, 이규혜 (2013)

“자신이 남보다 더 많은 재능을 가지고 있고 더 돋보인다고 생각하는 성향”

황연순(2011) “남보다 자신이 더 돋보이고 더 많은 재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 때 느껴지는 감정”

사회적 우월감 이주원 외 2인

(2010) “자신이 남들보다 더 낫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

우월성 정은선 외 2인

(2017) “자기 자신이 남보다 우월하다는 것”

자긍심 유발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자긍심

김영석(2012) “스스로 긍지를 가짐”

장박함(2016) “타인보다 자신의 자질 또는 역할 우수성에 기초함”

Robins and “타인과는 관계, 개인적 자아의 표상영역에서 긍정적인 성과가

김영석(2012)는 자긍심을 스스로 긍지를 가지는 것이라 정의하였으며, 장 박함(2016)은 타인보다 자신의 자질 또는 역할 우수성에 기초하는 것이라 고 하였다. 또한 Pierce et al(1989), Marsh(1998)에 따르면 자부심은 “자 신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반영하는 개인적 평가 또는 개인 이 자신의 가치에 대한 판단을 반영하는 능력의 정도”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긍심 유발 디자인은 ‘본인 스스로에게 긍지를 가질 수 있는 디자 인’으로 정의한다.

[표 3-12] 자아만족 유발 디자인의 정의

김영석(2012)는 만족감을 디자인 수준에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가를 의 미하는 것이라 하였으며, 박구자는 구매,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자아만족 유발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만족감 김영석(2012) “디자인 수준에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가를 의미하는 것”

제품 만족도 박구자(2008) “구매,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좋고 나쁨”

만족감 이주원 외 2인 (2010)

“이상적인 자아에 다다르고자 하여 스스로를 만족시키며, 디자인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표출시킴으로써 느낌”

만족

강기두(1997) “소비경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물 혹은 평가의 과정”

David&Wilton (1988)

“사전적 기대와 소비 후 지각된 성과 간 차이에 대해 나타나는 소비자의 반응”

Schriber (2009) 자신의 행동에 이해 달성되었다고 생각할 때 느껴지는 감정”

자부심

Pierce et al (1989), Marsh

(1998)

“자신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반영하는 개인적 평가, 개인이 자신의 가치에 대한 판단을 반영하는 능력의

정도로 정의”

Tracy & Robins (2003)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것으로 생물학적 기본 정서로부터 분리되어진 감정의 이타적인 분류의 성질”

소비자의 평가가 좋고 나쁨을 말하며 이를 제품 만족도라 하였다. 또한 이 주원 외 2인(2010)은 이상적인 자아에 다다르고자 하여 스스로를 만족시키 며, 디자인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표출시킴으로써 느낀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자아만족 유발 디자인은 ‘디자인 수준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 신의 요구 조건 충족시킴’이라고 정의한다.

[표 3-13] 실제적 자아표현 디자인의 정의

황민우(2007)는 자아이미지를 “자신들이 구매하는 제품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하거나 혹은 구매한 제품에 자신을 일치시키는 것”이라 정의하 였으며, 윤재호(2014)는 “개인의 자아이미지를 반영하여 소비자가 대상과의 자아정체성 또는 자아이미지를 결합하고 노출시킴으로서 자아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정소라(2002)는 “개개인에게는 자신만의 형이상학적인 가치가 있으며, 그러한 특별한 의식에 의해 의미를 부여하고 이해하는 것이라 하였고 이를 의식성”이라 하였다. 또한 이주원 외 2인

실제적 자아표현 디자인

용어 연구자 정의

자아이미지

황민우(2007) “자신들이 구매하는 제품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하거나 혹은 구매한 제품에 자신을 일치시킴”

윤재호(2014)

“개인의 자아이미지를 반영하여 소비자가 대상과의 자아정체성 또는 자아이미지를 결합하고 노출시킴으로서 자아를 형성하고자

하는 의지”

홍영래(2014) “소비대상이 지니는 의미로 인해 자의 표현적 성격 자기 이미지와 일치하는 제품 원함”

의식성 정소라(2002) “개개인에게는 자신만의 형이상학적인 가치가 있으며, 그러한 특별한 의식에 의해 의미를 부여하고 이해함”

상징성 임진희(2008) “특정 제품을 구입함으로써 자기를 그 제품과 동격화 시키는 것”

자기지향적 Holbrook and Hirschman (1982)

“자신에 대한 장단기적인 이익이나 효과에 대해 이기적으로 신중히 평가되는 가치”

자기표현 이주원 외 2인 (2010)

“자신의 취향이나 감정, 정서 등 심리적 속성을 표현하고 자신을 이상적으로 완성시키는 것”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8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