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자인 가치의 유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49)

앞서 디자인 가치 유형 조사 결과 디자인 가치의 유형은 세 분류로 구성되 었다. 이를 오세헌(2018)연구20)의 디자인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실용적 가 치와 심미적 가치, 의미적 가치로 명명하였다. 실용적 가치는 이성적, 효율 적, 실용적, 사용성을 중시하는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심미적 가치는 형태, 형식, 독창성, 완성도와 같이 제품 외관의 장식적 요소로 구성되었다.

의미적 가치는 감성, 개성, 취향, 지위 등 소비자들의 욕구와 감정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이를 보다 체계화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각 유형 별 정의와 요소를 종합적인 관점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20) 오세헌, 유용하고 아름다우며 의미 있는 디자인: 존 헤스켓의 유용성과 유의성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한국디

가. 실용적 가치

[표 3-2] 실용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실용적 가치

용어 연구자 실용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실용적

김민우(2018) “제품 사용목적, 기능적 역할을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 유용성, 내구성, 경제성, 기능성, 착용감, 조작 우수성, 편의성”

Hagtvedt(2008) “기능, 품질, 가격”

가영명(2012) “구매하는 제품을 통한 문제해결과 획득을 추구하는 가치 편리성, 실용성, 내구성, 성능”

Sheth, Newman and Gross(1991)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 성능, 내구성, 가격, 서비스 등과 관련되어 얻게 되는 효용 등이 실용적, 기능적, 물리적 속성 통해 가치 획득”

박기남(2017) “제품의 사용목적 및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관점 유용성, 성능, 품질, 편의성, 신뢰성, 내구성, 경제성, 안전성”

오세헌(2018) “사용자의 이성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디자인 가치 이성적, 효율적, 합리적, 유용성”

김성철,

박의범(2008) “실용적, 기능적이고 실무적인 과제수행에 수단이 되는 기본적 속성”

정병국, 우아미(2009)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거나 기능이나 가격, 디자인 등의 기능적 특성을 통해 이익 얻는 것”

조경원(2016) “소비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이광현(2016) “소비자 자신이 원하고 필요로 한 목표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얻게 되는 실용적 만족감을 바탕으로 한 가치”

Holbook and

Hirschman(1982) “가시적이고 객관적인 특성”

기능적

김영석(2012) “합목적성, 편리성, 성능, 실용성”

Sweeney &

Soutar(2001) “제품의 품질, 신뢰성, 내구성, 가격과 같은 속성에 의해 창조됨”

박구자(2008) “실용성”

번강강(2012) “기계적, 물리적 조건으로서 기능, 구조, 효율성, 경제성, 견고성, 내구성과 함께, 사용 시 실수, 피로 등을 최소화 하는 것”

박종찬(2010) “제품 자체의 기본적 효용(품질, 성능, 효용 등) 재료, 구조, 기구 및 형태, 색채, 표면처리 및 장식 등의 외관적 특질의 조형성”

여수미(2007) “제품 자체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

김지혜,

류기상(2014) “가격, 간편성, 적절함”

허원무,김재영,

박경도(2007) “편리성, 기능, 유용성”

김선희(1999) “제품의 실용적, 물리적 성능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효용”

김인혜, 강여선,

최미영(2011) “제품의 품질, 기능, 가격, 서비스와 관련된 실용적 물리적 가치”

오인균,

이단비(2013) “편리하다, 실용적이다, 사용하기 쉽다와 같은 것”

정수현, 구혜경, 김재환, 김숙연(2014)

“제품이나 브랜드 등이 가지는 물리적 특성이나 성능, 기능적 성과, 실용성, 내구성 등으로 도출된 가치”

Peter and

Olson(2004)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거나 소비함으로써 비롯되는 혜택”

유동술(2016) “제품이나 브랜드 등이 가지는 물리적 특성이나 성능, 기능적 성과, 실용성, 내구성, 가격 등으로부터 도출된 가치”

최윤희(2012) “현저한 기능적, 실용적, 물리적 성과를 나타내는 제품에 의해 획득되는 지각된 효용”

효용적 Ahtola(1985), Tes et al(1989)

“기본적인 신체 욕구의 충족이나 안전성 등의 실용적 가치 신체적 욕구 충족, 안전성, 실용적”

효율성·

우수성 이은경(2009) “자기지향적 측면에 포함되며, 제품의 기능성, 품질, 조작, 편의성, 우수성 등을 가리키는 것”

사용 감각적

Noble and Kumar(2010)

“인체공학적 디자인과 관련된 수행성 가치, 디자인의 제품사용 정보제공과 관련된 의사소통 가치”

나광진, 이용균,

육화영(2010) “사용편리성 가치 제공 정도, 제품 사용 정보가치 제공 정도”

사용성 이광현(2016) “사용자가 어떤 특정한 제품이나 기술을 그리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얼마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

이성적

Noble and Kumar(2010)

“이성적, 인지적인 판단을 통해 제품 디자인을 인식하는 것 제품 안정성이나 신뢰성 등과 같은 제품 품질, 성과와 관련된 가치”

나광진, 이용균,

육화영(2010) “안정성, 신뢰성, 좋은 품질 가치 제공 정도”

유용성 John

Heskett(2005) “기술적, 물질적 요소 기준으로 사용성의 적절성, 실용적, 효율적인 목적”

실제적

Bernd Lobach(2005)

“인간의 육체적, 생리적, 물질적 욕구를 해결해줄 수 있는 기능, 도구의 가장 기초적인 기능”

정소라(2002) “제품의 정보를 담으며, 테크놀로지의 인간화로 상징적 의미를 부여”

경제적

Sweeney &

Soutar(2001)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소비한 비용, 시간, 노력에 대한 만족”

김인혜, 강여선, 최미영(2011)

“개인의 삶에서 소유의 중요성에 대해 갖고 있는 신념 물질적 풍족, 경제력, 소유”

시장적 한송이(2011) “고객지향성, 사용성, 경제성”

품질적 Vigneron and

Johnson(1999) “브랜드나 제품이 기능적으로 우수함”

속성적 이주원, 성영신,

조경진(2010)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실용성에 디자인의 의미 있는 것”

김민우(2018)에 따르면 디자인의 실용적 가치는 제품 사용목적, 기능적 역 할을 중요한 속성으로 인식이며, 그에 대한 속성으로 유용성, 내구성, 경제 성, 기능성, 착용감, 조작 우수성, 편의성 등이라 하였다. 박기남(2017)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내구성, 기능성 등과 같이 실제적인 측면을 강조 하는 개념”을 의미한다하였으며, “제품의 사용목적 및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 하는 관점에서 지각된 제품의 유용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실용적 가치를 구성하는 속성으로는 성능, 품질, 기능, 조작 우수성, 편의성, 신뢰성, 내구성, 경제성, 안전성, 유지관리의 효율성 등을 도출하였다. 오세 헌(2018)은 실용적 가치를 사용자의 이성적 기대를 충족시키는 디자인 가 치라 하였으며, 속성으로 이성적, 효율적, 합리적, 유용성이라 하였다. 번강 강(2012)에 따르면 실용적 가치는 기능적 가치라 하였으며, 이러한 기능적 가치는 기계적, 물리적 조건으로서 기능, 구조, 효율성, 경제성, 견고성, 내 구성과 함께, 사용 시 실수, 피로 등을 최소화 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광현 (2016)은 실용적 가치를 사용성이라 정의하였고, 이를 “사용자가 어떤 특정 한 제품이나 기술을 그리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얼마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라 정의하였다. 또한 Noble and Kumar(2010)는 이성적 가치라 하였으며 이는 이성적, 인지적인 판단을 통해 제품 디자인을 인식하는 것, 제품 안정성이나 신뢰성 등과 같은 제품 품질, 성과와 관련된 가치라 하였다. Sweeney & Soutar(2001)는 경제적 가치라 하였는데 서 비스를 이용하는데 소비한 비용, 시간, 노력에 대한 만족이라 정의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실용적 가치는 주로 실용성, 기능성, 사용성, 이성 적, 경제성을 강조하는 개념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가치는 ‘제 품이나 서비스의 사용목적, 기능적이고 실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성적인 기대를 충족시키는 가치’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용적 가치를 구성하 는 요소는 실용성, 기능성, 사용성, 이성, 경제성, 효율성, 유용성 등을 도출 하였다.

나. 심미적 가치

[표 3-3] 심미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심미적 가치

용어 연구자 심미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심미적

황민우(2007) “디자인, 색상, 모양, 전체적인 조화 등을 중시”

황민우,

정헌배(2007) “디자인, 모양, 색상, 전체적인 조화 등을 중시”

오세헌(2018) “형태를 통해 제시되는 디자인 결과물의 형식과 관련된 개념 형태의 독창성, 완성도”

박구자(2008) “브랜드, 디자인, 색상, 가격”

김영석(2012)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독창성과 독특성, 율동성”

윤재호(2014) “제품의 외관, 디자인, 색상”

박기남(2017) “제품 미적 속성을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 구매하는 행위 형태, 색상, 패턴, 크기, 볼륨감, 전체적 조화, 예술성, 소재, 질감”

홍영래(2014) “전체적인 아름다움의 느낌이나 매력, 즉 미의식”

임진희(2008) “제품의 이미지, 미적 측면 중시하면서 감성화, 패션화 진행되는 것 브랜드나 디자인, 이미지”

이은경(2009) “색상, 패턴 등 제품이 가지는 예술적 측면으로서 심미성 혹은 미학적인 가치”

가영명(2012) “구매하는 제품에 대한 외형상의 모든 요소, 제품의 안정감, 세련도, 균형감, 통일성”

조경원(2016) “제조될 사물의 형태를 만들어 내기 위해 색상, 규격, 재료, 모양을 선택하는 과정 등을 의미”

이주원, 성영신, 조경진(2010)

“소장하고 소유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그 디자인을 들여다보며 즐거움을 느끼는 것”

미적 Bernd

Lobach(2005)

“대상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경험되는 심리적 기능 형태, 색채, 표면 등을 통한 느낌”

오세헌(2018)은 심미적 가치를 형태를 통해 제시되는 디자인 결과물의 형 식과 관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그에 대한 요소를 형태의 독창성, 완성도 라 하였다. 박기남(2017)에 따르면 심미적 가치는 “소비자가 제품의 미적 속성을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하거나 구매하는 행위로 소비를 통하여 사용자 의 미의식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거나 반응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를 구성 하는 속성으로는 제품의 형태, 색상, 패턴, 크기, 볼륨감, 전체적인 조화, 예 술성 등을 미적 속성으로, 소재와 질감 등은 질적 속성으로 분류하였다. 이 은경(2009)은 심미적 가치를 색상, 패턴 등 제품이 가지는 예술적 측면으 로서 심미성 혹은 미학적인 가치라 정의하였고 김민우(2018)는 시각적 가 치라 하였으며 제품 외양의 미적인 속성 기준으로 제품 선택 및 구매하는 행위라 정의하였다. 그에 대한 속성으로는 형태, 색상, 마감, 소재를 도출하 였다. 또한 박종찬(2010)은 심미적 가치를 감각적 가치라 칭하고 관을 통 한 감각적 특성(색, 형태, 디자인, 맛, 향기)이라 하였고 한송이(2011)는 표 현적 가치라 하며 조형성, 기능성, 화제성으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심미적 가치는 주로 심미성, 조형성, 감각성을 강 조하는 개념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의 심미적 가치는 ‘제품의 외관의 미 적 가치, 미적 측면을 중요시 하는 행위’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심미적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는 형태, 색상, 형식, 마감, 소재, 균형감, 외관, 조형 성, 감각성, 표현성 등을 도출하였다.

미학적 Holbrook &

Zirlin(1985) “어떤 대상의 외형적인 자체를 순수하게 즐기는 감각적 경험”

시각적 김민우(2018) “제품 외양의 미적인 속성 기준으로 제품 선택 및 구매하는 행위 형태, 색상, 마감, 소재”

조형적 번강강(2012)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조건의 하나로써 미의 문제를 다루는 것”

감각적 박종찬(2010) “오관을 통한 감각적 특성(색, 형태, 디자인, 맛, 향기)”

표현적 한송이(2011) “조형성, 기능성, 화제성”

다. 의미적 가치

[표 3-4] 의미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의미적 가치

용어 연구자 의미적 가치의 정의 및 요소

상징적

박기남(2017)

“자신의 이미지, 품위, 신분 표현 등을 위하여 제품이 내포하고 있는 상징성을 중요하게 생각

브랜드이미지, 유행성, 자긍심, 과시욕구, 개성표현, 품위유지”

황민우(2007) “브랜드 이미지, 타인지향성, 과시소비 등을 포괄”

윤재호(2014) “브랜드이미지, 타인지향성, 과시욕구, 제품을 통한 개성화, 제품을 통한 자기가치상승”

황민우,

정헌배(2007) “브랜드 이미지, 타인 지향성, 과시성향 등을 포괄”

김영석(2012) “제품의 유행성, 제품 소유로 인한 자긍심 및 자아를 대표하는 대표성, 제품이 주는 주관적 의미”

김민우(2018) “소비자 자신의 이미지, 품위, 신분 등을 위해 제품이 내포하는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브랜드, 유행, 과시욕, 차별성”

박구자(2008) “유행성, 품위성”

홍영래(2014)

“소비대상이 지니는 의미로 인해 자의 표현적 성격 지니며, 이를 이용해 자기 이미지와 일치하는 제품 원하며, 상징의 메시지

전달하는 것”

정병국, 우아미(2009)

“제품을 통해 자아나 개성을 외부로 표출시킴 개인의 사회적 위치, 자아, 사회적 인정, 타인에 의한 평가”

임진희(2008)

“상대방을 의식한 소비행위나 소유물은 소비자 자신을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상징적 의미

신분, 성향, 개성, 라이프 스타일”

Bernd Lobach(2005)

“미적기능을 토대로 사용자의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영향을 받고 표상과 기호 역할”

조경원(2016) “문화적 사물로서 사용자의 우월감과 신분에 대한 연대감 그리고 소속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신분, 지위 등의 역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4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