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5)

3.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3.2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의 특성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시간성’은 시간의 흔적이 공간에 그대로 남아있어 그 자체로 가치가 부여됨을 의미한다. 하 지만 시간성과 유사한 의미가 있는 역사성은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특성에 초점 이 맞춰져 있어 유휴시설을 재생한 공간에서는 그 의미와 맞지 않아 시간성으로 정의하였다. ‘상징성’은 과거의 공간에 상징했던 요소들은 그 공간의 정체성을 보 여주는데, 그러한 상징적인 요소들을 묶어 정리하였다. ‘보존성’은 공간에 보존할 만한 요소들을 그대로 살려 과거와 현재를 연결한다. 그래서 연출성이나 재질성 과 같이 과거부터 현재까지 남겨져 있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계성’은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이용하여 접근성과 사람들의 참여성 을 높이고 네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인해 커뮤니티가 구축되고 다양한 소통이 활발해 지역과 교류를 활성화 시킨다. ‘복합성’은 공간에서 서로 연계되어 있고 상호보완적으로 관계가 있어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들을 정리하여 재도출한 결과 유휴시 설의 재생공간 특성은 시간성, 상징성, 보존성, 연계성, 복합성으로 추출하였다.

36) 김영표, 들뢰즈의 ‘잠재성’ 개념에 의한 재생건축의 디자인적 가치 특성 분석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39

연구자 선행연구에서 특성 도출한 특성

김현정(2017) 역사성

시간성

김기향(2021) 시간성

정상원 외1(2018) 시간성

박상경(2017) 시간성

조연주(2011) 역사성

박미라(2014) 시간성

김영표(2013) 연속적 물성, 물리적 구축성, 사용자

김현정(2017) 장소성, 상징성

상징성

김기향(2021) 상징성

정상원 외1(2018) 상징성

박상경(2017) 상징성

조연주(2011) 장소성

박미라(2014) 상징성

김영표(2013) 상징적 구축성, 조형성

김현정(2017) 보존성

정상원 외1(2018) 재질성 보존성

박상경(2017) 연출성, 재질성

김영표(2013) 대비적 물성, 조형성

김현정(2017) 연계성

연계성

김기향(2021) 연계성

정상원 외1(2018) 접근성, 참여성 조연주(2011) 접근성, 참여성, 편리성 박미라(2014) 개방성, 접근성, 참여성

김기향(2021) 복합성

박상경(2017) 복합성 복합성

박미라(2014) 기능적 복합성, 연속성

김영표(2013) 프로그램

[표 5] 선행연구에서 재도출한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1)시간성

재생된 공간은 외부 및 내부의 구조나 구성요소 등이 보존되어 활용할 수 있 으며 시각적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는 시간의 흔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정체성을 나타내서 공간의 스토리텔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현대인이 경험해 보지 못한 감성과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현대의 새로 생겨난 공간과는 차별화가 될 수 있 다.37) 시간의 축적은 현대 도시에서 획일화된 공간과는 다르게 그만의 독특한 정 체성을 표현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다. 그 때문에 다양성을 주고 공간과 관계를 맺으면서 공간의 새로운 성격을 갖게 하고,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면서 미래로 나 아갈 수 있는 원천을 제공한다.38)

결국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서 시간성은 공간이 시간의 흐름을 견뎌 온 사실 에 가치가 부여되고 과거의 모습과 용도를 알리는 흔적들이 담겨진 공간의 특성 이다. 그로인해 외관 뿐만 아니라 과거에 공간을 구성했던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어 새로운 독특한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간성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교육적 요소로 활용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역사성과는 다른 점 이다.

(2) 상징성

건축물이 지어진 시대와 장소적인 특성이 반영된 건축물의 정체성이 상징성으 로 표현된다. 기존의 건축물의 공간구성요소나 장식적 요소와 같은 시각적인 요 소로 흥미를 유발하고, 공간을 새로운 모습으로 전환한다. 외관은 그 자체가 특 이성을 나타내어 이러한 과거를 상징했던 요소들은 공간에 독특함을 주고 지역 의 랜드마크로 인식될 수 있다.39)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의 관점에서는 상징성은 과거의 모습, 구조, 외관, 마감재 등을 유지하고 그대로 노출해서 그 가치를 남겨 재생된 공간에 남기는 것이다.

그러한 상징적인 요소들은 공간의 아이덴티티가 될 수 있다.

37) 박상경, opcit, p.16 38) 김영표, opcit, p.42 39) 박미라, opcit, p.40

(3) 보존성

공간에서 보존한다는 것은 기존의 건축물의 외관과 내부공간의 일부를 철거하 거나, 개조 가능한 부분은 고치되 일부는 살려 새로운 용도와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한다. 과거의 공간 구조를 그대로 가시적으로 보 여주어 공간의 본질적 의미를 연속적으로 유지하고 현재와 과거를 연결한다.40)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의 관점에서 보존성은 공간을 재생할만한 가치가 인정되 어 과거의 외관과 내부공간의 요소들을 보존하여 살리는 것을 말한다. 과거 건축 물의 외관, 내부의 구조, 기둥, 벽체, 내부의 마감재 등을 보존하여 과거의 공간 을 인지할 수 있고, 재생된 공간에서 새로운 역할을 하게 된다.

(4) 연계성

유휴시설은 도심에서 버려진 채 방치된 시설로 주변까지 낙후되어 접근성이 좋지 않다.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방법 중 하나로 주변과 연계하여 재생 공간을 활용해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관점에서 연계성은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주변의 시설을 활 용하는 등 개방성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네트워킹 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이는 주변 시설도 함께 자원으로 활용하여 재생된 공간에 사람들의 교류를 활성화 하고 지역의 커뮤니티를 구축할 수 있다. 서로 상호작용 할 수 있고 다양한 문화적 소통이 될 수 있다.

40) 김영표, opcit, p.45

(5) 복합성

일반적인 복합성이란 건물 내에 다양한 시설을 제공하여 이용객이 다양한 서 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 장소 내에 분산되어 있는 여러 시 설을 방문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이용객의 편의를 높이고 효율적 이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41)

유휴시설의 재생공간 관점에서의 복합성은 시설 내에 재생된 공간들과 기능들 이 서로 긴밀한 연계가 이루어져 있고, 서로 다르지만 상호보완적으로 관계가 맺 어져 있는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복합성을 공간의 구조로 보면 용도에 따라 바닥을 분할하여 동선을 조 성할 수 있고, 사람들의 활동을 유도한다. 또한, 수직적으로 일부를 열어두거나 증축하여 위와 아래 공간을 볼 수 있는 형태나 수평적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동 선을 성한다. 그럼으로써 이용자들이 공간을 이해하고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원하는 서비스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42)

41) 김성동, 복합기능을 적용한 자동차브랜드 전시장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8, p.25 42) 박미라, opcit, p.43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