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4)

본 연구는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발생한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재생한 복합공 간의 개념과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리좀의 사유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리좀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복합공간을 이용할 수 있 도록 방안을 찾기 위해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재생한 복합공간의 리좀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우선 유휴시설과 재생공간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공간의 특성을 시간성, 상징성, 보존성, 연계성, 복합성으로 도출한 후, 리좀의 개념과 구 성원리를 이해하였다. 또한, 여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리좀적 특 성을 접속성, 결합성, 비위계성, 다양성, 비연속성으로 정의하여 재생공간 중 복 합문화공간, 복합상업공간이 리좀의 구조와 특성과 유사하다고 판단되어 사례분 석을 통해 최근 5년 이내의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에 있어서 리좀적 특성 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리좀적 특성 중 접속성은 공간을 병치로 두고 수평적인 구조와 다양한 입체적 인 접근경로의 특성을 갖고, 결합성은 다양한 행위와 사건을 만드는 공간과 이질 적인 요소가 복수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을 갖는다. 비위계성은 불확정적인 동선, 여러 경로로 다양한 지점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다양성은 공간의 확장이 다양한 프로세스들로 인하여 생기며 기존의 공간에 접속하여 또 다른 다양체를 만들기 도 하고 다양한 접근경로로 비고정적인 특성, 이용자들이 사건과 행위에 따라 다 양한 장면과 다양한 사건, 행위를 만들어 공간이 다양한 구성의 가능성을 갖게 한다. 비연속성은 예상 불가능한 사건들과 행위에 의해 계속해서 변화하는 평면 을 만나는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결과 자유로운 동선보다 단일한 동선으로 정해져 있는 공간이 더 많았고, 공간을 나란히 배치하고 시설 안에서 동선이 불 확정적으로 자유로운 동선을 만들도록 넓은 공간을 갖고, 다양한 지점에서 접근 가능하다면 복합공간을 이용자들은 자유롭고 편리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공간에서 다양한 사건과 행위를 만들 수 있는 가변적인 공간은 다목적 복합공간

으로서 활용되어 다양한 컨텐츠와 이용자들의 활발한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복합 공간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미 공유 공간, 공공 시설 등에는 리좀의 특성을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재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에서의 리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재생된 공간 중 복합문화공간이 여러 공간 중에서 리좀적 특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보아 복합문화공간과 리좀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도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므로 리좀적으로 다가갔을 때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 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 중 복합문화공간, 복합상업공간에 리좀적 특성이 반영되어 공간의 계획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 공함에 의의를 가진다. 분석의 대상이 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에 개관한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사례의 개수와 범위의 한계로 인해 지속적인 추가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단행본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천개의 고원 , 새물결, 2001 이진경, 노마디즘1 , 휴머니스트, 2002

2. 학위논문

강태욱, 리좀의 건축적 구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김기향, 근대건축물을 재생한 식음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 북,서성로의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김동준, 재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근대건축물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김미림, 산업유산건축물의 재생활용을 위한 디자인 특성 연구, 한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김성동, 복합기능을 적용한 자동차브랜드 전시장 계획,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8 김양지, 재생 문화공간의 회복력 요소가 심리적 치유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김영표, 들뢰즈의 ‘잠재성’ 개념에 의한 재생건축의 디자인적 가치 특성 분석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김유진, 창작활동 지원을 통한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사례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김태욱, 앙리 베르그손의 ‘이미지’ 개념과 지속이론의 개념적 특성을 적용한 근대 건축물 재생디자인,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김현정,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민연옥, 장소성 구축에 의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박상경, 노후화된 공장 및 주택공간의 상업시설로의 재생건축 계획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박수린, 유휴시설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박은민, ‘리좀’ 개념을 활용한 가구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서현정, 요코하마의 ‘창조도시 전략’에 있어서의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디자인 방 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양나래, 리좀 개념을 도입한 교회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이다운.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이덕진,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이동숙, 감성적 경험기반의 재생 상업공간 사례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이재성, 서울시 유휴공간 재생디자인 수법 연구 - 최근 10년 교육연구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로 재생디자인 된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이지희, 리좀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옥상정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이한정, 리좀적 특성을 적용한 공유주택의 공유공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임형준, 지역 공공성을 고려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 인천항 8부두 곡물창고를 대상 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장이문, 재생개념을 적용한 유휴 산업시설의 공간 특성 연구- 중국 북경, 상해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조연주,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최여진, 도시 문화콘텐츠로서의 재생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최진욱, 도시재생적 관점의 유휴공간 재생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