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리좀적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45)

위의 선행연구는 리좀적 특성을 공통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김영석 외1(2021) 연구의 경우 리좀의 특성을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리좀의 구성 원리에서 개방성, 접속성, 결합성, 개별성, 다양성, 확장성, 유동성, 가변성, 우연성, 비연속성의 10가지 리좀적 특성 을 도출하였다.

양나래(2018) 연구의 경우 리좀 개념을 도입하여 교회 건축 공간에 관하여 연 구하였다. 이에 리좀적 교회 건축 공간을 교회 건축 공간의 특징과 리좀적 공간 구성 요소에 기반하여 배치: 비위계적 배치, 프로그램: 비워진 프로그램, 동선:

선택적 배회동선, 경계: 모호한 경계 정의하였다.

이한정(2017)의 연구의 경우 리좀적 특성을 통하여 공유주택의 공유공간을 바 라보고,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리좀의 구성 원리에서 가변성, 개방성, 개별 성, 다양성, 부경계성, 비연속성, 비위계성, 우연성, 접속성, 확장성, 탈구조성, 탈 영역성 탈중심성의 13가지의 리좀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지희(2014) 연구의 경우 리좀의 특성을 반영하여 옥상정원을 바라보고, 활성 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리좀의 구성 원리에서 개방성, 접속성, 결합성, 개별성, 다양성, 확장성, 유동성, 가변성, 우연성, 비연속성의 10가지 리좀적 특성을 도출 하였다.

김은주 외1(2012) 연구의 경우 리좀의 개념으로 현대 공공공간의 특성 및 표현 방법을 보고 결합성, 비위계성, 다양성, 비연속성의 4가지 리좀적 특성을 도출하 였다.

2.2 리좀적 특성

앞서 제시된 리좀적 특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리좀의 특성을 추출 하고자 한다. 리좀적 특성을 추출해보면 접속성, 결합성, 다양성, 비위계성, 비연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1) 접속성

김영석 외 1(2021)은 외부, 내부 공간으로의 다양한 입체적인 접근 경로라고 접속성을 설명하였다.

이한정(2017)은 서로 다른 성격의 공간을 병치로 두었을 때 리좀적 의미는 두 공간이 접속되었다고 하며, 두 공간의 사이에 사건들이 발생하고 새로운 공간이 생길 수 있다고 하며 접속성을 설명하였다.

이지희(2014)는 접속성을 복수성과 수평적인 구조를 갖고 병치 구조의 공간으 로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위의 접속성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는 접속성은 이질적인 두 공간이 나란히 병치 되었을 때를 의미한다.

(2) 결합성

김영석 외 1(2021)은 결합성을 고정적이지 않고 다양한 행위와 사건을 만드는 공간이라고 설명하였다.

이지희(2014)는 결합성을 공간의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들과 사건들을 통해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기도 하는데, 기존의 공간 네트워크에 제 3의 접속을 하여 다 른 복수적 다양체를 형성한다고 설명하였다.

김은주 외1(2012)는 리좀은 모든 점이 열려 있기 때문에 개체와 개체가 서로 연결되고 접속될 수 있다고 결합성을 설명하였다.

결합성의 선행연구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결합성을 이질적인 요소가 복수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이라고 정의 하였다.

(3) 비위계성

이한정(2017)은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는 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불확정적인 동 선을 그리면서 무작위성과 자율 선택성으로 여러 경로가 있으며 다양한 지점에 서 접근 가능하다고 비위계성을 설명하였다.

김은주 외1(2012)는 비위계성을 공간적으로 수평적인 결합을 통한 특성이라고 설명 하였다.

위의 결합성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종합한 결과 비위계성은 구조상으로 비위 계적이고 이질적인 선들은 다양한 방향과 흐름으로 교환하고 상호 교차하여 복 수성과 수평적인 구조를 갖는다. 또한, 모든 개체는 고정되지 않아 다양한 구성 과 가능성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변한다.

(4) 다양성

김영석 외1(2021)은 다양성을 공간의 확장이 다양한 프로세스들로 인하여 생긴 다고 설명하였다.

이한정(2017)은 다양성을 기존의 공간에 접속하여 또 다른 다양체를 만들기도 하고, 이용자들 사이에서 사건과 관계를 통해 새로운 구성을 만들기도 한다. 또 한, 다양한 접근 경로로 비고정적인 특성을 가지며, 이용자의 사건과 행위에 따 라 다양한 장면을 보이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이지희(2014)는 다양성을 개체들 사이의 관계는 계속해서 변하고 다양한 사건 과 행위를 만들어서 공간이 다양한 구성의 가능성을 갖게 한다고 하였다.

김은주 외1(2012)는 리좀은 일관된 체계를 갖지 않고 탈 중심화된 특징을 갖기 때문에 다양한 특성이 나타난다고 다양성을 설명하였다.

위의 다양성의 선행연구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 다양성은 리좀은 예상할 수 없는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서 확장되고, 기존 공간에 또 다른 다양체를 만들 기도 하고 접속하여 새로운 구성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다양체는 주체도 객체 도 갖지 않고 이러한 개체는 무한정으로 접속하며 사건과 행위를 만들어 다양한 구성이 된다고 정의하였다.

(5) 비연속성

김영석 외1(2021)은 비연속성을 개인마다 다른 경험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변화 한다고 하였다.

이한정(2017)은 비연속성을 예상이 불가능한 사건들과 행위에 의해 계속해서 변화하는 평면을 만난다고 설명하였다.

이지희(2014)는 비연속성을 위치를 알 수 없는 불확정적 동선을 그리면서 찾아 가는 과정으로 다양한 경로가 존재하며 여러 지점에서 접근 가능하다고 설명하 였다.

김은주 외1(2012)는 비연속성을 리좀은 분절이 아닌 의미없는 단절이 끊어지고 다시 시작하는 특성을 볼 때 비연속적인 특성이 나타난다고 본다고 설명하였다.

위의 비연속성의 선행연구를 종합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비연속성을 이용자들 의 이동과 행위에 따라 중심의 위치가 계속해서 변화하면서 생기는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1-4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