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3

① (+3)+(+1)=+(3+1)=+4

② (-0.9)+(+4.9)=+(4.9-0.9)=+4

③ (-4)+(+8)=+(8-4)=+4

{+;2(;}+{-;2!;}=+{;2(;-;2!;}=+;2*;=+4

⑤ (+7)+(-2)=+(7-2)=+5

따라서 계산 결과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⑤이다. ⑤

314

① (+10)+(-3)=+(10-3)=+7

{-;2!;}+{-;3!;}={-;6#;}+{-;6@;}

=-{;6#;+;6@;}=-;6%;

{+;4#;}+(-2)={+;4#;}+{-;4*;}

=-{;4*;-;4#;}=-;4%;

④ {+;5!;}+{+ 215 }={+ 3

15 }+{+ 2

15 }=+{ 3 15 + 2

15 }

=+ 515 =+;3!;

⑤ (-4.7)+(+5.1)=+(5.1-4.7)=+0.4

따라서 계산 결과를 수직선 위에 점으로 나타낼 때, 가장 왼쪽에 있

는 것은 가장 작은 수이므로 ③이다. ③

315

-4<-;6%;<+2.4<+5<+ 172 이므로 가장 작은 수는 -4이다.

∴`A=-4 30%

또, |+5|=5, |- 56 |=5

6 , `|+2.4|=2.4, |+17 2 |=17

2 ,

|-4|=4이므로 절댓값이 가장 큰 수는 + 172 이다.

∴`B=+ 172 30%

∴`A+B=(-4)+{+ 172 }={-8

2 }+{+17 2 }

=+{ 172 -8 2 }=+9

2 40%

 +;2(;

316

 ㈎ 덧셈의 교환법칙 ㈏ 덧셈의 결합법칙

317

{-;4%;}+{+;2!;}+{-;4&;}

={-;4%;}+{-;4&;}+{+;2!;}

=[{-;4%;}+{-;4&;}]+{+;2!;}

=( -3 )+{+;2!;}

={-;2^;}+{+;2!;}= -;2%;

318

① (+3)-(+4)=(+3)+(-4)=-1

② (-5)-(-9)=(-5)+(+9)=+4

③ (-0.7)-(+1.4)=(-0.7)+(-1.4)=-2.1 덧셈의 교환 법칙 덧셈의 결합 법칙

④ {+;2!;}-{+;3!;}={+;2!;}+{-;3!;}

={+;6#;}+{-;6@;}=+;6!;

⑤ {-;5$;}-{-;4!;}={-;5$;}+{+;4!;}

={-;2!0^;}+{+ 520 }=-;2!0!;

따라서 계산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⑤

319

① (+11)-(-9)=(+11)+(+9)=+20

② (-2.3)-(-1.8)=(-2.3)+(+1.8)=-0.5

③ (+0.5)-{-;2!;}={+;2!;}+{+;2!;}=+1

④ {-;3@;}-{+;6%;}={-;3@;}+{-;6%;}

={-;6$;}+{-;6%;}

=-;6(;=-;2#;

⑤ {+;4!;}-{+;4#;}={+;4!;}+{-;4#;}

=-;4@;=-;2!;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것은 ④이다. ④

320

(+4)-(-7)=(+4)+(+7)=+11

① (-6)-(-5)=(-6)+(+5)=-1

② (+8.4)-(+4.6)=(+8.4)+(-4.6)=+3.8

③ (-8)-(-3)=(-8)+(+3)=-5

{+ 193 }-{-14

3 }={+19

3 }+{+14 3 } =+ 333 =+11

⑤ (+9.7)-(+1.3)=(+9.7)+(-1.3)=+8.4

따라서 (+4)-(-7)의 계산 결과와 같은 것은 ④이다. ④

321

A={+;2!;}+{-;5#;}

={+ 510 }+{- 6

10 }=- 1

10 30%

B=(-0.25)-{-;2!;}={-;4!;}+{+;2!;}

={-;4!;}+{+;4@;}=+;4!; 35%

∴ A-B={- 110 }-{+;4!;}={- 1

10 }+{-1 4 }

={- 220 }+{- 5

20 }=- 7

20 35%

 - 720

322

주어진 그림은 수직선 위의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오른쪽으로 4만큼 이동한 다음 다시 왼쪽으로 9만큼 이동한 것이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왼쪽으로 5만큼 이동한 것과 같음을 나타내므로 주어진 수직선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산식은 (+4)+(-9)=-5이다. ②

323

주어진 그림은 수직선 위의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왼쪽으로 3만큼 이 동한 다음 다시 왼쪽으로 4만큼 이동한 것이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왼쪽으로 7만큼 이동한 것과 같음을 나타내므로 주어진 수직선으로 설명할 수 있는 덧셈식은 (-3)+(-4)=-7이다. ④

324

주어진 그림은 수직선 위의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왼쪽으로 3만큼 이 동한 다음 다시 오른쪽으로 6만큼 이동한 것이 0을 나타내는 점에서 오른쪽으로 3만큼 이동한 것과 같음을 나타내므로 주어진 수직선으 로 설명할 수 있는 계산식은 (-3)+(+6)=+3 또는

(-3)-(-6)=+3이다. ②, ③

325

{-;6%;}+{+;2#;}-{+;2%;}={-;6%;}+{+;2#;}+{-;2%;}

={-;6%;}+[{+;2#;}+{-;2%;}]

={-;6%;}+(-1)

={-;6%;}+{-;6^;}=- 116

② (-5)-(-6)-(+2) =(-5)+(+6)+(-2)

=(-5)+(-2)+(+6)

={(-5)+(-2)}+(+6)

=(-7)+(+6)=-1

③ (+6.2)-(+1.2)+(-4.4) =(+6.2)+(-1.2)+(-4.4) =(+6.2)+{(-1.2)+(-4.4)}

=(+6.2)+(-5.6)=+0.6

④ (+12)-(+10)-(-3) =(+12)+(-10)+(+3)

=(+12)+(+3)+(-10)

={(+12)+(+3)}+(-10)

=(+15)+(-10)=+5

{-;4#;}-(+0.2)+{+;2#;}={-;4#;}+(-0.2)+{+;2#;}

={-;4#;}+{-;5!;}+{+;2#;}

=[{-;2!0%;}+{- 420 }]+{+;2#;}

={-;2!0(;}+{+;2#0);}=+;2!0!;

따라서 계산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④

Ⅱ- 2. 정수와 유리수의 계산

326

(주어진 식)={-;3@;}+{+;4#;}+{-;6!;}+{+;4!;}

={-;3@;}+{-;6!;}+{+;4#;}+{+;4!;}

=[{-;3@;}+{-;6!;}]+[{+;4#;}+{+;4!;}]

=[{-;6$;}+{-;6!;}]+(+1)

={-;6%;}+(+1)

={-;6%;}+{+;6^;}

=;6!;

따라서 p=6, q=1이므로

p-q=6-1=5 ⑤

327

지민 : (-9.6)+{+;4%;}+(+9)+(-0.4) ={+;4%;}+(-9.6)+(+9)+(-0.4) ={+;4%;}+{(-9.6)+(+9)}+(-0.4) ={+;4%;}+(-0.6)+(-0.4)

={+;4%;}+{(-0.6)+(-0.4)}

={+;4%;}+(-1)

={+;4%;}+{-;4$;}=+;4!; 45%

태균 : (+2)+(-3)+{-;6!;}+(+4) ={(+2)+(-3)}+(+4)+{-;6!;}

=(-1)+(+4)+{-;6!;}

={(-1)+(+4)}+{-;6!;}

=(+3)+{-;6!;}

={+ 186 }+{-;6!;}=+17

6 45%

따라서 4장의 카드에 적힌 숫자의 합이 더 큰 사람은 태균이다.

10%

 태균

328

① (주어진 식) =(-2)+(+7)-(+6)

=(-2)+(+7)+(-6)

=(-2)+(-6)+(+7)

={(-2)+(-6)}+(+7)

=(-8)+(+7)=-1

② (주어진 식) =(-5)-(+4)+(+3)

=(-5)+(-4)+(+3)

={(-5)+(-4)}+(+3)

=(-9)+(+3)=-6

③ (주어진 식) =(-6)+(+13)-(+5)

=(-6)+(+13)+(-5)

=(-6)+(-5)+(+13)

={(-6)+(-5)}+(+13)

=(-11)+(+13)=2

④ (주어진 식) =(-1.7)-(+2.2)+(+3)

=(-1.7)+(-2.2)+(+3)

={(-1.7)+(-2.2)}+(+3)

=(-3.9)+(+3)=-0.9

⑤ (주어진 식)={-;4&;}+{+;5*;}+{+ 320 }

={-;4&;}+[{+;2#0@;}+{+ 320 }]

={-;4&;}+{+;4&;}=0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것은 ②이다. ②

329

(주어진 식)={+;2!;}-{+;5&;}-(-2)-{+ 110 }

={+;2!;}+{-;5&;}+(+2)+{- 110 }

={+;2!;}+(+2)+{-;5&;}+{- 110 }

=[{+;2!;}+(+2)]+[{-;5&;}+{- 110 }]

=[{+;2!;}+{+;2$;}]+[{-;1!0$;}+{- 110 }]

={+;2%;}+{-;2#;}=+;2@;=1 1

330

A=-;4#;-;2!;+2={-;4#;}-{+;2!;}+(+2)

={-;4#;}+{-;2!;}+(+2)=[{-;4#;}+{-;4@;}]+(+2) ={-;4%;}+(+2)={-;4%;}+{+;4*;}=;4#;

B =7.4-3+0.6

=(+7.4)-(+3)+(+0.6)

=(+7.4)+(-3)+(+0.6)

=(+7.4)+(+0.6)+(-3)

={(+7.4)+(+0.6)}+(-3)

=(+8)+(-3)=5

∴ A-B=;4#;-5={+;4#;}-(+5)={+;4#;}+(-5) ={+;4#;}+{- 204 }=-17

4 - 174

331

(주어진 식)

=(+1)-(+2)+(+3)-(+4)+y+(+49)-(+50)

={(+1)+(-2)}+{(+3)+(-4)}+y+{(+49)+(-50)}

=(-1)+(-1)+y+(-1)=-25 ①

-1이 25개

332

A=3-{-;3&;}=3+;3&;=;3(;+;3&;= 163 B=-1+(-3)=-4

∴ A-B= 163 -(-4)=16 3 +4

= 163 +12 3 =28

3 283

333

① -6-(-7)=-6+7=1

② 9-(-8)=9+8=17

③ 0+1=1

④ -2+3=1

⑤ -5-(-6)=-5+6=1

따라서 주어진 수 중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②이다. ②

334

x=-1+;6%;=-;6^;+;6%;=-;6!;

y=-;6!;-{-;3@;}=-;6!;+;3@;=-;6!;+;6$;=;6#;=;2!; ;2!;

335

-;3!;-(-3)=-;3!;+3=-;3!;+;3(;=;3*;이므로 안의 수들은

;3*;만큼씩 커진다.

A=-;3!;+;3*;=;3&;, B=;3&;+;3*;= 153 =5, C=5+;3*;= 153 +;3*;=23

3  A=;3&;, B=5, C= 233

336

A의 절댓값이 5이므로 A=5 또는 A=-5 B의 절댓값이 6이므로 B=6 또는 B=-6 Ú A=5, B=6일 때, A+B=5+6=11 Û A=5, B=-6일 때, A+B=5+(-6)=-1 Ü A=-5, B=6일 때, A+B=-5+6=1

Ý A=-5, B=-6일 때, A+B=(-5)+(-6)=-11 따라서 A+B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11이다. ②

337

|a|=7이므로 a=7 또는 a=-7

|b|=1이므로 b=1 또는 b=-1 Ú a=7, b=1일 때, a+b=7+1=8 Û a=7, b=-1일 때, a+b=7+(-1)=6 Ü a=-7, b=1일 때, a+b=(-7)+1=-6 Ý a=-7, b=-1일 때, a+b=(-7)+(-1)=-8

따라서 a+b의 값 중 가장 작은 값은 -8이다. ①

338

|A|=;5^;이므로 A=;5^; 또는 A=-;5^;

Ú A=;5^;일 때, 2-A=2-;5^;= 105 -;5^;=;5$;

Û A=-;5^;일 때, 2-A=2-{-;5^;}=2+;5^;= 105 +;5^;=16 5 따라서 2-A의 값 중 가장 큰 값은 165 이다. 165

339

a의 절댓값이 8이므로 a=8 또는 a=-8

b의 절댓값이 ;5$;이므로 b=;5$; 또는 b=-;5$; 20%

Ú a=8, b=;5$;일 때,

a-b=8-;5$;= 405 -;5$;=36 5 Û a=8, b=-;5$;일 때,

a-b=8-{-;5$;}=8+;5$;= 405 +;5$;=44 5 Ü a=-8, b=;5$;일 때,

a-b=-8-;5$;=- 405 -;5$;=-44 5 Ý a=-8, b=-;5$;일 때,

a-b=-8-{-;5$;}=-8+;5$;=- 405 +;5$;=-36 5 따라서 M= 445 , m=-44

5 이므로 50%

M-m= 445 -{-44 5 }=44

5 +44 5 =88

5 30%

88 5

340

-;3@;+4-{-;4!;}+=5에서 -;3@;+4+;4!;+=5 - 812 +48

12 + 3

12 +=5, 43

12 +=5

∴ =5- 4312 =60 12 -43

12 =17

12 1712

Ⅱ- 2. 정수와 유리수의 계산

341

A+(-3)=;2#;에서

A=;2#;-(-3)=;2#;+3=;2#;+;2^;=;2(;

B-{-;4#;}=1에서

B=1+{-;4#;}=;4$;+{-;4#;}=;4!;

∴ A-B=;2(;-;4!;= 184 -;4!;=17

4

342

a+ 92 =3이므로 a=3- 92 =6

2 -9 2 =-3

2 20%

b+{- 13 }=3이므로 b=3-{- 13 }=3+1

3 =9 3 +1

3 =10

3 20%

c+7=3이므로

c=3-7=-4 20%

∴ a+b-c={- 32 }+10

3 -(-4) ={- 32 }+10

3 +4 ={- 96 }+20

6 +24 6

= 356 40%

 356

343

어떤 정수를 x라고 하면

Ú x에 6을 더하면 양의 정수가 되므로 x는 -6보다 크다.

∴ x=-5, -4, -3, -2, -1, 0, 1, y

Û x에 4를 더하면 음의 정수가 되므로 x는 -4보다 작다.

∴ x=-5, -6, y

Ú, Û에서 어떤 정수는 -5이다. -5

344

서연이가 현재 갖고 있는 돈은

500+2000-1000-700=800(원) ④

345

(-5)-(+8)=-13이므로 뉴욕은 서울보다 13시간이 느리다.

따라서 서울이 3월 4일 오후 11시일 때, 뉴욕은 13시간 느린 3월 4

일 오전 10시이다. ④

346

창민이가 한 달 동안 읽은 책의 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책의 수 (권) 11 15 13 16 17 15

따라서 창민이가 1월에 읽은 책의 수는 11권이다. 11권

347

(-2)+3+(-4)=-3이므로

A+(-1)+(-4)=-3에서 A+(-5)=-3

∴ A=-3-(-5)=-3+5=2

(-2)+(-1)+B=-3에서 -3+B=-3

∴ B=-3-(-3)=-3+3=0

∴ A-B=2-0=2 ⑤

348

(-2)+5+1+(-3)=1이므로 -2+4+3+B=1에서 5+B=1

∴ B=1-5=-4

-3+A+(-1)+(-4)=1에서 -8+A=1

∴ A=1-(-8)=1+8=9

∴ A-B=9-(-4)=9+4=13 ③

349

;4!;+0.3+{-;5^;}=;4!;+ 310 +{-;5^;}

= 520 + 6

20 +{-24 20 } =-;2!0#;

;4!;+(-2)+a=-;2!0#;에서

;4!;+{-;4*;}+a=-;2!0#;, -;4&;+a=-;2!0#;

∴ a=-;2!0#;-{-;4&;}=-;2!0#;+;4&;

=-;2!0#;+;2#0%;=;2@0@;=;1!0!;

a+;5@;+b=-;2!0#;에서 ;1!0!;+;5@;+b=-;2!0#;

;1!0!;+ 410 +b=-;2!0#;, ;2#;+b=-;2!0#;

∴ b=-;2!0#;-;2#;=-;2!0#;-;2#0);=-;2$0#;

{-;5^;}+c+b=-;2!0#;에서 {-;5^;}+c+{-;2$0#;}=-;2!0#;

- 2420 +c+{-;2$0#;}=-;2!0#;, -67

20 +c=-;2!0#;

∴ c=-;2!0#;-{- 6720 }=-;2!0#;+67 20

= 5420 =27 10

∴ a+b-c=;1!0!;+{- 4320 }-27 10 =;2@0@;+{- 4320 }-54 20 =- 7520 =-15

4 - 154

350

① (-8)_(-6)=+(8_6)=+48

② (-7)_(-4)=+(7_4)=+28

③ {-;4#;}_(-8)=+{;4#;_8}=+6

④ (+1.5)_(-0.6)=-{;2#;_;5#;}=- 910

{+;3@;}_{-;4(;}=-{;3@;_;4(;}=-;2#;

따라서 계산 결과가 옳은 것은 ③이다. ③

351

① (+3)_(+4)=+(3_4)=+12

② (-5)_(-7)=+(5_7)=+35

{- 114 }_(+2)=-{ 1

14 _2}=-;7!;

{+;4#;}_{- 815 }=-{;4#;_ 8

15 }=-;5@;

{-;4!;}_{-;3@;}=+{;4!;_;3@;}=+;6!;

따라서 계산 결과가 가장 작은 것은 ④이다. ④

352

A={-;5*;}_{- 152 }=+{;5*;_15

2 }=+12 B={-;6%;}_{+;5@;}=-{;6%;_;5@;}=-;3!;

∴ A_B=(+12)_{-;3!;}=-{12_;3!;}=-4 -4

353

a=(-4)+(+2)=-2 30%

b={-;3@;}-{-;2!;}={-;3@;}+{+;2!;}

={-;6$;}+{+;6#;}=-;6!; 30%

∴ a_b=(-2)_{-;6!;}=+{2_;6!;}=+;3!; 40%

 +;3!;

354

① 곱셈의 교환법칙 ② 곱셈의 결합법칙 ②

355

 ㈎ 곱셈의 교환법칙 ㈏ 곱셈의 결합법칙

356

{+;8!;}_(-3)_{+;3$;}

=(-3)_{+;8!;}_{+;3$;}

=(-3)_[{ +;8!; }_{+;3$;}]

=(-3)_{ +;6!; }= -;2!;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⑤

357

{-;2!;}_{-;3@;}_{-;4#;}_y_{-;2@1);}

=+{;2!;_;3@;_;4#;_y_;2@1);}= 121 211

358

① (-4)_(-8)_(+2)=+(4_8_2)=64

② (-2)_(-15)_{- 35 }=-{2_15_;5#;}=-18

{-;3!;}_{+;7@;}_{- 149 }=+{;3!;_;7@;_14 9 }= 4

27

④ {+ 310 }_{-;9%;}_(+6)=-{ 3

10 _;9%;_6}=-1

⑤ (+6)_{+;5$;}_{- 203 }=-{6_;5$;_20

3 }=-32

따라서 계산 결과가 옳은 것은 ④이다. ④

359

- 203 =-62

3 와 -1 사이의 정수는

-6, -5, -4, -3, -2 50%

따라서 모든 정수의 곱은

(-6)_(-5)_(-4)_(-3)_(-2)

=-(6_5_4_3_2)=-720 50%

 -720

360

주어진 네 유리수 중 세 수를 뽑아 곱한 값이 가장 크려면 (양수)_(음수)_(음수)이어야 한다.

이때 양수는 절댓값이 큰 수이어야 하므로 구하는 가장 큰 수는 4_{-;8%;}_{-;6!;}=+{4_;8%;_;6!;}= 512 125

361

{-;2!;}Û =;4!; , {-;2!;}Ü =-;8!; , {-;2!;}Þ =`- 132 , {-;2!;}Ý = 116 따라서 가장 큰 수는 {-;2!;}Û , 가장 작은 수는 -;2!;이므로 그 곱은 {-;2!;}Û _{-;2!;}=;4!;_{-;2!;}=-;8!; -;8!;

곱셈의 교환 법칙 곱셈의 결합 법칙

Ⅱ- 2. 정수와 유리수의 계산

362

⑤ -{-;2#;}Ü =-{- 278 }=27

8

363

① (-2)Ü`=-8 {-;2!;}Ý = 116

③ -3Û`=-9 {-;3@;}Û =;9$;

-{-;3!;}Ý =- 181

따라서 가장 큰 수는 ④이다. ④

364

{-;3!;}Ü _{-;4!;}Û _{-;5@;}Û _(-10)Ü`

={- 127 }_ 1 16 _ 4

25 _(-1000)

=+{ 127 _ 1 16 _ 4

25 _1000}

= 1027 1027

365

(-1)+(-1)Û`+(-1)Ü`+y+(-1)100

=(-1)+1+(-1)+y+1

={(-1)+1}+{(-1)+1}+y+{(-1)+1}

=0+0+y+0=0 0

0이 50개

366

① (-1)Ý`=1 ② -(-1)Þ`=-(-1)=1

③ {-(-1)Û`}Û`=(-1)Û`=1 ④ -(-1)Ü`=-(-1)=1

⑤ -1Û`=-1

따라서 계산 결과가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⑤이다. ⑤

367

`-(-1)Ü`Û`-(-1)Û`Ú`+(-1)Þ`Þ`-(-1)Ú`â`

=-1-(-1)+(-1)-1

=-1+1+(-1)-1=-2 -2

368

n이 짝수이므로 (-1)n=1 20%

n+1이 홀수이므로 (-1)n+1=-1 20%

n+2가 짝수이므로 (-1)n+2=1 20%

∴ (-1)n-(-1)n+1+(-1)n+2 =1-(-1)+1

=1+1+1=3 40%

 3

369

a_(b+c)=a_b+a_c=3+(-6)=-3  ②

370

(주어진 식) =-3.75_{127+(-27)}

=-3.75_100=-375 -375

371

65_101 =65_(100+1)

=65_100+65_1

=6500+65=6565

따라서 a=1, b=100, c=6500, d=6565이므로

a+b+c+d=1+100+6500+6565=13166 13166

372

a_(b-c)=;6%;에서 a_b-a_c=;6%;

a_b-{- 112 }=;6%;

∴ a_b=;6%;+{- 112 }=10

12 +{- 1 12 }

= 912 =;4#;

373

-5의 역수는 -;5!;이므로 A=-;5!;

2;2!;=;2%;의 역수는 ;5@;이므로 B=;5@;

∴ A_B={-;5!;}_;5@;=- 225

374

③ 0.2=;5!;이고 ;5!;_5=1이므로 0.2와 5는 서로 역수 관계이다.

 ③

375

a의 역수가 -6이므로 a=-;6!; 40%

b의 역수가 1.2=;5^;이므로 b=;6%; 40%

∴ a+b=-;6!;+;6%;=;6$;=;3@; 20%

 ;3@;

376

두 수의 곱이 1일 때, 한 수는 다른 수의 역수가 된다.

-18의 역수는 - 118 , 7

12 의 역수는 12

7 , -1;2!;=-;2#;의 역수는 -;3@;이다.

따라서 보이지 않는 세 면에 적힌 수의 곱은 {- 118 }_12

7 _{-;3@;}=+{ 1 18 _12

7 _;3@;}= 4

63  463

377

① (+6)Ö(+3)=+(6Ö3)=+2

② (-7)Ö(-28)=(-7)_{- 128 }=+;4!;

{+;3@;}Ö{- 227 }={+;3@;}_{-27 2 }=-9

④ (-0.8)Ö(+1.4)={- 810 }Ö{+;1!0$;}

={- 810 }_{+;1!4);}=-;7$;

⑤ {-;5$;}Ö(-2)={-;5$;}_{-;2!;}=+;5@;

따라서 계산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⑤

378

{-;5^;}Ö{- 310 }Ö{-16

3 }Ö{-15 7 }

={-;5^;}_{- 103 }_{- 3

16 }_{- 7 15 }

=+{;5^;_ 103 _ 3 16 _ 7

15 }= 7

20 207

379

x={- 109 }Ö{-;3%;}Ö;2!;

={- 109 }_{-;5#;}_2

=+{ 109 _;5#;_2}=;3$;=1;3!;

따라서 x에 가장 가까운 정수는 1이다. ④

380

(주어진 식)={+;4#;}_{+ 821 }_{- 7 12 }

=-{;4#;_ 821 _ 7

12 }=-;6!;

381

ㄱ. {-;3@;}Ö;9$;_;4#;={-;3@;}_;4(;_;4#;

=-{;3@;_;4(;_;4#;}=-;8(;

ㄴ. (-2)Ö(-10)_(-15)=(-2)_{- 110 }_(-15)

=-{2_ 110 _15}=-3 ㄷ. {-;4!;}Û`_8?{-;3$;}= 116 _8_{-;4#;}

=-{ 116 _8_;4#;}=-;8#;

ㄹ. {-;5$;}Ö 712 _{-;4&;}={-;5$;}_12

7 _{-;4&;}

=+{;5$;_ 127 _;4&;}=12 5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③

382

A={+;9!;}_(-3)Ü`Ö{-;6!;}

={+;9!;}_(-27)_(-6)

=+{;9!;_27_6}=18 40%

B={-;2!;}Û`_{- 325 }Ö{-;5^;}

=;4!;_{- 325 }_{-;6%;}

=+{;4!;_ 325 _;6%;}= 1

40 40%

∴ A_B=18_ 140 = 9

20 20%

 920

383

(주어진 식)=-8+(-6)Ö{;3@;-1}_;2!;

=-8+(-6)Ö{-;3!;}_;2!;

=-8+(-6)_(-3)_;2!;

=-8+9=1  ④

384

(주어진 식)=;4!;-°;3@;-{- 116 }Ö[{-;8!;}_;4!;]¤

=;4!;-[;3@;-{- 116 }Ö{- 1 32 }]

=;4!;-[;3@;-{- 116 }_(-32)]

=;4!;-[;3@;-(+2)]

=;4!;-{-;3$;}

=;1!2(;  ⑴ ㉣, ㉤, ㉢, ㉡, ㉠ ⑵ ;1!2(;

385

{-;3@;}Ö;4!;_(-6)={-;3@;}_4_(-6)

=+{;3@;_4_6}=16

∴ C=16

0.2Ö;4!;-;2!;=;5!;_4-;2!;=;5$;-;2!;= 810 - 5 10 = 3

10

∴ B= 310

;9!;_(-6)-;2!;=-;3@;-;2!;=-;6$;-;6#;=-;6&;

∴ A=-;6&;

Ⅱ- 2. 정수와 유리수의 계산

∴ A_BÖC={-;6&;}_ 310 Ö16 ={-;6&;}_ 310 _ 1 16 =-{;6&;_ 310 _ 1

16 }=- 7

320 - 7320

386

a_(-12)=-9에서

a=(-9)Ö(-12)=(-9)_{- 112 }=;4#;

bÖ 120 =-16에서 b=(-16)_ 120 =-;5$;

∴ a_b=;4#;_{-;5$;}=- 35

387

① =;7(;Ö3=;7(;_;3!;=;7#;

② =4_{-;3@;}=-;3*;

③ =6Ö(-12)=6_{- 112 }=-;2!;

④ =;4#;Ö{-;2%;}=;4#;_{-;5@;}=- 310

⑤ =-;3!;Ö 815 =-;3!;_15 8 =-;8%;

따라서  안에 들어갈 수 중 가장 작은 것은 ②이다. ②

388

{-;4%;}Ö_{- 310 }= 1 16 에서 {-;4%;}Ö= 116 Ö{- 3

10 } = 116 _{-10

3 }=- 5

24 50%

즉, {-;4%;}Ö=- 524 이므로

={-;4%;}Ö{- 524 }

={-;4%;}_{- 245 }=6 50%

 6

389

어떤 유리수를 x라고 하면 x-{-;2(;}=-;3!;이므로 x={-;3!;}+{-;2(;}={-;6@;}+{- 276 }=-29

6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 296 }+{-;2(;}={-29

6 }+{-27

6 }=-56 6 =-28

3  - 283

390

어떤 유리수를 x라고 하면 x+(-7)=8이므로 x=8-(-7)=8+7=15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15-(-7)=15+7=22 ②

391

어떤 유리수를 x라고 하면 xÖ{-;3&;}= 914 이므로 30%

x= 914 _{-;3&;}=-;2#; 30%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2#;}_{-;3&;}=;2&; 40%

 ;2&;

392

어떤 유리수를 x라고 하면 x_;3!;=-;4!;이므로 x={-;4!;}_3=-;4#;

따라서 바르게 계산하면

{-;4#;}Ö;3!;={-;4#;}_3=-;4(;

393

;2!; ◆ ;3@;=;2!;_{;2!;+;3@;}

=;2!;_{;6#;+;6$;}

=;2!;_;6&;= 712

5

12 ◆ {;2!; ◆ ;3@;}= 5 12 ◆ 7

12

= 512 _{ 5 12 + 7

12 }

= 512 _1= 5

12

394

{-;4%;};2#;={-;4%;}Ö;2#;-1

={-;4%;}_;3@;-1

=-;6%;-1=-;6%;-;6^;=- 116 50%

∴ (-4)△[{-;4%;};2#;]=(-4)△{- 116 } =(-4)_{- 116 }+1 = 223 +1=22

3 +;3#;=25

3 50%

 253

395

;4!;★{-;7@;}=;4!;Ö{-;7@;}-;2!;=;4!;_{-;2&;}-;2!;

=-;8&;-;2!;=-;8&;-;8$;=- 118

∴ [;4!;★{-;7@;}]◎ ;4(;={- 118 }◎ ;4(;

=- 118 +;4(;+1

=- 118 +18

8 +;8*;=15

8 158

396

(-6)(-12) ={(-6)+(-12)}Ök=(-18)Ök=-6 이므로 k=(-18)Ö(-6)=3

{-;2!;}(-5)=[{-;2!;}+(-5)]Ö3 =[{-;2!;}+{- 102 }]Ö3 ={- 112 }Ö3

={- 112 }_;3!;=-11

6  ③

397

a_b<0에서 a<0, b>0 또는 a>0, b<0 a-b>0에서 a>b

∴ a>0, b<0

bÖc>0에서 b<0, c<0 또는 b>0, c>0

이때 b<0이므로 c<0 ③

398

③ a<0, b<0이므로 -a>0, -b>0 ∴ -a-b>0 ③

399

a<0이므로

① -a>0 ② aÛ`>0

③ aÛ`>0이므로 -aÛ`<0 ④ -a>0이므로 (-a)Ü`>0

⑤ aÜ`<0이므로 -aÜ`>0

따라서 항상 음수인 것은 ③이다. ③

400

a=-;2!; 을 대입하면

1

a =1Öa=1Ö{-;2!;}=1_(-2)=-2

③ aÛ`={-;2!;}Û`=;4!;

1

aÛ`=1ÖaÛ`=1Ö{-;2!;}Û`=1?;4!;=1_4=4

⑤ aÜ`={-;2!;}Ü`=-;8!;

따라서 가장 큰 값은 ④이다. ④

401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4%;-{-;2!;}=;4%;+;2!;=;4%;+;4@;=;4&;

두 점 A, C 사이의 거리는

;4&;_;2!;=;8&;

따라서 점 C가 나타내는 수는

-;2!;+;8&;=-;8$;+;8&;=;8#; ;8#;

402

두 점 A, P 사이의 거리는

;6!;-{-;4(;}=;6!;+;4(;= 212 +27 12 =29

12 30%

두 점 A, Q 사이의 거리는 2912 _3=29

4 30%

따라서 점 Q가 나타내는 수는 -;4(;+ 294 =20

4 =5 40%

 5

403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2&;-{-;3@;}=;2&;+;3@;= 216 +;6$;=25 6 두 점 A, C 사이의 거리는

256 _;3!;=25 18

따라서 점 C가 나타내는 수는 -;3@;+ 2518 =-12

18 +25 18 =13

18 1318

404

405

110

406

①, ④

407

408

409

- 2512

410

411

412

413

-3

414

415

416

417

-7

418

419

420

421

8

422

°[(-1)+;2!;]_;7*;+(-3)¤Ö(-10), 51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