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1 공모사업 시행

제도적으로 유연화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인력 및 재정여건으로는 기본 업무의 범위를 넘어선 유연한 시설 운영은 어려움.

- 현재도 복지시설들이 추가적인 특화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공 동모금회나 기타 기관에 공모하여 사업비를 별도로 확보해야 함.

- 서울시복지재단의 마을지향복지사업도 별도의 사업비를 지원하여 진 행하였으며, 서울시의 종합사회복지관 중 노인이나 장애인으로 특화한 복지관도 추가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임.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 시범사업 결과, 다기능화 사업의 성공 을 위해서는 복지시설 노력과 함께, 필요한 예산의 지원과 시군구의 적극적인 조력이 필요하다는 평가임(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1).

결론 및 정책제언 51

2 2 복지기관의 내부변화 유도

결론 및 정책제언 53

따라서 지역복지시설들이 변화 가능성을 스스로 경험할 수 있도록 마을지향 복지사업을 확대 실시함.

- 현재 시범사업은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를 다른 유형 의 복지시설로 확대하도록 함.

- 또한 현재는 공모를 통해 희망하는 복지관만 참여하고 있는데, 교육의 일환으로 모든 복지시설이 마을지향복지사업에 반드시 참여하여 변화 가능성을 경험하도록 함.

앞서 제안한 복지시설 유연화 관련 공모사업에 참여하는 것도 이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기회를 가지게 할 것임.

- 유연화 관련 공모사업도 마을지향복지사업과 같이 사업비뿐 아니라 전 문가의 컨설팅, 교육 및 간담회, 현장견학 등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 는 것이 필요함.

2 3 새로운 모델의 복지시설 시범운영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현재의 법률이나 사업지침의 제약을 받지 않는 새로 운 형태의 복지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해보는 방안을 제안함.

- 현재의 복지체계하에서는 기존 복지시설들이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 연화를 실현하는데 한계가 많으며, 실제로 유연화 방법에 대한 이해도 부족함.

- 따라서 서울시가 지향하는 복지시설 유연화 이념을 반영한 새로운 복지 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기존 복지시설들이 참고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함.

학계 전문가와 복지현장 실무자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시범복지관의 기본모델 을 결정하고, 운영주체는 서울시복지재단이나 복지시설 유연화의 취지에 대 한 이해도가 높은 단체에서 담당하도록 함.

- 시범복지관 운영의 첫 번째 목적은 복지시설 운영 유연화의 사례를 제 시함으로써 기존 복지시설들의 이해를 높이는 데 있음.

- 또한 실제로 복지시설 유연화가 가능한 것인지, 유연한 복지시설 운영 이 가능하려면 어떤 조건들이 갖추어져야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 한 목적 중 하나임.

- 이를 통해 일선 복지시설들이 지역사회에서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서 울시가 대응해야 할 과제, 사회복지 현장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