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계적 회귀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앞서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성과 학년을 회귀분석에 포함시켜 분석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두 가지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은 예측변수로 서 더미변수화한 성별(0=남학생, 1=여학생)과 기대-가치 믿음의 네 가지 하위요인 과 자기효능감을 1단계 회귀식에 투입하여 표현활동 수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주효 과를 규명하고(연구가설 1), 2단계에서 기대-가치 믿음 요인과 자기효능감 요인 간 4개의 이원 상호작용 변인들이 투입되었다(연구가설 2).

변인간 다중공선성을 제거하기 위해 Aiken과 West(1991)의 절차에 따라 각 예 측변수를 센터링하여 편차점수로 변환시켜 회귀식에 투입하고, 상호작용 효과가 유 의한 경우 편차점수를 고(1SD) /저(-1SD) 집단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표 5>에서 보듯이,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 감은 수업참여 의도를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독립변 인들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 설정한 각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인 R F t P

1단계 .65 85.59

성 .048 1.43 .153

학년 -.021 -.59 .551

내적 흥미 .300 5.04 .000

중요성 .102 1.68 .093

유용성 .264 4.31 .000

기대 믿음 -.031 -.50 .618

자기효능감 .297 5.68 .000

2단계 .02 4.89

성 .041 1.24 .215

학년 -.017 -.48 .630

내적 흥미 .287 4.90 .000

중요성 .109 1.83 .067

유용성 .257 4.28 .000

기대 믿음 -.029 -.47 .632

자기효능감 .302 5.86 .000

내적 흥미×자기효능감 -.096 -1.26 .205

중요성×자기효능감 .011 .14 .889

유용성×자기효능감 .230 2.98 .003

기대 믿음×자기효능감 -.160 -3.02 .003

p < .05, p < .001

표 5. 표현활동 참여의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요약

(1) 주효과

먼저,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과제 가치와 기대관련 믿음, 그 리고 자기효능감이 이들의 수업참여 의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가설 1).

독립변인으로서 성과 학년 수준, 기대-가치 믿음의 4개 요인과 자기효능감을 2단 계 회귀식에 동시에 투입한 결과, 내적 흥미가 초등학생의 수업참여 의도에 가장 크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300,

p

<.001), 다음으로 자기효능감(=.297,

p

<.001), 유용성(=.264,

p

<.001) 순으로 기여하였다. 이들 세 개의 변인은 초등학 생들의 수업참여 의도를 약 6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

(7,320)=85.59, p<.001].

그러나 당초 기대한 것과는 다르게 초등학생들의 성과 학년, 유용성과 기대 믿음 은 이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과제 가치와 기대관련 믿음,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이들의 수업참여 의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할 것이라는 연구가

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2) 상호작용 효과

다음으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이 상 호작용하여 이들의 수업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2단계 회귀식에 4개의 상호변인(내적 흥미×자기효능감, 중요성×자 기효능감, 유용성×자기효능감, 기대관련 믿음×자기효능감)들을 투입하였다 [

F

(11.316)=58.90, p<.001]

분석 결과 1단계 회귀식에서 초등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한 내 적 흥미, 자기효능감, 중요성 및 유용성은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개의 상호작용 변인들 중에서 유용성×자기효능감, 기대관련 믿음×자기효능 감이 상호작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대하여 추가로 약 2%를 설명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R

=.02,

p

<.001).

따라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이 상호 작용하여 이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는 부 분적으로 채택되었다.

표현활동 수업참여 의도에 대한 유용성×자기효능감, 기대관련 믿음×자기효능감 의 이원 상호작용 효과는 각각 <그림 1>과 <그림 2>에 제시되어 있다.

<그림 1>에서 보듯이, 표현활동 수업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성 지각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한 집단과 낮게 지각한 집단 모두 표현활동 수업에 대하여 매우 유용하다고 높게 지각할수록 수업 참여 의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용성 지각이 낮은 집단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지각할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비교하여 표현활동수업에 대 한 참여의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에는 표현활동 수업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관련 믿음과 자기효 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제시되어 있다. <그림 2>에서 보듯이, 자기효능감 수준이

그림 1. 참여의도에 대한 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기대관련 믿음을 높게 지각할수 록 수업참여 의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기 대관련 믿음 수준이 낮은 집단이 자기효능감을 낮게 지각할 경우 자기효능감이 높 은 집단과 비교하여 표현활동수업에 대한 참여의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2.참여의도에 대한 기대관련믿음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6-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