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술통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각 측정변인의 수준이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일원 다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표 2>

와 <표 3>에는 각각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각 측정변인의 평균(

M

)과 표 준편차(

SD

), 그리고 다변량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1) 성별에 따른 차이

<표 2>에는 성별에 따른 각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단변량분석의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에 제시된 것처럼, 표현활동에 대한 기대-가치 믿음의 네 가지 요인들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과 비 교하여 3.60에서 3.73까지로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고하였다. 또한 남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여학생이 표현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M

=4.28)과 참여의도(

M

=4.06)에 대한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평균점수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성별을 독립변수로, 측정변인을 종속변수로 삼아 일원 다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Wilks' Lambda=.949,

F

(6,321)=2.903,

p

=.009, =.05로 성 별에 따른 주효과(main effect)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단변량

F

값이 확인되었다. <표 2>의 오른쪽에 제시된 것처럼, 6개의 측정변인 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기대 믿음 (

F

=1.51,

p

>.05, =.00)과 자기효능감 (

F

=2.02,

p

>.05, =.00)을 제외하고, 내적 흥미(

F

= 11.69,

p

<.001, =.03), 중요 성(

F

=7.65,

p

<.01, =.02), 유용성(

F

=4.88,

p

<.05, =.01), 참여의도(

F

=10.15,

p

<.01, =.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기대관련 믿음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남녀 학생들 사

남학생 (n=176) 여학생 (n=152)

F P 

M SD M SD

내적 흥미 3.36 1.70 3.73 .86 11.69 .001 .03

중요성 3.42 1.00 3.69 .71 7.65 .006 .02

유용성 3.39 .93 3.60 .76 4.88 .028 .01

기대 믿음 3.21 .94 3.33 .69 1.51 .219 .00

자기효능감 4.06 1.46 4.28 1.30 2.07 .156 .00

참여의도 3.25 1.16 3.64 1.02 10.15 .002 .03

표 2. 성별에 따른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다변량분석 결과 요약

이에 차이가 없지만, 내적 흥미와 중요성, 유용성, 그리고 참여 의도 수준은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 학년별에 따른 차이

<표 3>에는 학년에 따른 각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다변량분석 결 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5학년 학생이 4학년과 6학년 에 비해 각 측정변인의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년에 따라 각 측정변인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다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Wilks' Lambda=.840,

F

(12,640)=4.873,

p

=.000, =.08]. <표 3>의 오른 쪽에 제시된 것처럼, 단변량

F

값을 확인한 결과, 내적 흥미와 중요성, 유용성, 자기 효능감 및 참여 의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따라서 각 측정변인에 대한 학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 (post hoc)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내적 흥미, 중요성, 유용 성, 그리고 기대관련 믿음에서 모두 4-5학년 학생이 6학년 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준도 4-5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보다 높 고, 수업참여 의도 또한 4-5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4-5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들에 비해 표현활동 수업에 대하여 내적 흥

4학년(n=90) 5학년(n=128) 6학년(n=110)

F P 

M SD M SD M SD

내적 흥미 3.85 .76 3.69 .88 3.10 1.14 18.28 .000 .10 중요성 3.79 .74 3.70 .81 3.16 .96 17.31 .000 .09 유용성 3.65 .78 3.68 .77 3.14 .91 15.19 .000 .08 기대 믿음 3.47 .66 3.48 .75 2.86 .91 22.09 .000 .12 자기효능감 4.30 1.11 4.49 1.33 3.67 1.53 11.72 .000 .07 참여의도 3.66 1.08 3.69 .88 2.96 1.24 16.45 .000 .09 Note : 사후검증 결과; 내적 흥미(a,b>c), 중요성(a,b>c), 유용성(a,b>c), 기대믿 음(a,b>c), 자기효능감(a,b>c), 참여의도(a,b>c)

표 3. 학년에 따른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다변량분석 결과 요약

미, 중요성, 유용성, 자기효능감, 그리고 앞으로의 참여의도 수준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변인 1 2 3 4 5 6 1. 내적 흥미 1.00

2. 중요성 .75 1.00

3. 유용성 .77 .79 1.00

4. 기대 믿음 .65 .65 .63 1.00

5. 자기효능감 .51 .45 .50 .76 1.00

6. 참여의도 .73 .66 .71 .63 .61 1.00

M 3.53 3.54 3.49 3.27 4.16 3.44

SD 1.00 .89 .86 .84 1.39 1.11

p < .01

표 4. 측정변인 간의 상관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