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 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5)

그림 2.참여의도에 대한 기대관련믿음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연구가설 즉,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은 수업참여 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지를 알아보았으며(연구가설 1), 다음으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 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은 상호작용하여 수업참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지를 알아보았다(연구가설 2).

그 결과, 기대-가치관련 믿음의 일부 요인과 자기효능감이 초등학생들의 표현활 동수업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기대-가치 믿음의 유 용성과 기대관련 믿음이 각각 자기효능감과 상호작용하여 이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아니지만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기대관련 믿음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참여의도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대-가치 하위요인에 대하여 성차를 분석한 결과, 표현활동수업에 대한 내 적 흥미, 중요성, 유용성 수준에서는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더 높지만, 표현활동수업에 대한 기대관련 믿음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학생이 남학생과 비교하여 표현활동수업에 대하여 흥 미가 높고, 자신들에게 중요하고 앞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높게 지각하고 있음을 시 사한다.

물론 국내외적으로 초등학교 무용수업 혹은 표현활동수업을 대상으로 기대-가치 이론을 적용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적은 없지만, 최근 국내에서 중고등학교 체육수 업을 대상으로 수행된 유영란과 박중길(201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과 비 교하여 학습내용에 대한 내적 흥미와 중요성, 유용성, 기대/능력관련 믿음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왜 이러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전통적으로 학업 성취 맥락에서 남녀 학 생들의 성차는 Eccles 등(1983)의 모델에서 일종의 촉매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남학생과 여학생은 자기 및 과제 믿음이 다르고 영역 간 뚜렷한 성취행동을 보인다 (Eccles & Harold, 1991). 일반적으로 남학생이 수학과 체육에서 기대와 유능감을

높게 지각하고, 여학생은 영어와 국어 등에서 자기 지각 수준이 더 높다(Wigfield, Eccles, Yoon, Harold, Arbreton, & Appleton, 1997).

전통적으로 스포츠는 남성 지배적인 영역인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운동적 정 체성이 강하고, 체육수업에서도 남녀 학생들 간의 과제 가치 지각과 성취행동도 이 러한 성-역할 패턴을 따르게 된다(Eccles & Harold, 1991). 따라서 비록 초등학생 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지만, 표현활동은 남성적인 특성을 가진 다른 신체 활동에 비해 여학생들이 더 선호하는 학습활동이라는 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기대-가치관련 믿음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자기효능감 수준 역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다른 표현활동 수업이 여학생들에게 더 선호되는 학습활동이라는 점에서 남학 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 체육수업 상황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령, 남녀 성차는 주어진 활동을 자신의 성-역할에 적합한 것으로 지각하는가에 따라 다르다. 즉 남학생은 남성적 타입의 과제활동(예; 축구, 농구)에 대해 높은 자 신감과 수행을 보이는 반면, 여학생은 여성적인 타입의 과제(예; 체조, 무용)에 더 높은 자신감을 느끼고 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혼성학급의 남학생이 동성학급의 남학생보다 농구에 대한 자신감 이 더 높고 농구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학생들의 자신감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이 며(Lirgg, 1993), 학급유형에 관계없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기 효능감이 높다고 보고한 결과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Treanor et al., 1998).

다음으로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4-5학년 초등학생이 6학년 학생들보 다 내적 흥미, 중요성, 유용성, 기대관련 믿음, 자기효능감, 그리고 수업참여 의도 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표현활동 에 대한 기대-가치 지각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기대관련 믿음에서 연령(학년)차를 검증한 연구들은 어린 학생일 수록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성공에 대한 기대 수준이 매우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어린 학생들은 자신이 유능하고 다음 과제도 잘 해낼 것이라고 항상 생각하 지만,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올라갈수록 자신의 능력 믿음과 성공에 대한 기대 는 훨씬 더 정확하고 현실적이게 된다(Wigfield & Eccles, 1992).

다른 연구자들(Xiang & Lee, 1998)은 연령차가 영역 특수적일 수 있음을 제안하

면서 영어, 스포츠 활동과 체육 등의 영역에서 학생들의 능력/기대관련 믿음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Xiang 등 (2004)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체육에 대한 과제 가치 지각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였 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Zhu와 Chen (2010)은 3학년이 1학년보다 과제 가 치를 더 낮게 지각하지만 기대관련 믿음은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바 있다.

자기효능감 역시 학년에 따른 차이가 일부 알려져 있다. 가령, 체육에 대한 자기효 능감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ao et al., 2009a).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신의 능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는 능력이 생겨나 기 때문으로서 고학년을 대상으로 표현활동수업을 지도할 때 과제 난이도에 대한 적 절한 조절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2) 기대-가치 지각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

이번 연구에서 설정된 2개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지각된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은 수업참여 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 수준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표현활동에 대한 내적 흥미와 유 용성,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지각 수준이 이들의 표현활동수업 참여의도를 직접 예 측하는 주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 역시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선행연구가 없어 비교할 수는 없지 만, 일반 교과와 체육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진 일부 연구들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 고 있다. 가령, 기대와 가치 믿음을 연구한 Fredricks와 Eccles( 2005)는 주어진 활동을 얼마나 잘 할 것인가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관련 믿음과 그 활동에 부여하는 과제 가치가 과제 선택, 지속성, 수행과 노력 수준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 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육수업에서도 중고등학생들의 기대관련 믿음은 노력과 과제 지속성 및 수행 등 의 성취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고(Cox & Whaley, 2004), 이들이 지각한 과제 가 치의 요소들은 과제수행에 대한 노력과 지속성뿐 아니라 앞으로의 체육수업이나 신 체활동에 대한 참여의도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Xiang et al., 2003).

다음으로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기대-가치 믿음과 자기효능감은 상 호작용하여 수업참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표현활동수

업에 대한 유용성 지각과 자기효능감 및 기대관련 믿음과 자기효능감이 각각 상호 작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수업참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구체적으로 보면,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한 초등학생들이 표현활동 수업에 대하 여 매우 유용하다고 높게 지각할 때 수업참여 의도 수준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기대관련 믿음 을 높게 지각할 때 수업참여 의도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현활동수업이 자신에게 유용하고 보다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것 이라고 느끼더라도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을 경우에는 수업참여 의도 수준이 감소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곧 학생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이 일반 교과나 체육 수업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표현활동 수업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다.

물론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없지만, 기존의 중고등학교 체육수업과 관련 된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사회심리적 요소로서 즐거움과 자기효능감을 검증하고 있다Chen, 2001). 자기효능감 이론(Bandura, 1986)에 의하면, 개인의 성취행동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로 설명되고 예측될 수 있다.

자기효능감이란 상황적 수준에서 어떤 기술을 배워서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관 한 ‘상황/과제-특수적 능력 믿음’이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더 뛰어 난 수행과 지속행동을 보인다(Bandura, 1997).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표현활동에 대 해 유용성과 기대관련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이 과정에 서 초등학생들이 자기효능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칭찬이나 배려 등의 긍정적인 피 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0-4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