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 군의 정비지원체계 및 추진방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

군에서 시행하는 정비는 정비를 시행하는 부대와 여건에 따라 군직정비, 외 주정비(국내정비, 해외정비), 3군 통합정비로 구분된다. 3군 통합정비란 각 군 공통사용 품목에 대해 단일 군에서 지역별·기능별로 통합하여 지원하는 체제 로 3군 공통 군수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각 군간 상호 지원한다. 군직정비는 작 업을 시행하는 부대에 따라 부대정비, 야전정비, 창정비로 구분된다. 해군 함정 정비는 정비 주체에 따라 군직정비와 외주정비로 구분하며, 1967년 시간기준 정비개념인 계획정비제도(PMS: Planned Maintenance System)를 도입하여 현재 까지 시행 중이다. 군직정비의 단계별 세부 정비내용은 Table 4.1과 같다.

정비계단 정비내용

부대정비

·함정 내 정비수단으로 정비하는 사용자정비

·PMS 체계에 따라 주기적인 예방정비 시행

·함장 책임으로 정비

야전정비 ·검사, 조정, 부품 교환 등 정비대대급 수준의 정비

·1·2·3함대 정비대대 주관 정비

창정비

·함정의 정기수리, 장비의 총 분해 수리

·최고 수준의 정비

·해군 정비창 주관 정비

Table 4.1 해군 군직정비체계

해군은 함정 창정비를 위해 수리 기간을 부여하고 이 기간에 탑재 장비에 대 한 창정비도 병행한다. 그러나 일부 장비는 정비가 장기간 소요되어 창정비 기 간 내에 정비가 어려울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정비대충장비(M/F: Maintenance Float)를 이용하여 정비를 수행한다. 무기체계 정비개념도 함정정비와 유사하며 야전정비, 창정비, 외주정비 모두 군수사령부에서 주관하여 수행한다.

육군의 정비지원체계는 Table 4.2와 같다. 1계단 사용자정비에서는 자체점검 및 육안검사 등에 의해 장비의 고장을 발견하고 주기별 예방정비를 수행한다.

2계단 부대정비에서는 편성부대 급에서 교범 절차에 따라 고장을 배제하고, 시 험·정비 장비를 이용한 고장탐지, 교환과 수리를 하며, 주기별 예방정비 등을 통해 주기성 부품을 교환하거나 정비한다. 3계단 직접지원 부대정비에서는 사 단이나 군지사급 정비대대가 시험·정비 장비를 이용하여 고장탐지 및 구성품 교환, 수리 등 현장 정비를 수행한다. 4계단 일반지원 부대정비는 군지사급 정 비대대에 의해 수행되며 주로 고장탐지, 구성품 수리와 야전 순환정비 등을 수 행한다. 5계단 창정비는 군수사령부 종합정비창이나 업체에서 완전분해 수리하 는 것을 말한다.

구 분 부대정비 야전정비 창정비

1계단 2계단 3계단 4계단 5계단

정비종류 사용자정비 부대 정비인원

직접지원 부대정비

일반지원 부대정비

창·업체 정비

정비형태 예방정비 현장정비 입고정비 완전분해

정비내용 수입, 손질 주기성 품목 교환, 주유

구성품 교환, 수리

구성품 수리, 야전순환정비

완전 분해수리, 창순환정비 Table 4.2 육군 정비지원체계

공군의 항공기 정비도 Table 4.3과 같이 3단계로 정비를 한다. 부대정비는 항 공기 운영부대에서는 부대정비를 수행하고, 비행단에서는 군수전대가 편성되어 부대 및 야전정비와 보급지원을 담당한다. 창정비는 군수사령부 예하의 81, 82 항공정비창에서 F-4, F-5, F-15K 등을 비롯한 각종 항공기의 기체, 엔진 등을 정비하고, 83정비창은 정보통신분야, 85정비창은 정밀표준분야, 86정비창은 항 공전자분야에 대해 정비를 담당한다.

정비계단 정비내용

부대정비 ·비행단 항공기 운영부대에서 실시되는 일선정비

야전정비

·부대정비 범위를 넘어선 정비 요구

·일정 기간마다 수행

·비행단 군수전대 예하 정비대대 주관 정비

창정비

·비행단 야전정비 수준을 넘어서는 정비

·일정 기간마다 수행하는 최고 수준의 정비

·정비창 예하 81, 82, 83, 85, 86 정비대대 Table 4.3 공군 정비지원체계

우리 군은 군직정비체계를 통해 적시에 정비지원과 경제성을 달성하고, 정비 인력과 기술 및 시설 등을 평소에 확보하여 전시 안정적인 군수지원을 받으려 고 하였다. 하지만 무기체계의 복잡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많은 제한사항에 봉 착하였다. 이러한 우리 군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접근법으로 총수명 주기체계관리(TLCSM: 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가 주목을 받고 있 다. 총수명주기체계관리는 무기체계의 소요 제기 시부터 폐기 시까지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준비태세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관리자에게 획 득, 개발, 생산, 야전 운용 및 폐기와 관련된 일체의 활동에 대한 권한과 책임 을 부여하는 군수 정책이다.

1998년 영국에서 국방전략에 장비 수명주기관리 개념이 최초로 도입 후 미국 은 2001년 4개년 국방 검토보고서에 총수명주기체계 관리전략을 군사혁신을 위 한 선결 요건 중 하나로 지정하고 2003년부터 본격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우리 국방부도 2011년 「총수명주기관리 종합추진계획」을 통해 운영유지 분야의 새 로운 정책 방향을 정립하고 세부과제들을 추진 중이다. 최근에는 린 6시그마 도입을 통한 정비업무 프로세스 개선으로 약 천억 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등 일 정 부분 구체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며, 향후 PBL 제도를 점차 확대적 용하고 한도액 계약(BOA: Basic Ordering Agreement)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