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근거로 한 가설적 모형은 Figure 2와 같다. 본 연 구의 가설적 모형은 외생변수 5개와 내생변수 5개로 구성되었다. 외생변수는 가족강인성, 지역사회 자원,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과 가족지지 지각이 고, 내생변수는 자아정체감,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로 구성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내생변수인 청소년의 심리사회 적 적응은 자아정체감,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외생변수인 가족강인성, 지역사 회 자원,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 가족지지 지각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 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외생변수들이 자아정체감,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매개변수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 으로 설정하였다.

내생변수인 자아정체감은 외생변수인 가족강인성, 지역사회 자원,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 가족지지 지각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부모애착 은 외생변수인 가족강인성, 지역사회 자원,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 가 족지지 지각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들 외생변수들이 자아정체감 을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주는 것으 로 가설적 경로를 설정하였다. 또래애착은 외생변수인 가족강인성, 지역사회 자원,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 가족지지 지각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으 며, 이들 5개의 외생변수가 내생변수인 자아정체감,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을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주는 것으로 가설적 경로를 설정하였다.

Figure 2. Hypothetical model

C. 연구의 가설

내생변수에 따른 가설은 다음과 같으며, 가설적 모형에서 외생변수와 내생 변수간의 경로, 내생변수들 간의 경로에서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1. 자아정체감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 : 가족강인성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 가족의사소통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 가족지지 지각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 영적지지 추구가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 지역사회 자원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부모애착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6 : 가족강인성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7 :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 : 가족지지 지각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 : 영적지지 추구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0 : 지역사회 자원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또래애착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1 : 가족강인성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 가족의사소통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 가족지지 지각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4 : 영적지지 추구가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5 : 지역사회 자원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내재화 문제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6 : 가족강인성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7 : 가족의사소통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8 : 가족지지 지각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9 : 자아정체감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0 : 부모애착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 또래애착이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 영적지지 추구가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 지역사회 자원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외현화 문제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24 : 가족강인성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5 : 가족의사소통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6 : 가족지지 지각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7 : 자아정체감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8 : 부모애착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9 : 또래애착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0 : 영적지지 추구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1 : 지역사회 자원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Ⅳ. 연구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청소년 적응을 설명, 예측하기 위해 McCubbin 등(1996)의 가족 회복력 모형을 이론적 기틀로 가족 회복력 요인인 가족강인성, 지역사회 자원과 영적지지 추구, 가족의사소통, 가족지지 지각과 개인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매개효과와 청소년의 심리사회 적 적응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경로를 파악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 한 연구이다.

B. 연구대상

1. 대상자 선정기준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2015년 현재 국내 거주중인 중학교 2, 3학년 청소 년 전수이며 근접 모집단은 D광역시와 경북 G시에 소재한 4개의 일반 중학교 에 재학 중인 2, 3학년 남녀 학생 총 400명이다. 대상자는 편의 표집 된 4개 의 남녀 중학교의 총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선정기준은 해당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남녀 청소년으 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한다.

둘째, 학부모(주 양육자)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현재 청소년과 같이 거주하는 주 양육자로 한 다.)

2. 표본의 크기 및 대상자수

구조방정식 모형에 요구되는 대상자 수는 표본추출 오차를 가능한 줄이기 위해 모델의 크기와 관계없이 표본의 크기가 200∼400개 정도면 바람직하다는 근거에 기초하였으며(우종필, 2012) 추정할 계수가 39개이므로 추정계수당 10 개 정도로 추천하기 때문에 390개의 표본이 적당하다고 보았다(Bentler &

Chou, 1987; Nunnally, 1978). 따라서 본 연구는 총 400명의 설문지 중 설문 지 내용이 불충분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1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82명의 자료가 사용되어 표본크기 기준에 부합한다.

C. 연구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가족 회복력 요인으로 가족강인성 20문항, 지역사회 자원 4문항, 영적지지 추구 3문항, 가족 의사소통 10문항, 가족지지 지각 8문항과 매개요인인 개인변인으로 자아정체감 23문항, 부모애착 25문항, 또래애착 25 문항이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내재화 문제 31문항과 외현화 문제 32 문항과 일반적 사항 5문항으로 총 18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가족강인성

가족강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6)에 의해 개발된 가족강인 성 척도(Family Hardiness Index: FHI)를 박인숙(2001)이 번안한 도구로 20문 항이다. 협동성, 도전성, 통제감, 자신감의 4가지 하부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4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강인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협동성은 가족이 내적 힘에 대한 감각 및 협조하여 어려움을 극복하는 정도, 도전성은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배우려는 혁신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고 통제감은 생활상의 사 건과 고난에 대한 가족이 생활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것과 자신감은 앞

날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것, 노력에 대하여 인정받는다는 느낌, 고난을 견디는 능력, 흥미롭고 의미있는 인생 경험 정도를 말한다. 원 도구의 신뢰도 는 ′ .82였고, 박인숙(2001)의 연구에서는 ′ .80이었 다. 본 연구에서는 ′  .85이었다.

2. 지역사회 자원

문제해결대처를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1)이 개발한 문제해결대처 척도(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F-COPES)를 심미 경(2004)이 번안한 도구로 어렵거나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가족이 사용하는 문제해결 및 행동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지역사회자원으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지역사회 자원을 찾는 가족의 능력 4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행동을 통해 도움을 얻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는 ′ .86, 심미경 (2004)의 연구에서는 ′ .77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84이었다.

3. 영적지지 추구

문제해결대처를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1)이 개발한 문제해결대처 척도(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F-COPES)를 심미 경(2004)이 번안한 도구로 어렵거나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가족이 사용하는 문제해결 및 행동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영적지지추구 3문 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행동을 통해 도움을 얻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는 ′ .86, 심미경(2004)의 연구에서는 ′ .77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84이었다.

4. 가족의사소통

가족의사소통은 가족역경과 문제가 표현되고 해결되는 의사소통의 맥락이나 환경을 창조함으로서 가족역경이나 어려움에 반응하는 대처방법을 말한다 (McCubbin, et al., 1996). 본 연구에서는 Barnes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척도 PACI(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중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를 차유림(2001)이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 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점 척도이며 총 10문항으로 2개의 하위척도로 구 성되어 있는데 개방적 의사소통 척도는 자녀가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억압을 느끼지 않고 자유로운 감정 하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측정하며, 역기능적 의사소통 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에

가족의사소통은 가족역경과 문제가 표현되고 해결되는 의사소통의 맥락이나 환경을 창조함으로서 가족역경이나 어려움에 반응하는 대처방법을 말한다 (McCubbin, et al., 1996). 본 연구에서는 Barnes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척도 PACI(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중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를 차유림(2001)이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 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점 척도이며 총 10문항으로 2개의 하위척도로 구 성되어 있는데 개방적 의사소통 척도는 자녀가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억압을 느끼지 않고 자유로운 감정 하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측정하며, 역기능적 의사소통 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