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아정체감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 ‘가족강인성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은 직접효과(γ=.64, p=.005), 총 효과(γ=.64,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이 강할수록 자아정체감이 높다.

가설 2. ‘가족의사소통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의사소통은 직접효과(γ=.17, p=.046), 총 효과(γ=.17, p=.04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의사소 통이 좋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다.

가설 3. ‘가족지지 지각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가족지지 지각은 직접효과(γ=-.18, p=.064), 총 효과(γ =-.18, p=.06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4. ‘지역사회 자원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지역사회 자원은 직접효과(γ=-.09, p=.098), 총 효과(γ =-.09, p=.098)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5. ‘영적지지 추구가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영적지지 추구는 직접효과(γ=-.06, p=.264), 총 효과(γ =-.06, p=.26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2. 부모애착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6. ‘가족강인성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은 간접효과(γ=.19, p=.004), 총 효과(γ=.19, p=.00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이 강할수록 부모애착이 높다.

가설 7. ‘가족의사소통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의사소통은 간접효과(γ=.29, p=.007), 총 효과(γ=.29, p=.00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의사소통 이 좋을수록 부모애착이 높다.

가설 8. ‘가족지지 지각이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지지 지각은 간접효과(γ=.33, p=.003), 총 효과(γ=.33, p=.00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지지 지 각이 높을수록 부모애착이 높다.

가설 9. ‘지역사회 자원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지역사회 자원은 간접효과(γ=-.02, p=.829), 총 효과(γ =-.02, p=.829)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10. ‘영적지지 추구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영적지지 추구는 간접효과(γ=.01, p=.717), 총 효과(γ =.01, p=.71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3. 또래애착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1. ‘가족강인성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은 간접효과(γ=.38, p=.003), 총 효과(γ=.38, p=.00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이 강할수록 또래애착이 높다.

가설 12. ‘가족의사소통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가족의사소통은 간접효과(γ=.03, p=.694), 총 효과(γ=.03, p=.69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13. ‘가족지지 지각이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가족지지 지각은 간접효과(γ=.11, p=.158), 총 효과(γ=.11, p=.158)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14. ‘지역사회 자원은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지역사회 자원은 간접효과(γ=-.04, p=.392), 총 효과(γ =-.04, p=.39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15. ‘영적지지 추구는 또래애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영적지지 추구는 간접효과(γ=-.13, p=.847), 총 효과(γ =-.01, p=.84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4. 내재화 문제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16. ‘가족강인성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강인성은 간접효과(γ=-.29, p=.004), 총 효과(γ=-.25, p=.00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이 낮을수록 내재화문제가 많다.

가설 17. ‘가족의사소통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의사소통은 간접효과(γ=-.11, p=.008), 총 효과(γ =-.19, p=.00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 의사소통이 좋지 않을수록 내재화문제가 많다.

가설 18. ‘가족지지 지각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가족지지 지각은 직접효과(γ=.08, p=.372), 간접효과(γ =-.01, p=.784), 총 효과(γ=.07, p=.42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19. ‘자아정체감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자아정체감은 직접효과(β=-.33, p=.008), 총 효과(β=.33, p=.008)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자아정체감이 낮을수록 내재화문제가 많다.

가설 20. ‘부모애착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부모애착은 직접효과(β=-.18, p=.021), 총 효과(β=-.18, p=.02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부모애착이 낮을수록 내재화문제가 많다.

가설 21. ‘또래애착이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또래애착은 간접효과(β=-.11, p=.170), 총 효과(β =-.11, p=.17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22. ‘지역사회 자원은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지역사회 자원은 직접효과(γ=.00, p=.891), 간접효과(γ =.04, p=.106), 총 효과(γ=.04, p=.57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23. ‘영적지지 추구가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영적지지 추구가 직접효과(γ=.00, p=.922), 간접효과 (γ=.02, p=.356), 총 효과(γ=.02, p=.76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5. 외현화 문제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가설 24. ‘가족강인성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가족강인성은 간접효과(γ=-.23, p=.004), 총 효과(γ=-.19, p=.02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강인성이 낮을수록 외현화문제가 많다.

가설 25. ‘가족의사소통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

었다. 가족의사소통은 간접효과(γ=-.07, p=.033), 총 효과(γ =-.18, p=.01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가족 의사소통이 좋지 않을수록 외현화문제가 많다.

가설 26. ‘가족지지 지각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가족지지 지각은 직접효과(γ=-.03, p=.579), 간접효과(γ =.01, p=.839), 총 효과(γ=-.02, p=.72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27. ‘자아정체감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지되었 다. 자아정체감은 직접효과(β=-.28, p=.005), 총 효과(β=-.28,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자아정체감이 낮을수록 외현화문제가 많다.

가설 28. ‘부모애착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 다. 부모애착은 직접효과(β=-.09, p=.328), 총 효과(β=-.09, p=.328)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29. ‘또래애착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또래애착은 직접효과(β=-.09, p=.200), 총 효과(β =-.09, p=.2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가설 30. ‘지역사회 자원이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지역사회 자원이 직접효과(γ=.06, p=.406), 간접효과(γ =.03, p=.091), 총 효과(γ=.09, p=.13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31. ‘영적지지 추구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 었다. 영적지지 추구는 직접효과(γ=.06, p=.406), 간접효과 (γ=.02, p=.301), 총 효과(γ=.08, p=.199)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

Table 9. Hypothetical Testing Results

Ⅵ. 논 의

최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 환경적 요인만을 강조하던 과거에 비해 ‘회복력’의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즉,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환경의 영향 뿐 아니라 청소년기에 발달과업으로 이루어야 할 자아정체감, 영아기 부터 형성되어온 애착이 부모에서 또래로 전이되는 과 정에서 나타나는 부모애착, 또래애착에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청소 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부모, 또 래, 교사 등 특정 관계와의 단편적인 면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회 복력 모형을 토대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의 매개효과에 관한 직, 간접 및 총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모형의 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고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에서 개인변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추후 개인변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장에서는 가족 회복력에 근거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모형의 적합성,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