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자아정체감

Erickson(1968)은 자아정체감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자아정체 감(Ego-identity)이란 ‘연속성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이라고 했다.

자아정체감은 자기에 대한 감각을 의미하고 일정한 사람간이나 집단 및 그 성 원 간에 역할 달성, 공통 가치관의 공유를 통해 얻어진 연대감, 안정감을 기 반으로 한 자존감과 잠정적인 자기상이다 (조기행, 2010).

이와 달리 Marcia는 자아정체감을 여러 가지 충동, 능력, 신념 및 개인의 생활사 등의 자체 발생적인 내적, 역동적 체계로서 보았고, 자아정체감 형성 에 있어서 위기(crisis)의 경험 여부와 관여의 여부가 중요하다고 하면서 자 아정체감을 성취, 유예, 폐쇄, 혼미로 구분하였다(신종임, 2010). Marcia는 정체감 4단계를 정체감 혼미의 하위단계에서부터 정체감 성취의 상위단계로 발달되는 연속적인 개념으로 보았다. 그러나 4단계를 모두거치거나 그 순서가 반드시 일정한 방향으로 발달하는 것은 아니며, 또 그 상태가 반드시 영속적 인 것만은 아니라고 하였다. 다만 정체감 유예의 단계는 누구나 거치는 정체 감 성취의 선결조건으로 여겨진다(이난, 2005). 자아정체감이 가장 선명하게 지각되는 것은 청소년기인데, 청소년기는 정체감을 철저히 체험하고 고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거론되는 시기이다(신종임, 2010).

박아청(2003)은 자아정체감을 다차원적, 포괄적 개념으로 주체성, 미래 확 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 등 하부영역으로 나누었다. 주체성은 주관 적인 역할 또는 환경을 적극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 미래 확신성은 자신 의 장래 직업에 대한 계획에 확신을 갖고 있는 정도, 목표지향성은 장래의 자 아상을 파악하고 자기 스스로가 목표를 지향하는 방향을 신뢰하고 주어진 과 업이나 과업을 수행하고 실천의지의 정도, 친밀성은 타인들과의 친밀과 관계 를 유지하기 위해서 융통성을 갖고 주체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집단 속에서 자신을 노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 하고 자아정체감의 다면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박아청의 자아정체감 개 념을 근거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2) 부모애착, 또래애착

Bowlby와 Ainsworth의 애착 이론에 따르면, 애착이란 개인과 중요한 의미가 있는 타인 간에 “정서적 유대”로 정의된다. 즉, 애착은 유용한 의사소통, 지지 그리고 길잡이가 되는 부모와 동료와의 질적인 관계이다(Ainsworth, 1970; Armsden & Greenberg, 1987). 애착은 영아기에 부모와의 관계를 통하여 형성 되며, 자아, 타인 및 세상을 보는 인지적 틀을 형성하여 전 생애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애착은 사회 인지 발달의 근간으로서, 부모와의 긍정적인 애 착형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신감(social confidence)이 있으며, 타인에 게 신뢰를 갖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줄 안다(Bowlby, 1969). 애착은 청소 년기의 자아(self)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16-18세 청소년 167명을 대 상으로 한 O'Koon(1997)의 연구에 의하면,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이 청소년 의 자아상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rmsden &

Greenberg(1987)은 16-20세 청소년 179명을 대상 연구에서 부모와 또래에 대 한 애착이 높을수록 자존감과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청소년기의 애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적으로 부모의 일방적 권위를 지니는 아동기의 애착관계에서 벗어나 상호성을 향한 관계의 재협상이 이루어진다. 둘째, 또래관계가 점차 중요해지면서 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청 소년에게 정서적 지지를 줄 수 있게 된다(지수경, 2001).

Paterson의 연구에서는 애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성차 및 연령차가 나타 났다. 여자 청소년은 지지와 근접성을 추구하는 대상으로 어머니를 찾으며 높 은 애착의 질을 보고하였으나 남자 청소년은 어머니에 대해 여전히 높은 애착 의 질을 보였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 및 근접성의 추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여자 청소년에 비해 분리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버지에 대한 남녀 청소년 모두 애착의 질을 낮게 보고하였고 지지와 근접성을 추구도 연령이 증가함을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옥정, 1997).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릴 적 양육에 대한 경험은 초기 애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과 동시에 청소년기의 심리사회적 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여러 성향을 이해할 수 있 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및 가설적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