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도구는 가족 회복력 요인으로 가족강인성 20문항, 지역사회 자원 4문항, 영적지지 추구 3문항, 가족 의사소통 10문항, 가족지지 지각 8문항과 매개요인인 개인변인으로 자아정체감 23문항, 부모애착 25문항, 또래애착 25 문항이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내재화 문제 31문항과 외현화 문제 32 문항과 일반적 사항 5문항으로 총 18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가족강인성

가족강인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6)에 의해 개발된 가족강인 성 척도(Family Hardiness Index: FHI)를 박인숙(2001)이 번안한 도구로 20문 항이다. 협동성, 도전성, 통제감, 자신감의 4가지 하부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4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강인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협동성은 가족이 내적 힘에 대한 감각 및 협조하여 어려움을 극복하는 정도, 도전성은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배우려는 혁신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고 통제감은 생활상의 사 건과 고난에 대한 가족이 생활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것과 자신감은 앞

날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것, 노력에 대하여 인정받는다는 느낌, 고난을 견디는 능력, 흥미롭고 의미있는 인생 경험 정도를 말한다. 원 도구의 신뢰도 는 ′ .82였고, 박인숙(2001)의 연구에서는 ′ .80이었 다. 본 연구에서는 ′  .85이었다.

2. 지역사회 자원

문제해결대처를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1)이 개발한 문제해결대처 척도(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F-COPES)를 심미 경(2004)이 번안한 도구로 어렵거나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가족이 사용하는 문제해결 및 행동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지역사회자원으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지역사회 자원을 찾는 가족의 능력 4문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행동을 통해 도움을 얻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는 ′ .86, 심미경 (2004)의 연구에서는 ′ .77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84이었다.

3. 영적지지 추구

문제해결대처를 측정하기 위하여 McCubbin 등(1981)이 개발한 문제해결대처 척도(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Evaluation Scales: F-COPES)를 심미 경(2004)이 번안한 도구로 어렵거나 문제가 되는 상황에서 가족이 사용하는 문제해결 및 행동전략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그 중 영적지지추구 3문 항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행동을 통해 도움을 얻는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원도구의 신뢰도는 ′ .86, 심미경(2004)의 연구에서는 ′ .77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84이었다.

4. 가족의사소통

가족의사소통은 가족역경과 문제가 표현되고 해결되는 의사소통의 맥락이나 환경을 창조함으로서 가족역경이나 어려움에 반응하는 대처방법을 말한다 (McCubbin, et al., 1996). 본 연구에서는 Barnes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척도 PACI(Parent-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중 청소년 자녀용 질문지를 차유림(2001)이 수정하여 사용한 도구 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점 척도이며 총 10문항으로 2개의 하위척도로 구 성되어 있는데 개방적 의사소통 척도는 자녀가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억압을 느끼지 않고 자유로운 감정 하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측정하며, 역기능적 의사소통 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 상호작용이 부정적이고 주제선택에 조심을 하여 가족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부정적인 측면을 측정한다. 역기능적 의 사소통은 역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의 의사소통 정도 가 개방적, 기능적임을 의미한다. 차유림(2001)의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 는 ′  .79였다. 본 연구에서는 ′ .83이었다.

5. 가족지지 지각

가족지지 지각 척도는 주위사람들로부터 받는 도움, 인정, 관심 등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측정하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Dubow와 Ulman(1989)이 아동의 가족지지 지각 측정을 위해 3-7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해 개발한 SSAS(Th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와 SAB(Scale of Available Behavior)를 근 거로 한미현(1996)이 개발한 것을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8문항을 사용하였으 며 4점 척도로 점수의 합이 높을수록 아동이 지각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한미현(1996)의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 .93이었 으며, 본 연구에서는 ′ .87이었다.

6. 자아정체감 척도

본 연구에서는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 형 자아정체감 도구를 송현옥(2009)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도구를 사 용한다.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수용성 5문항, 미래 확신성 7문항, 목표지향성 6문항, 주도성 5문항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자기수 용성은 자기의 실체와 성격특성 및 제반능력과 취약점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 는 것이고 미래 확신성은 자신의 장래직업에 대한 계획에 확신을 갖고 있는 정도, 목표 지향성은 주어진 과업을 수행 또는 실현하려는 의지의 정도, 주도 성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정도이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원 도구의 신뢰도는

′ 는 .94였다. 본 연구에서는 ′ .88이었다.

7. 부모애착 척도

부모애착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1987)가 10∼20세의 청소년을 대상으 로 개발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개정본(IPPA-R)을 번안한 옥정(1998)의 척도로 부모용 25 문항으로 의사소통 9문항, 신뢰 10문항과 소외 6문항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긍정과 부정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5점 척도로 총 점수의 범 위는 최저 25점에서 최고 12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모와의 애착정도가 높 음을 의미한다. Armsden과 Greenberg(1987) 도구의 신뢰도는 ′  .87로 측정되었고 옥정(1998)의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  .92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 .85 이었다

8. 또래애착척도

Armsden과 Greenberg(1987)가 10∼20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개 정본(IPPA-R)을 번안한 옥정(1998)의 척도로 또래용 25문항으로 긍정과 부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의사소통 8문항, 신뢰 10문항, 소 외 7문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5점으로 총 점수의 범위는 최저 25점에서 최고 12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와의 관계에서 안정된 애착을 보이는 것을 의 미한다(Paterson, et al.,1995). Armsden과 Greenberg(1987) 도구의 또래애착 의 ′  .92로 측정되었고 옥정(1998)의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또래애착의 ′  .92.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 .88이었다.

9.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적응은 정서적, 행동적 적응상태를 의미한다.

Achenbach(1991)가 개발하고 오경자 등(2001)이 번안,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 년자기행동평가척도(Korean Youth Self-Report; K-YSR)의 행동문제척도를 사 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화문제(불안/우울, 위축, 신체증상) 31문항, 외 현화 문제(규칙위반, 공격행동) 32문항, 총 63문항을 사용한다. 응답은 최근 6개월 내에 있었던 빈도에 따라 0점부터 2점까지 3점 척도로 한다. 본 연구에 서는 총점이 높을수록 해당영역 행동문제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다. 원 도구의 신뢰도 ′ 는 내재화 문제 .92, 외현화 문제 .91이 다. 본 연구에서는 ′  내재화 문제 .87, 외현화 문제 .89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