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 론

3. 용어의 정의

본 연구의 용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희망

희망(hope)이란 목표를 명확하게 개념화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특정한 방안들을 생각 해 내며(경로사고), 이러한 방안들을 추진하면서 용기를 잃지 않도록 동기를 만들고 유지시 키는 것 등을 포함(주도사고)하는 긍정적인 동기 상태로 정의된다(조한익, 2007; Snyder, 2000). 따라서 Snyder의 희망이론에 근거하여 희망의 2가지 차원(경로사고, 주도사고)에서 구한 측정값을 희망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희망을 2가지 차원을 합친 합성점 수로 조작적인 정의를 하였다.

2) 운동열의

운동열의(athlete engagement)는 스포츠에 대한 일반화된 긍정적 인지와 정서를 일컫는 영속적이고 비교적 안정한 경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감, 전념, 활력, 열광으로 특징

지어진다(Lonsdale, et al., 2007; Lonsdale, Hodge, & Raedeke, 2007). 따라서 Lonsdale 등 (2007)의 정의를 바탕으로 운동열의의 4가지 차원(자신감, 전념, 활력, 열광)에서 구한 측정 값을 운동열의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차원의 총합점수로 조작적인 정의 를 하였다.

3) 의도적 연습

의도적 연습(deliberate practice)은 수행을 개선할 목적으로 동기 유발된 매우 구조화된 활동으로 선수들이 최고의 수행성적을 위해 장기적이고 능동적으로 연습에 임하는 학습행동 을 의미한다(Ericsson, et al., 1993; 양명환, 2015). 본 연구에서는 6문항의 단일차원에서 얻은 측정값으로 조작적인 정의하였다.

4) 학습된 무기력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은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으로는 아무것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환경에 대해 수동적이 되고 문제해결에 대한 기대와 행 동을 쉽게 포기하는 현상을 말한다(노명희, 정경순, 강지연, 2001). 본 연구에서의 학습된 무 기력은 운동 상황에서 반복되는 실패가 자신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함으로 써 학습된 심리적 현상을 의미하며, 학습된 무기력의 5가지 차원(통제신념 결여, 운동동기 결여, 긍정정서 결여, 의도적 연습결여, 운동열의 결여)에서 구한 측정값의 총합점수로 조작 적인 정의를 하였다.

5) 운동 탈진

운동 탈진(athlete burnout)에 대한 다양한 개념적 정의가 사용되고 있으나(Cresswell &

Eklund, 2006) 본 연구에서는 Raedeke(1997)에 의해 정의된 정서적/신체적 고갈, 스포츠가 치 저하, 성취의식 감소로 특징지어지는 하나의 경험 증후군으로 운동탈진을 정의하였다. 따 라서 Raedeke(1997)의 정의를 바탕으로 운동탈진의 3가지 차원(정서적/신체적 고갈, 스포츠 가치 저하, 성취의식 감소)에서 구한 측정값을 운동탈진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는 3가지 차원의 총합점수로 조작적인 정의를 하였다.

6) 운동중단 의도

운동중단 의도(exercise discontinuance intention)는 지금 당장은 운동을 그만두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중단할 의사가 있음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미 운동을 중단한 선수들이 아니라 현장에서 운동을 지속하고 있는 선수들의 운동중단 의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중단 의도 질문지에서 구한 단일차원의 측정값으로 운동중단 의도를 정의 하였다.

7) 코치의 자율성 지지

코치의 자율성 지지(autonomy support)는 지도자가 의사결정과정에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참여시키고, 압력을 적게 주며, 선수들이 그들 자신의 관점을 견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이진호, 양명환, 2012; Black & Deci, 2000). 코치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오영택, 양명환, 2014) 를 바탕으로 코치의 자율성 지지의 2가지 차원(선수들의 의견수용, 자율적 행동 칭찬하기)에 서 구한 측정값의 총합점수로 정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