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 1

3. 연구결과

2) 희망과 학습된 무기력, 운동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 간의 경로분석

희망과 학습된 무기력 및 운동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 간의 매개효과 검증을 도해한 결과 는 <표 10>, <그림 18>과 같으며, 측정모형과 이론모형을 통해서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AMOS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결과도 PROCESS macro의 분석결과와 동일 하게 나타났다<부록1 참조>. 연구 1과 연구 2의 분석 틀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ROCESS macro에 의한 매개효과분석과 조절효과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림 18. 희망과 학습된 무기력 및 운동 적응행동과 부적응행동 간의 매개효과 독립변인 중 희망이 매개변수인 운동열의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1.096, SE=.096, t=11.4063, p<.001), 운동탈진에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091, SE=.095, t=.9556, p>.340). 다음으로 학습된 무기력이 운동열의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048, SE=.046, t=1.0232, p>.307), 운동탈진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771, SE=.046, t=16.7542, p<.001). 따라서 연구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두 번째 단계 에서는 매개변수인 운동열의와 운동탈진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운동열 의는 의도적 연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848, SE=.083, t=10.2233, p<.001), 운동중단 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018, SE=.063, t=-.2901, p>.772). 그 다음으로 운동탈진이 종속변 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운동탈진은 의도적 연습에 유의하지 않은 부(-)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072, SE=.084, t=-.8628, p>.389), 운동중단 의도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491, SE=.063, t=7.7347, p<.001). 따 라서 연구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운동열의와 운동탈진을 통제하였을 때 희망과 학습된 무기력이 의도적 연습과 운동중단 의

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희망은 의도적 연습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통계

는 것으로 나타나(B=.968, SE=.051, t=19.0637, p<.001) 연구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

미치는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된 무기력이 운동탈진을 거쳐 의도적 연 습에 미치는 경로계수(B=-.06)도 95% 편의교정신뢰구간(-.1932~.0852)에 0을 포함하고 있어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이 매개변인을 경유하여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총 간접효과는 .02이며, 95% 편의교 정신뢰구간의 하한값과 상한값(-.1320~1981)이 0을 포함하고 있어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열의와 운동탈진의 각각의 개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희망이 운동열의를 거쳐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경로계수(-.02)는 95% 편의교정신뢰구간(-.1421~.1008)에서 0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희망이 운동열의를 경유하여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희망이 운동탈진을 거쳐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경로 계수(B=04)도 95% 편의교정신뢰구간(-.0421~.1533)에 0을 포함하고 있어 간접효과는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이 매개변인을 경유하여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총 간접효과는 .38이며, 95% 편의교정신뢰구간의 하한값과 상한값(.2495~.5262)이 0을 포함하지 않아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운동열의와 운동탈진의 각각의 개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 기력이 운동열의를 거쳐 운동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B=-.00)는 95% 편의교정 신뢰구간(-.0132~.0039)에 0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된 무기력이 운동열의를 경유하여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된 무기력이 운동 탈진을 거쳐 운동중단 의도에 미치는 경로계수(B=.38)는 95% 편의교정신뢰구간 (.2510~.5262)에서 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된 무기력이 운동탈진을 경유하여 운동중단 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