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 서론

4. 용어의 정의

가. 기술교사

기술교사란 ‘기술’ 혹은 ‘기술·가정’자격을 소지하고 중학교에서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의 세계’분야를 가르치는 교사를 의미한다.

나. STEAM교육

기존의 STEM교육에 ‘A(Arts)’의 요소를 포함 시킨 것으로, 과학(Science), 기

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인문·예술(Arts) 및 수학(Mathematics)의 교과 또는 내용을 통합하여 가르침으로써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함양하는 교육이다(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

다. STEAM교육 태도

STEAM교육에 대해 갖는 특정 방식으로 반응하거나 행동하도록 결정하는 일관된 심리적 경향이다(Asma, Van Der Molen, & Aalderen-Smeets, 2011; Fishbein

& Ajzen, 2011). 태도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인지적, 정의적 및 행동적 차원으 로 구분(Eagly & Chaiken, 1993)되는 것을 근거로, 잠재변인 STEAM교육 태도의 관찰변인을 STEAM교육에 대한 가치판단, STEAM교육에 대한 감정적 선호도, STEAM교육을 실행하려는 행동성향으로 설정한다.

가치판단 관찰변인: STEAM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 및 가치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나 신념으로, Wahono와 Chang(2019)의 STEM태도 측정도구와 Xu 외(2019) 의 기술교사 태도 측정도구를 토대로 개발된 STEAM교육에 대한 가치판단 측정도구 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선호도 관찰변인: STEAM교육에 대해 교사가 가질 수 있는 전반적인 감정이나 느 낌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Wahono와 Chang(2019)의 STEM태도 측정도구, Thibaut 외(2018)의 STEM교육 태도 측정도구와 Xu 외(2019)의 기술교사 태도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개발한 STEAM교육에 대한 선호도 측정도구에 대해 중학교 기 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행동성향 관찰변인: STEAM교육에 대한 직접 행동하려는 의도나 동기로, Thibaut 외(2018)의 STEM교육 태도 측정도구와 Xu 외(2019)의 기술교사 태도 측정도구를 토대로 개발된 STEAM교육에 대한 행동성향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라. 수업자원 협력

수업자원 협력이란 교사들이 수업 개선 또는 학급 문제해결을 위해 도움을 주고받 는 활동(홍창남, 2005) 중에서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와 전문성, 자원 등을 공유 (Shah, 2011)하는 협력활동이다. 이를 근거로 잠재변인 수업자원 협력의 관찰변인 을 동료교사들 간의 학생에 대한 정보 공유, 서로 다른 교과지식 공유, 수업과 관련 된 각종 교수자료 공유로 설정한다.

학생정보 공유 관찰변인: 교사가 수업과 관련된 학생들의 정보를 동료 교사들과 공 유하는 활동으로, Shah(2011)의 교사협력성 측정도구을 토대로 개발한 학생정보 공 유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교과지식 공유 관찰변인: 교사가 교과에 대한 지식을 동료 교사들과 공유하는 활동 으로, Shah(2011)의 교사협력성 측정도구와 송인발과 박주호(2016)의 수업전문성 지향 교사협력활동 측정도구를 토대로 개발한 교과지식 공유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 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교수자료 공유 관찰변인: 교사가 수업과 관련된 자료를 동료 교사들과 공유하는 활 동으로, Shah(2011)의 교사협력성 측정도구와 송인발과 박주호(2016)의 수업전문 성 지향 교사협력활동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교수자료 공유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마. 학교교육변화 수용

학교교육변화 수용이란 교사가 학교 현장의 교육변화에 대한 신념을 갖고 적극적 으로 받아들이고 실행하려는 의지이다(배상훈, 이현주, 김영애, 2014). 학교 현장의 교육변화는 대표적으로 교육과정의 변화와 이에 따른 교수학습에서의 변화로 구분될 수 있으며(교육부, 2015; 박선화 외, 2017; 온정덕, 2015; 윤종혁 외, 2017), 이를 근거로 잠재변인 학교교육변화 수용의 관찰변인을 교사의 새로운 교육과정변화에 대 한 이해와 교수학습변화 적용으로 설정한다.

교육과정변화 이해 관찰변인: 교사가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바뀐 단위학교 교

육과정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의지로, 이수정(2012)의 교사 학교혁신수용도 측정도구를 토대로 개발한 교육과정변화 이해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 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교수학습변화 적용 관찰변인: 교사가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바뀐 교수학습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적용하려는 의지로, 온정덕(2015), 윤종혁 외(2017) 및 박선화 외(2017)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Wanberg와 Banas(2000)이 제시한 변 화수용성 측정도구를 토대로 개발한 교수학습변화 적용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 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바. 수업전문성

수업전문성이란 교사의 수업과 관련된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것이다(김동선, 홍창 남, 2018). 교사의 수업전문성이 교과내용 및 교육학적 지식과 같이 이론 및 내용과 관련된 유형과 실제 수업을 통해 발달되는 지식의 유형으로 구분되는 것을 근거로 (Shulman, 1987), 잠재변인 수업전문성의 관찰변인을 수업지식 및 수업능력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설정한다.

수업지식 개선 관찰변인: 교사의 일반적인 수업이론과 최신내용을 습득하기 위한 노력으로 수업전문성 관련 지식에 대한 선행연구(Grossman, 1990; Shulman, 1986; Tamir, 1998 등)의 내용을 토대로 안미현(2005)의 교사 자기개발노력 측정 도구를 참고하여 개발한 수업지식 개선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 를 의미한다.

수업능력 개선 관찰변인: 교사의 실제 수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수업 전문성 관련 지식에 대한 선행연구(Grossman, 1990; Shulman, 1986; Tamir, 1998 등)의 내용을 토대로 안미현(2005)의 교사 자기개발노력 측정도구를 참고하 여 개발한 수업능력 개선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사. 수업효능감

수업효능감이란 교사가 수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과와 관련하여 학생 의 학습동기를 자극하고, 대안적인 방법이나 평가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 력에 대한 기대와 신념이다(박주호, 송인발, 김화영, 곽현주, 2015). 일반적으로 수 업효능감이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교사의 가르치는 행위가 학생의 학습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결과기대감으로 구분되는 것을 근거로(이한규, 2009;

Ashton & Webb, 1985; Enochs & Riggs, 2012; Gibson & Dembo, 1984), 잠재 변인 수업효능감의 관찰변인을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결과기대로 설정한다.

자신감 관찰변인: 교사가 자신이 수업을 잘할 수 있다는 믿음 혹은 신념으로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자신감 측정도 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

결과기대 관찰변인: 교사가 일반적으로 수업의 결과에 대해 갖게 되는 믿음 혹은 신념으로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한 결과 기대 측정도구에 중학교 기술교사가 응답한 점수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