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9 세부 문항별 조사결과는 [부록 4]를 참조하기 바란다

6. 요약 및 시사점

소비자가 농식품 표시정보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을 도출하기 위해서 전국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의 농식품 표시·인증제도 이용 현황, 표시정책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였으며, 표시정보 이용 행태와 관련하여 요구사항을 심층 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FGI를 병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는 농식품의 표시정보의 중요성을 인식 함에도 실제 확인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식품류별로 꽤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비포장 채소/과일 구입 시 표시 정보를 확인하는 비중 이 56.1%로 가장 낮았고, 가정간편식(HMR)(57.2%), 포장 채소/과일(58.0%), 곡물(60.5%), 비포장육(72.3%), 포장육(75.1%)의 순서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예년에 비해 증가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은 아니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인지경로가 다변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소비자들이 농식품 구입 시 어떠한 표시정보를 이용하는지 조사해 보았더니, 쌀, 비포장 채소/과일, 비포장 육류를 구입할 때에는 원산지/생산지를 확인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과 HMR 구입 시 소비자의 절반 정도가 유통기

한을 확인했으며, 온라인으로 농식품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직접 구입하는 경우에 비해 표시정보를 확인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했다.

또한, 농식품 인증제도별로 제도에 대한 내용을 설명한 후 인증정보의 필요성과 구입의사를 평가해 보았다. 필요성과 구입의사 수준은 대체적으 로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이 두 측면이 동시에 높이 평가된 인 증표시는 HACCP, 무항생제, 유기 농산물/가공식품, GAP, 어린이 기호식 품 등이었다.

표시정보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식품류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곡물에 대해 소비자들은 표시정보가 어렵지 않고 필요한 표시정보가 어느 정도 있 으나, 비포장 채소/과일의 경우 표시항목이 너무 적다는 의견이 58.3%에 달했다. 가공식품이나 HMR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표시항목 수가 많고 충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표시모양이나 크기가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표시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5점 만점 기준 2013년 3.20점에서 2017년 3.53점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표시가 너무 많 아 믿음이 가지 않아서’와 ‘품질인증업체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 않아서’가 낮은 신뢰도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농식품 표시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한 부분은 ‘쉽고 간 편한 형태로 표시정보를 개편’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35.5%). QR코드와 같은 새로운 표시방법을 확인할 의향도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소비자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29.1%가 QR코드를 통해 추가적인 식품정보를 확인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여, 2018년 나트륨 QR 코드 활용도의 2배 이상이었다.

농식품 인증·표시제도나 관련 정책은 미국, EU, 일본이 활성화되어 참고할 만하다. 소비자의 관점에서 농식품 인증·표시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 한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기 국가들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우 리나라 인증·표시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40

1. 미국

1.1. 미국의 농식품 인증·표시정보 현황

미국의 농식품 인증·표시제도는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주관으로 시행하고 있는 유기 인증 표시제(USDA Certified Organic), 안전 및 품질 인증 표시제(Verification & Quality Labels)와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주관으 로 시행하고 있는 식품영양 표시제(Nutrition Facts Label)로 구분할 수 있 다(Keenan et al. 2015). 미국의 농식품 인증·표시제도 사용자에 따라서는 소비자, 가공업체, 포장업체, 산업체 용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소비자 용 도의 인증 표시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미국 농무부 주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