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분석 결과와 시사점

16 추가적으로, 보다 광범위한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2017년 식품소비행태조사와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 분석을 통해, 본 분석 결과의 강인성을 확인

3.1.2. 분석 결과와 시사점

식 (2)



 

 



 



 





′

 



′

 

3.1.2. 분석 결과와 시사점

표시정보 활용의 개념적 틀에서 제시된 것처럼 인증제도 구입경험은 10 개 식품류에 대한 표시정보 확인점수, 신뢰도,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양(+)의 관계에 있다. 이는 인증표시가 부착된 제품을 구입하도록 하 려면, 즉 인증표시를 활용하게 하려면, 먼저 표시를 확인하도록 해야 하고, 각 제도에 대한 신뢰도/만족도를 높여 줘야 함을 시사한다. 인증표시는 제 품의 프리미엄적인 성격을 부각시킨 표시정보이기 때문에 소득수준 및 고 급화 지향 여부와 양(+)의 관계에 있었으며, 본인 혹은 가족 중 한 명이라 도 질병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의 구입 경험이 높았다. 또한, 인증표시 부착 제품 구입 경험은 SNS나 TV로부터 표시정보를 습득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높았다.

10개 식품류에 대한 확인점수(합산)의 경우, 표시제도 인지점수가 높을수 록 더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표시정보 관여도가 높을수록, 표시정보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사람일수록, 표시정보가 ‘너무 없다’고 평가하는 사람일수록, 표시정보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확인점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34개 표시제도별로 합 산한 확인점수에 대해서도 (차이는 있으나) 유사하게 나타난다<표 2-1>.

17개

신뢰도 0.432** -0.335 0.252 -0.0253 -0.0232 0.0392 0.11 만족도 0.544*** 0.447 0.282 0.0939 0.108 0.126 0.0199

인구 사회 가구 변수

연령 0.0082 0.0435*** -0.0644*** -0.00589* -0.0166*** -0.00681 -0.0124***

남성 0.269 -0.251 -0.435 -0.0458 -0.101 -0.328*** 0.00702 교육수준 -0.0356 0.615* 0.652 0.0827 0.0651 0.156 0.113 소득수준 0.121** 0.0552 0.0766 0.0215 0.0139 0.0789*** 0.00219 가구원 수 0.0144 -0.0175 -0.23 -0.0211 -0.0374 -0.0609 0.0143 표시정보

관여/활용

표시정보 관여도 -0.0219 0.489*** 0.514*** 0.0520*** 0.101*** 0.120*** 0.117***

표시정보 활용 여부 0.553*** 1.636*** 0.474* 0.103** 0.0877 0.148* 0.152**

건강 관련 변수

운동 여부 0.0373 0.13 -0.285 -0.0858 0.0168 -0.058 0.0346 질병 유무 0.609*** -0.0673 0.981** 0.195*** 0.0773 0.233** 0.169*

라이프 스타일

편리성 지향 0.00608 -0.00429 -0.0614 -0.00136 -0.00637 -0.0157 0.00331 맛 지향 -0.063 0.0554 0.0956 0.00587 0.0158 0.0101 0.00688 건강 지향 0.0668 0.0736 0.196** 0.0448*** 0.0493** 0.0672** 0.0212 합리성 지향 -0.06 0.0872 0.150* 0.00475 0.027 -0.000212 0.0573***

고급화 지향 0.289*** 0.0316 0.148 0.00556 0.0232 0.0500* 0.0399 표시

정보 평가

너무 많다 0.0625 0.0516 -0.192** -0.0415*** -0.0185 -0.0287 -0.0383*

너무 없다 0.066 0.149** 0.192** 0.0262* 0.0408** 0.0434* 0.0396*

이해 어렵다 0.0221 -0.420*** -0.163* -0.00369 -0.0394** -0.0495** -0.0353 정보습득

채널

SNS 0.765*** -0.123 0.429 0.0452 0.0958 0.167* 0.0743 TV 0.644*** 0.318 -0.49 -0.0559 0.00422 -0.122 -0.0908 상수항 -13.12*** 5.663*** -17.87*** -2.095*** -3.125*** -4.514*** -4.032***

표본 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R-sq 0.27 0.41 0.44 0.39 0.32 0.4 0.34

<표 2-1> 농식품 표시정보 구입 및 확인 요인 분석

주: *, **, ***는 각각 1%, 5%, 1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자료: 저자 작성.

3.2. 농식품 표시정보 활용의 효과 분석 3.2.1. 분석 자료 및 방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행태조사’ 2016년, 2017년 원자료를 분석 하였으며 2016년과 2017년 모두 식품소비행태조사 주구입자 설문에 응답 한 2,381명을 2기간(

  

) 패널데이터 형식으로 구성하여 분석해 활용하 였다<표 2-2>.

항목 설명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행태조사

연도(표본 수) 2016년도 주구입자(3,290명) 2017년도 주구입자(3,043명) 자료 통합 방식 2016년과 2017년 모두 응답한 2,381명을 패널데이터 형식으로 구성

<표 2-2> 분석자료 요약

자료: 저자 작성.

종속변수로는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를 사용하였다. 식품소비행태조사는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를 총 9 개 영역 56개 문항으로 조사하고 있어 농식품 소비자의 역량을 점수화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 단위 조사이다. 56개 문항 각각이 5단계 척도로 조사 되었으므로 단계별 1~5점을 부여하고 9개 영역 각각을 구성하고 있는 문 항의 합산점수를 해당 영역 소비자 역량지수로 정의하여 활용하였다. 2016 년과 2017년 동일 응답자의 소비자 역량지수 증가분이 관심 변수이다.

식품소비행태조사 성인 대상 조사표에는 “1년 전에 비해 식료품의 표면 이나 포장에 표시된 내용을 더 많이 보게 되었다”에 대한 동의수준을 묻는 5단계 척도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이 분석의 주요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아래와 같은 선형회귀모형이 활용되었다. 여기에서

∆

는 개 인 의 영역에서의 2016~2017년 역량지수 변동분이다. 구체적으로는

∆



 

    

 

    으로 산출된다.

∆ 

    는 개인

가 2017년 도에 응답한 ‘전년 대비 식품 표시 활용 증가 여부’이다

    는 2017

년도에 측정된 개인 의 기타 설명(통제)변수 벡터이며,      이다.

식 (3) ∆    ∆       ′ 

3.2.2. 분석 결과와 시사점

전년에 비해 식료품 표시를 더 많이 보게 된 그룹(‘활용도 증가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8개 영역의 소비자 역량지수 중 3개 영역에서 더 높은 역량의 개선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구매환경 역량지수, 안전한 식생활 역량지수, 건강한 식생활 역량지수가 각각 0.37, 0.39, 0.66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한 식생활 역량지수에서의 차이 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식품표시정보 활용도와 소비자의 구매환경 역량지수, 안전식생활 역량지수, 건강식생활 역량지수 사이에는 양(+)의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시정보 활용도가 제고되었을 때 우리 국민의 식생활 역량 지수는 개선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표 2-3>.

구분 정보활용 연령 0.00256 -0.0103 0.0092 -0.00632 -0.0167* -0.0082 -0.0187 0.0023 성별(남성=1) 0.442 0.238 0.314 -0.271 -0.326 0.973** 0.603 0.595**

고등학교 졸업 0.351 0.17 -0.0526 0.986* 0.181 0.308 0.244 0.165

대학 이상 졸업 0.659 -0.0439 0.147 0.668 -0.229 0.416 -0.0252 -0.117 소득 수준 0.0217 0.0381* -0.0167 -0.0441 0.0149 0.012 -0.00343 0.0126 성인 가구원 수 -0.310** -0.203** 0.0682 -0.406** -0.301*** -0.318* -0.284* -0.204*

청소년 가구원 수 -0.206 -0.111 -0.196* 0.158 -0.131 -0.197 -0.0359 -0.207 거주지역(도시=1) -0.282 -0.349* -0.126 -0.0889 -0.273 -0.469 -0.389 0.184

식생활 변수

체질량지수 0.0508 0.0606* -0.00783 0.184*** 0.0358 0.141** 0.1 -0.00594 식이조절 관심 여부 -0.192 -0.0744 -0.0241 -0.560** -0.340*** -0.196 -0.181 0.0793 식생활 만족 여부 0.415* 0.245* 0.404** 0.205 0.457*** -0.0244 0.358 -0.0978 식품의 건강효과 평가 0.0785 -0.122 -0.271 0.651 0.0923 0.278 0.0918 -0.0205

식품 정책 표시정책 만족도 -0.0343*** -0.00863 -0.0326*** -0.0654*** -0.00991 -0.0359*** -0.0228* -0.0304***

라이프 스타일

간편성 추구 경향 -0.191*** -0.0407 -0.0315 -0.266*** -0.0536 -0.140** -0.136** -0.0988**

맛/다양성 추구 경향 -0.0858 0.017 0.0277 -0.0578 -0.0668 0.0424 -0.0832 0.0466 건강/영양 추구 경향 0.0612 -0.0138 0.00495 0.453*** 0.130** 0.227** 0.256*** 0.117*

가격/합리성 추구 경향 0.235*** 0.0774** 0.0757 0.226** 0.0434 0.205** 0.0214 0.100*

고급화 추구 경향 0.0864 -0.0139 -0.0282 -0.0435 0.0286 0.0237 0.134* 0.0822 상수항 -11.63*** -4.237* -3.957* -14.86*** 0.208 -16.35*** -14.04*** -8.586***

N 2381 2381 2381 2381 2381 2381 2381 2381

<표 2-3> 농식품 표시정보 활용의 효과

주: *, **, ***는 각각 1%, 5%, 1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자료: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자료 분석(2017~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