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옥내소화전설비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인 자체 관리자나 재실 자에 의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건축물 내에 설치하는 고정식, 수동식의 물(수계)소화설비이다(박수근, 2018).

옥내소화전 시설은 펌프작동이 자동기동과 수동기동에 의해 작동 되며, 자동기동은 그 외 용도에 적용하고, 수동기동은 동결에 우려 가 있는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동결우려가 있는 공장․학교․업무시설․창고시설․전시시설․종 교시설을 제외한 특정 소방대상물에는 자동기동방식을 설치하여야 한다. 아파트옥내소화전설비는 자동기동방식으로 항상 배관에 물이 들어 있으며 소화전 노즐의 밸브를 열면 물이 나오는 시설이다.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시설로 배관의 물 압력이 낮아져도 옥 내소화전함의 상부에 표시등의 작동 확인만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 단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림Ⅱ-1] 과 같이 소화전의 앵글밸브를 열면 소화수가 나오는 구조로 초기화재진압에 재실 자가 주로 사용한다. 옥내소화전함의

표시등 불빛을 보고 전기적 상태를 알 수가 있지만, 옥내소화전 배 관에 가압수가 없다면 화재진압에 주수소화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 서 겨울철 동결방지와 기타원인으로 배관에 물을 배수해 놓을 경우, 이를 옥내소화전함에서 배관의 가압 수 흐름을 미리확인 할 수 있 는 압력계를 설치한다면 재실 자들은 초기화재진압에 대처능력을 높일 것이다.

[그림Ⅱ-1] 옥내소화전 계통도 (권선좌, 2019)

나. 옥내소화전함 압력계의 구성요인

옥내소화전함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 중 아파트 관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옥내소화전은 화재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근무자 또는 거주자가 소 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노즐 및 호스를 이용하여 소화 작업을 행하 는 설비이다.

옥내소화전설비는 일반적으로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과 개폐밸 브, 호스, 노즐 등을 격납하는 상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화펌프 기 동방식은 소화전까지 배관 내에 항시 가압수가 들어있는 자동기동 방식과 소화전함에서 수동으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수동기동방식 이 있으나 대부분 옥내소화전 설비는 자동기동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강채우, 2016).

옥내소화전 설비는 화재 발생 시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 또는 자위소방대원이 이를 사용하여 발화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 록 건물 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화재 시 옥내소화전은 소방관 이 아니고 현장에 있던 사람이 주로 사용하는 소화설비로 옥내소화 전함의 구성요인은 “소화전함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되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등에 충분한 여 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할 것, 연결송수관의 방수구를 같이 설치하는 경우에도 같다. 옥내소화전함의 외부에는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과

화재 시 경보를 알리는 발신기, 기동표시등이 있으며, 내부에는 옥 내소화전 앵글밸브, 관창, 감압밸브,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앵글밸브와 배관의 중간에 압력계 및 센서, 음향기능을 설치하여 앵글밸브 작동 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하고 옥내소화 전 펌프 자동기동 등으로 유량의 압력변화에 의한 지침이 정상적으 로 작동하여 배관 내에 수원 확인을 하게 한다.

직경 40mm의 단일피의 직조호스인 소방호스를 사용하였으며, 호 스의 길이는 15m, 10m, 5m의 3가지 종류를 사용하였다.「옥내소화 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TSC 102)」옥내소화전을 사용하는 노즐선 단의 방수압력이 0.7MPa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야하므로 방수구 또는 주배관에 이미 감압조치가 되어있을 것이다.

방수압이 0.7MPa미만으로 설정되어있는 경우, 고무내장호스에서는 사용압력 0.7MPa와 0.9MPa을 선택한다.

호스의 보관방법 또한 호스걸이에 접힌 상태로 보관하거나, 층층이 개어 접힌 형태로 옥내소화전함 내에 보관하게 된다. 소방호스의 사 용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접힌 부분의 주름 또는 협착으로 인해 압 력에 저항하는 능력이 낮아지고 호스의 내구성이 약해지게 되어 고 압으로 방수하는 경우 호스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호스의 노후화로 인한 감압 오리피스의 감압 능력 감소와 저항 압력의 감소에 따른 방수압력의 증가가 더해지면 서 호스의 파손가능성은 점점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 옥내소화전함 압력계 측정

옥내소화전함의 압력계 및 센서, 음향기능 측정은 아파트 화재 시 관계자가 수원을 확인하는 변인 중 하나로, 초기화재 진압상황을 적 용시킨 개념이다.

하위구인을 살펴보면 설치현황인지, 교육경험, 사용방법에 대한 이 해, 옥내소화전함 문제점 개선, 옥내소화전함 압력계 및 센서, 음향 기능으로 나눠지고, 이와 관련된 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옥내소화전의 사용현황은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옥내소화전의 도구를 인용하여 사용하였다.옥내소화전에서 위치나 사용방법에서 초기화재진압을 위해 관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관 성을(이원주, 이창섭, 2016) 설명하였다.

화재의 초기 진압 시 옥내소화전의 위치나 사용방법을 우선 인지 할 수 있는데 정확한 위치파악을 하고나서 압력계 및 센서, 음향기 능으로 배관의 수원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옥내소화전 기준개수를 층당 최대 5개까지 수원의 유효수량은 동 시에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고층건축물의 증가에 따라 옥내소화전 방사 시간을 층에 5개 이상 설치했을 때 5개를 사 용 기준개수로 적용하여 고층건물 화재 특성에 맞도록 수원의 기준 을 30층 미만 건축물은 종전처럼 20분에 13㎥ 이상을 확보하고, 50 층 미만은 40분 기준으로 26㎥ 이상, 50층 이상은 60분 기준으로 39

㎥ 이상의 수원량을 확보하도록 강화하여 개정되었지만(박수근, 2018), 옥내소화전함내의 압력계를 설치하여 수원을 확인하여 안전 하게 소화할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옥내소화전 압력계 및 센서, 음향기능의(이원주, 이창섭, 2016) 설 치현황인지, 교육경험, 사용방법을 조작적 정의로 척도를 사용하였 고, 방사압력 적정, 방사유량적정, 압력계 및 센서, 음향기능(박수근, 2018)은 조작적 정의로 수정하여 측정하였고, 신뢰도는 .82로 확인되 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