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2편 연구물의 연구 주제는 크게 학습자료, 교수방식, 연구목적으로 나뉘어졌 다. 각 연구들의 초점이 달랐기 때문에 공통된 분류 기준을 세우기가 사실상 어려 웠고,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각각의 논문에서 가장 강조되는 키워드를 선별 하여 이를 학습자료, 교수방식, 연구목적이라는 세 가지 주제어로 묶어서 제시하 였다. 이는 초등영어에서 스토리텔링 관련 연구들이 어떤 주제에 집중되고 있는 가, 또는 어떤 다양한 주제들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 함이며, 본 연구를 참고하여 초등영어교육에서 스토리텔링 수업을 진행하고자 하 는 교사들에게는 실질적으로 스토리텔링 관련 논문 전체를 가장 잘 개관할 수 있 는 도표가 될 것이다. 연구목적은 앞서 교육과정의 흐름에 맞춰 다루었으나 시기 별이 아닌 주제별로 정리했을 때 또 다른 경향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아 분류에 포함시켜 분석하였다.

<표 Ⅳ-4> 연구주제별 분류

교수방식

가. 학습자료

우선 학습 자료를 살펴보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아이 들에게 이미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흥미를 자극하는 훌륭한 동기 유발 수단이 되고 있는 만화를 활용하여 읽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민덕기(1998), 김 혜련, 강운석(2005)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정행(2003)은 단순히 교과서로 수업 한 반과 이야기를 통합하여 수업한 반을 비교하여 이야기 활용의 효과를 알아봄 으로써 스토리텔링 교육이 널리 활용되어져야함을 주장했다. 박선호, 안재은 (2006)은 영어로 번역된 전래동화의 제공 실태를 조사하고 전래동화 영역본의 어 휘를 연구함으로써 전래동화가 초등영어 교재로 활용 가능한 교재인지 알아보았 고, 문화간 의사소통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향상에 적합한 교재인 전래동화의 보급률을 높여야 하며, 전래동화를 영어로 번역하는데 있어 어휘수와 어휘량, 빈도 및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김혜리, 강영옥(2009)은 시의 특징인 간결성, 리듬, 운율, 이미지들이 함께 결합 되어 언어 학습자에게 총체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영어동시를 활용 읽기-쓰기 연계학습을 통해서 알아보았고, 노경진, 김신혜(2012)는 영어동화를 읽고 리 딩 저널을 쓰는 활동을 하는 수업을 실시하여 리딩 저널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학생들의 전 반적인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교사의 교정 피드백은 쓰기의 흐름을 방해하 지 않는 범위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3명의 아동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고, 교사의 피드백의 유무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고 하였으 며, 초등영어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규 수업시간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서현주, 이희경(2008)은 순수한 문학적 경험에 초점을 두고 창작한 문학작품이 라 할 수 있는 진정본(authentic/original)영어동화와 언어학습 효과에 초점을 맞 추어 제작된 이야기책이라 할 수 있는 단계별 독본(graded readers)은 독서지도 효과와 문학적 간접경험의 효과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영어교육현장에서 그 차이점에 대한 뚜렷한 인식 없이 ‘영어 이야기책’이라는 명칭으로 혼용되어 옴 을 지적하고, 이 두 부류의 이야기책에 대한 텍스트 평가와 학부모의 인식, 선호

도, 활용 실태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내용과 그림면에서는 단계별 독본보다 영어동화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언어와 가독성면에서는 단계별 독본의 점수가 높 았고, 학부모들은 두 가지 모두를 비슷한 수준에서 활용하고 있었는데, 영어독서 를 즐기는 아이들과 그 부모들은 단계별 독본보다 영어동화를 선호한 비중이 높 았다.

권현정, 김혜리(2012), 권은희, 박성수(2014)는 모두 패턴북이 갖고 있는 특징인 반복성, 리듬감, 축적성, 계열성, 예측가능성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권 현정, 김혜리(2012)는 패턴북을 통해 고학년 학습부진학생에게 문자지도를 하였 고, 권은희, 박성수(2014)는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들의 영어 리터러시 양상을 연 구하였다. 조규희(2013)는 개작 영어동화를 활용하여 어휘 중심 초등 영어수업의 효과를 연구하였는데, 내용의 부족합성, 교수·학습 시간, 학습 목표 및 언어의 난 이도를 생각했을 때, 동화의 개작이 필요하다는 방경아(2006)의 의견을 예로 들며 교육과정과 영어동화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영어동화를 개작하여 연구에 활 용하였다.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며 화두가 된 것이 바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인데, 2002년 에 민덕기의 연구가 있은 후로 2011년에 김성연, 정지혜의 연구가 다시 학술지에 실렸다. 민덕기(2002)는 서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매체의 보급의 시기와 맞물려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고, 김성연, 정지혜 (2011)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면대면 스토리텔링의 효과를 조사, 분석하는데 편중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디지털 매체의 장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어떤 영향 을 끼치는지 면대면 스토리텔링의 효과와 비교하였고, 그 결과 스토리텔링 방법 보다는 교재가 학습자의 수업 선호도를 결정하는데 더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그 렇기 때문에 교실 상황 및 학습자 반응에 따라 각 수업 방법의 장점을 살려 효과 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결론 내었다.

문정인, 맹은경(2012), 채영신, 윤은자(2013)은 모두 스토리싱잉(story singing) 에 관하여 연구하였는데, 문정인, 맹은경(2012)은 초등학생들의 읽기 이해에 있어 서 스토리텔링과 스토리싱잉(story singing)이 각각 어떤 효과를 주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는데, 본 연구 결과 읽기 이해도에는 별 차이가 없었지만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스토리싱잉(story singing)보다 스토리텔링이 더 읽기 이해도에 기여한 다고 결론내렸고, 또한 스토리싱잉(story singing) 그룹 학생들은 새로운 멜로디 와 리듬, 박자를 배우는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학생들의 성격과 수업 내용의 양을 고려하는 것이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 매우 중요함을 밝혔다.

채영신, 윤은자(2013)는 효율적인 학습이란 적은 노력으로 학습된 내용이 장기기 억으로 오래 지속 저장될 수 있을 때라고 주장하며, 스토리싱잉(story singing)이 학습자의장, 단기 기억과 문법습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 을 알아보았는데, 단기기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두 달의 휴식기를 거친 후에 실시한 장기능력평가와 망각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단 문법습득 측면에서는 영어동화를 소리 내어 읽었을 때나 노래 로 불렀을 때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는 스토리싱잉(story singing)이 스토리텔링으로 수업한 반보다 흥미도, 참여도, 관심도 부분에서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하였다. 이렇듯 초등영어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 함에 있어 다양한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새로운 자료에 대한 탐구 또한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자 연구

(content-based integrated language teaching-learning) (Story-based integrated teaching)

TBLT(tast-based learning and teaching)

SBLT(storytelling-based learning and teaching) 나. 교수 방식

교수 방식 카테고리를 살펴보면, 교과통합지도, 읽기전략지도에 많은 연구가 이 루어지고, 그 외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교과통합지 도 연구들의 개괄적인 특징을 정리한 표는 다음 <표 Ⅳ-5>와 같다.

<표 Ⅳ-5> 교과통합지도 연구

교과통합지도 연구는 영어 시수의 부족을 극복하고 실제성을 보장하기 위해 등 장하였는데, 다양한 학년과 다양한 과목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희숙, 최지은(2001)은 다른 교과통합 연구들보다 앞선 시기인 2001년에 5학년을 대상으 로 영어-수학 내용중심 교과통합 방법을 활용하여 교수 요목과 수업모형을 설계 하고 현장에 적용한 뒤,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효과를 검증하였다. 김혜리, 이정윤 (2009)은 PAR 수업모형을 도입하여 5학년 학생들에게 과학과 사회 과목 내용을 담고 있는 문학텍스트를 읽고 쓰는 통합 문자학습의 과정과 양상을 살펴보았고, 이영란, 고경석(2011)은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 동화 활용 교과 통합 프로 그램을 실시하여 인지적, 정의적 효과를 알아보았는데, 이 수업이 학습의 수준별 특성과, 다중 지능적 학습자 특성에 따라 어떤 교육적 반응을 나타내는지 연구하 였으며 그 결과 모든 부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김혜리, 김은연(2012)은 초등영어 내용통합 수업에서 동시와 이야기를 연계한 문자학습의 양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는데, 내용중심 수업을 하면서 같은 주제에 대하여 동시 와 이야기라는 다른 장르 텍스트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내용과 언어에 대한 학습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박찬순, 강문구(2013)는 현행 교과서에 이야기가 부분적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박찬순, 강문구(2013)는 현행 교과서에 이야기가 부분적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