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3. 메타연구의 유형

가. 메타분석의 개념(이종승, 2009)

이종승(2009)은 그의 저서에서 메타분석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오늘 날 지식과 기술의 발달 속도는 매우 빠르며 지식의 축적이 옛날에는 완만하게 이 루어진데 반해, 현대에 와서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고 이러한 현상 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그리하여 요즘에는 자기가 전공하는 어느 특 정 분야에 관련된 논문만을 읽는 것도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헤아릴 수 없이 많

은 연구물이 매년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며, 선행연구를 개관해야 될 경우 그 숫자가 수십 편이 되는 것은 보통이다. 따라서 이렇게 방대한 양의 연구물이 쌓이 게 되었기 때문에 선행연구의 결과를 개관하는 방법도 자연히 종전의 방식과는 달라져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어느 한 주제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요약할 때 전통적으로 흔히 사 용하는 방식은 대체로 각 연구 결과를 낱낱이 열거하면서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 나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연구를 종합할 때, 연구자의 편견이 작용하기 쉽다는 단 점과 아울러 연구물의 수가 크게 불어남에 따라 이 방식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게 되었다. 여러 연구결과의 종합을 위한 통계적 접근방법이 근래에 와서 많이 쓰이 게 된 것은 바로 이와 같은 배경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것이다. 수량적 방법을 이 용하여 선행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는 것은 전통적인 방식에 의하여 종합하는 것보 다 좀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어느 상황에나 수량적 접근방법을 사용할 수는 없다.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양적 문제가 아닌 질적 문제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연구주제에 관하여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통 계적으로 요약하려는 시도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으나, 1970년대 이후부터 특히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Glass(1976)를 비롯 하여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메타분석이라고 하는 것도 여러 연구의 결과들을 종 합하는데 사용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현재 통계적 종합 방법의 대명사처럼 쓰이 고 있다. 메타분석(meta-analysis)이란 분석의 분석으로서, 어떤 연구주제에 관하 여 이루어진 여러 연구결과들을 하나로 모아 요약할 목적으로 개별 연구들의 결 과를 수집하여 통계적으로 다시 분석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이종승, 2009)

이종승(2009)에 의한 메타분석의 절차는 크게 5단계로 이루어진다.

메타분석의

이 밖에도 메타분석의 개념에 대한 견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나장함 (2008)은 연구 방법론으로서 메타분석은 1970년 중반 이후 언급되어 왔으며, 동일 한 연구 문제를 대상으로 연구한 연구물 간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고안된 연구방법이라고 밝혔고, 김정환(2008)에 따르면 전통적인 메 타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개별 연구의 결과들을 나열하고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이었으나, 이 방법은 연구들을 종합하는 연구자의 편견이 들어가기 쉽고 종합할 문헌들이 많아질수록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개관이 어려워 연구의 수가 많아지면서 연구자가 그 숫자를 감당하기 어렵게 됨에 따라 보다 나 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는 방법으로 메타분석법이 제시되었고, 메타분석은 ‘분석의 분석’을 한다는 점에 있어 연구결과들을 통합할 목적으로 다수의 개별적 연구결 과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이라고 밝혔다.

과거에 메타분석은 경험적 연구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연구방법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개별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관찰되는 패턴을 규명함으로써 원래의 연구에서 알아볼 수 없던 새로운 결론에 이르기 위해 활용되는 것으로 인 식되고 있다(Hunt, 1997). 메타분석에서 ‘메타’의 사전적 정의는 ‘~를 넘어선 상위 의 수준에서’, ‘~후에’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메타분석이란 원래의 구 조와 본질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를 바탕으로 보다 논리적으로 체계화되 고 정련된 새로운 차원으로의 변화를 포함하고 있다(박순경, 1999). 즉, 기존의 것 에서 출발하되 그것을 넘어서 이차적인 도약을 꾀하고자 하는 의도에 의해 수행 되는 연구방법이다.(박지애, 2012)

나. 메타분석의 의의와 기능

메타분석이 갖는 의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첫째는 메 타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메타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의 흐름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보게 되며, 누적되어온 연구물들 의 연구 성과를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메타분석은 연구자 가 관련 하위 분야들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 하고 투시할 수 있도록 한다(장회익, 1990). 메타분석은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종 합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연구 주제와 연구 방향을 보다 넓은 시야로 규명하

도록 도움으로써, 기존에 수행되어온 연구와 앞으로 수행되어질 연구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연결해 준다.(박지애, 2012)

그러나 메타분석의 중요한 의의는 연구 결과물에 대한 일차적인 이해에 그칠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한층 더 깊은 이해를 이끌어내고자 한다는 것에 있 다. 선행 연구의 양적 성장은 적정 시점에서 질적인 도약을 요구하며, 이와 같은 질적인 도약은 기존 지식을 단순히 수용하는 데에서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지적 구조물을 형성하게 한다. 이때 메타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분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데, 메타분석은 단순히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서 새로운 구조들을 찾아내고, 그 것을 다시 정련하여, 그 결과를 한층 더 고양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냄으로써 가능하다(박순경, 1999)

메타분석의 목적이나 기능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김정환, 2008) 1)연구문제 또는 가설 등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한 다.

2) 연구문제 또는 가설 등을 전제로 분석결과가 서로 일치 또는 유사할 경우 보 다 넓은 일반화 또는 결론의 유도를 가능케 함으로써 지식의 축적을 촉진한다.

3) 분석결과가 서로 불일치하거나 대립될 때는 오히려 새로운 설명 메커니즘의 도축을 가능케도 한다.

4) 불필요한 연구나 분석의 반복을 피할 수 있게 된다.

5)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 있어 이미 다른 연구자들이 범한 과오를 회피할 수 있 게 하고, 또 만일 그러한 문제를 당면하게 되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주 기도 한다.

다. 메타연구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되, 메타통계적인 부분보다 질적인 부분에 더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연구에 대한 연구’인 ‘메타연구’라는 용어 를 사용하여 메타분석과 차이점을 두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