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범위와 방법

지금까지 이여도에 관한 연구는 전설, 민요를 통하여 산발적으로 이루 어진 바 있으나 이여도의 의미 수용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것이 현실 이다. 이 연구는 제주인들에게 전승되는 이여도가 현대소설에 어떠한 의 미와 상징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여도, ‘이어도’, ‘파랑도’ 등의 명칭에 관한 검토가 필 요하다고 본다. 작품 속에서 이여도에 대한 명칭이 언급된 것으로는 1940년 대 김이옥의 시와 이시형의 소설에서 발견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 정한숙 의 소설로 이어진다. 그 후 1970년대에 들어 이청준이 「이어도」를 발표하

면서 이여도는 ‘이어도’로 명명되다가, 1979년 KBS가 ‘전설의 고향 <이어 도>’와 1983년 KBS ‘TV 문학관 <이어도>’를 방영하면서 대중들 사이에 이여도는 ‘이어도’로 보편화되기 시작한다. 작품뿐만 아니라, 상호의 간판 에서도 ‘이어도’를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김은희 ꡔ이여도를 찾아서ꡕ에서 상호명을 조사한 것에 따르면 이여도라는 상호는 2곳인데 비해, ‘이어도’는 28곳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19)

그러므로 1970년 이후 급속히 이여도가 <이어도>로 활자화되거나 알려 진 것은 무엇보다 매스컴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1984년 KBS와 제 주대학교가 파랑도 탐사를 시도하여 스코트라 섬20)의 소재를 파악했을 때, KBS에서는 이것을 ‘이어도 탐사’라 하여 크게 보도하고, 정부에서 스 코트라 암초의 이름을 ‘이어도’라고 명명한 것도 일조했다고 본다.

이것을 계기로 이여도는 제주도 서남쪽 먼바다에 있는 물 속의 암초라 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실재하지 않은 전설 의 섬 이여도를 실재하는 ‘파랑도’와 일치시켜 유추케 함으로써, 제주인들 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이여도에 대한 믿음에 혼란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1987년 해운항만청에서 파랑도에 ‘이어도’ 동부표를 설치 하고, 1999년에는 제주도에서 “제주인의 理想鄕 이어도는 제주 땅”이라는 수중 표석을 설치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이 곳을 이여도로 인정한 셈이 되 었다. 또 해양수산부는 이 곳에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를 1995년에 착 공하여 2003년 6월 완공함으로써 이여도와 파랑도 종합해양과학기지를 같 은 섬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 결과 수중에 떠 있는 암초가 이여도로 잘못 인식되어 환상의 섬, 꿈 의 섬의 이미지가 퇴색됨은 물론 수중 암초에 붙여진 파랑도 (socotra rock)가 환상의 섬 이여도로 착각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예는 한국 현대소설 작품 속에서도 발견된다. 이를테면, 1974년 이

19) 김은희, ꡔ이여도를 찾아서ꡕ, 이어도, 2002, p.18.

20) 1900년 영국상선 Socotra호가 암초에 부딪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1901년 Water Witch호가 본격 탐사하여 이를 확인한 선장 Lyne가 이 암초를 처음 발견 한 Socotra호의 이름을 따라 Socotra Rock이라는 이름으로 해도상에 표기되었다.

청준이 발표한 중편 「이어도」도 전설의 섬 이여도와 ‘파랑도’를 동일시하 고 있어 독자들에게 혼란을 느끼게 하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는 인터넷에 서 파랑도를 검색하면 ‘이어도(離於島)’ 또는 스코트라 록(scotra rock)이 라 설명하고 있어 이상향으로서 이여도의 이미지는 거의 찾을 수 없는 실정이다.

필자는 이 연구에서 이여도와 ‘이어도’, ‘파랑도’의 일치 여부를 논증하 는 대신 텍스트 원전의 직접 인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여도로 표기하고 자 한다. 이여도는 제주인들이 ‘이어도’ 보다 많이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학 자들이 채록한 민요에도 대부분 이여도로 표기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21)

이 연구에서는 이여도를 모티프로 한 현대소설 중에서 특별히 4편에 국 한시켜 논의하고자 한다. 김석범의 ꡔ화산도ꡕ22)와 정한숙의 「IYEU島」23), 이 청준의 「이어도」24), 고시홍의 「표류하는 이어도」25)가 그것이다. 이처럼 텍스트를 한정하는 것은 이여도의 의미를 제재나 주제의 관점에서 수용하 고 있다는 공통 요소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 이다.

첫째,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모두 제주 지역이라는 점이다. 제주시와 어 촌이 배경이 되고 있다. 그리고 주인공들도 이여도가 제주 해역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21) 김영돈, ꡔ제주의 민요ꡕ, 신아문화사, 1993.

_____ , ꡔ제주민의 삶과 문화ꡕ, 도서출판제주문화, 1993.

_____ , ꡔ제주도 민요 연구. 상ꡕ, 일조각, 1965.

大谷森繁, 「高橋先生과 朝鮮의 民謠」, 좌혜경 편, ꡔ제주섬의 노래ꡕ, 국학자료원, 1995.

22) 김석범, ꡔ화산도ꡕ, 실천문학사, 1988.

ꡔ화산도ꡕ는 1부와 2부로 나누어 만들어졌는데 1부 전 5권은 1988년 이호철, 김석 희의 번역으로 실천문학사에서 나왔고, 1990년대에 마무리된 2부는 아직 번역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1부 전 5권에 한정되었음을 밝혀둔다.

23) 정한숙, 「이여도」, ꡔ학원한국문학전집ꡕ, 학원출판 공사, 1988.

24) 이청준, 「이어도」, ꡔ제3세대한국문학ꡕ, 삼성출판사, 1984.

25) 고시홍, 「표류하는 이어도」, ꡔ대통령의 손수건ꡕ, 전예원, 1987.

둘째, 이 작품들은 제주 토박이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야기를 진행 하고 있으며, 그들은 비정상적인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 고 있다.

셋째, 과거 제주인들의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여도를 주제로 형상화하고 있다. 작중인물 중의 누군가 이여도를 찾아 가다가 물 에 빠져 죽음을 선택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넷째, 제주도의 가옥과 무가 등 전통적인 생활풍습이 묘사되었다는 점 이다.

다섯째, 작가들은 이여도의 의미를 객관적으로 수용하고자 이여도 전설 과 민요를 인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위와 같은 요소들을 바탕으로 구조주의와 기호학의 방법을 부분적으로 원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 결과로써 이여도가 어떤 의미로 수용되었는가를 설명하게 될 것이다. 텍스트의 분석 과정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단계는 텍스트의 의미망 요약과 추출 과정 을 거쳐 구조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작중인물의 욕망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들이 욕망의 목표인 이여도를 어떻게 갈등과 고뇌 속에서 추구해 나가는가를 살피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 단계로 이항대립 구조를 활용하여 주제가 형상화되는 과정과 이여도가 현 대적으로 의미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