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설적 낙원 탐구의 욕망

천남석 기자 이여도에 대한 한이 쌓임

부모님 →

천남석 기자

의 존재를 믿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1장에서의 기능은 양주호 국장과 선우현 중위의 의식의 대립이다. 과학 과 합리를 떠나 천남석 기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상황이 전개될 조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2장은 이여도의 허구가 오히려 절망적인 죽음이 아님을 보여주기 위한 역설과 반증이 시작되는 곳이다. 3장과 4장, 5장은 액자 속의 내부 이야기 로서 독자에게 신뢰성과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부모님의 이여도에 대 한 한이 천남석 기자에게 대물림되어 차곡차곡 쌓이게 되어 현실과 이상 의 세계를 구별하지 못하는 상태까지 이르러 그의 이여도에 대한 정신세 계의 심화적 단계로 두려움과 초조함이 극에 달하여 자신과의 싸움이 치 열해진다. 6장에서는 주인공이 자살을 통하여 이여도의 허구성을 역설적 으로 반증하고, 7장에서는 천남석 기자의 시체가 떠오름으로써 이여도의 부재를 증명하게 된다.

2) 역설적 낙원 탐구의 욕망

(1) 작중인물의 욕망

이 작품에서 행위자로 등장하여 욕망을 생산하는 인물은 천남석 기자이 다.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라 그의 욕망은 달라지고 있다. 욕망생성 과 정과 변화를 비이념적 욕망분석법53)에 따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53) 안성수, 앞의 책, pp.115~116

욕망의 주체인 천남석 기자는 아주 오래 전에 아버지가 이여도를 찾아 떠나간 사실이나 어머니가 이여도 민요를 부르다 죽은 사실이 한이 되어 가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이여도 찾기의 과제는 그에게 운명처럼 떠나 지 않고 괴롭힌다. 어른이 되어 많은 시간이 흘러도 이여도에 대한 한 때 문에 섬을 사랑하지 못하고 그의 여자를 사랑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사람과 사랑하는 방법이 다를 뿐 천남석 기자는 술 집 <이어도>, 섬 이여도를 중개자로 하여 섬을 사랑하고 여자를 사랑하 여 자신과 다른 운명을 만들어 주려고 한다. 이것은 그의 욕망과 삶의 목 표가 잘 드러나고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파랑도의 수색작전으로 섬의 부 재가 확인되자, 그의 무의식 속에 어릴 때부터 내재 된 이여도 섬을 찾아 떠나버린 것도 이여도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은 욕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인공의 행동은 제주도에서만 자라온 천남석 기자의 정체 성을 찾는 일이며, 죽음은 또 다른 삶의 시작이라는 이여도 전설의 의미 를 수용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천남석 기자의 죽음은 그의 한풀이라는 의미보다는 이여도의 부 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로도 볼 수 있다. 이제, 천남석 기자의 욕망과 갈등을 통합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이 작품이 지향하는 이여도의 의미에 근접해 보려고 한다.

(2) 욕망과 갈등의 탐색

어머니, 아버지가 그렇게 해왔던 것처럼 천남석 기자는 어릴 때부터 그 의 의식을 지배해 왔던 이여도에서 벗어나고 싶었으나, 오히려 더 이여도 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기에서부터 천남석 기자의 갈등 구조가 나 타나게 되며, 이여도의 존재는 이미 비현실적인 허구의 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절실한 원망(願望)이 함축된 현실의 한 부분이 된다.

섬 이여도, 술집 <이어도>와 천남석 기자의 어머니나 그의 여자인 술 집 여자가 부르던 전래 민요의 이름도 이여도다. 이것들은 동일한 상징성 을 가지고 천남석 기자의 생활을 괴롭힌다. 이를테면, 주인공으로 하여금 이여도의 공간을 그리워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어줌으로써 갈등을 심화시

이여도의 존재 (관념, 허구) A B 이여도의 부재(과학, 합리)

천남석 기자의 B’

죽음

A’ 파랑도 수색작전

이여도의 존재 (관념, 허구) A B 이여도의 부재(과학, 합리)

천남석 기자의 B’

죽음

A’ 파랑도 수색작전

B 이여도의 부재(과학, 합리)

천남석 기자의 B’

죽음

A’ 파랑도 수색작전

키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주인공은 술집과 섬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혼 미한 상태에서 현실을 외면하고 불안과 초조감에 시달리게 되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갈등은 선우현 중위의 파랑도 수색작전을 통해서 이여도의 부재 가 확인됨으로써 해소될 기미를 보인다. 그러나 천남석 기자는 여전히 이 상 세계에 머물면서 관념적이고 허구적인 이여도의 꿈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해군함정이 이여도의 부재를 확인하는 순간 바다에 투신하게 된 다.

따라서 그의 자살은 이여도의 실재를 믿고 있던 그에게 이어도의 부재 를 입증하는 사건으로서 상징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것을 이항대립 구조54)를 활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섬의 존재는 주체의 욕망목표이고, 섬의 부재는 대립자의 욕망목표이다.

파랑도 수색작전은 이여도가 부재함을 증명하는 중개자로서 기능한다면, 천남석 기자의 죽음은 이여도가 관념이 아닌 현실 속에 주어져 있음을 증명하는 중개자가 된다.

그러므로 섬의 존재와 부재, 천남석 기자의 죽음과 파랑도 수색 작전은 각기 서로 대립관계이고, 섬의 부재와 천남석 기자의 죽음, 섬의 존재와 파랑도 수색 작전은 각기 모순관계에 놓인다. 그리고 섬의 존재와 천남석 기자의 죽음, 섬의 부재와 파랑도 수색 작전은 서로 함의 관계에 놓이게

54) 서정철, 앞의 책, pp.275~291.

된다.

천남석 기자는 파랑도 수색작전에서 과학적으로 섬의 부재를 확인하고 나서, 투신자살과 함께 제주도 해안가에 떠오른 자신의 시체를 통하여 다 시 한번 바다 속의 이여도의 존재를 부정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섬의 존재는 죽어서나 확인할 수 있는 허구의 섬으로서 천남석 기자의 의식 속에 내재된 이여도를 지시한다.

이야기 전체 구조의 관점에서 변증법적 발전에 이르게 하는 중개자는 천남석 기자의 투신자살이 된다. 여기서 천남석 기자의 죽음의 의미는 그 가 이여도를 현실 공간에서 찾지 않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작중인물의 욕망과의 갈등 구조는 주제의 의미 탐색에 좀 더 근 접하는 유용한 통로를 만들어 준다.

다음으로는 이 작품 속에 흐르는 이여도의 의미를 주제와 연결시켜 심 층적으로 밝혀내기 위하여 주제의 형상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