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재료 및 방법

2. 연구 방법

가. 측정 도구

(1)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대상자의 전반적 인지기능 및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선별 문항 으로서의 읽기, 쓰기 평가를 위해 K-MMSE를 시행하였다. K-MMSE는 시간 지남력(5점), 장소 지남력(5점), 기억등록(3점), 기억회상(3점), 주의집중과 계산 능력(5점), 언어(8점), 시각적 구성(1점) 등 총 30점 만점으로 구성된다. 24점 이상은 정상, 24점 미만부터 20점 이상은 경도, 20점 미만부터 10점 이상은 중 도, 10점 미만은 심도 치매로 선별된다.31

(2) 노인우울척도 단축형(SGDS)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30문항을 15문항으로 축약 한 SGDS를 사용하였다. SGDS는 1, 5, 7, 11, 13번의 문항에서 ‘아니오’ 대답 시 1점, 그 외 문항에서 ‘예’ 대답 시 1점을 획득한다. 우울증이 노인의 인지 수준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에 따라 주요 우울증의 1차 선별을 위한 절단점 8점을 대상자 선정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8점 이하의 일반 노인만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30,32

나. 연구 절차

(1) 자료 수집

본 검사 실시 전, 연구에 대한 설명 및 연구 참여 동의를 구하였다.

사례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이름, 나이, 교육년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정보는 면담지에 기록하였다. 검사는 대상자와 검사자가 일대일로 진 행되었으며 청각적 과제는 1회만 들려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숫자 처리 과제는 한 글자 당 5cm × 4cm 크기로 구성된 PDF파일을 아이패드로 제시하 였고, 계산 과제는 한 글자 당 2cm × 2cm 크기로 A4용지에 인쇄하여 제시하 였다. 대상자가 피곤함을 호소할 경우, 약 30분의 휴식 후 재시작 하였다.

(2) 숫자 처리 및 계산

숫자 처리 과제는 숫자 이해, 숫자 산출, 숫자 변환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용 숫자는 Sala SD 등(2000)을 인용하였다.17 숫자는 숫자의 자릿수(일, 십, 백, 천)와 숫자 배열에서 ‘0’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계산 과제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 3학 년 수준의 난이도로 일치시켰다. 따라서 덧셈과 뺄셈은 한 자릿수부터 세 자 릿수까지의 숫자로 구성하였고, 곱셈과 나눗셈은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로 구 성하였다(표 3).

분류 제시 자극 목표 문항

① 숫자 이해

숫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해 숫자 크기 비교를 실시하였다. 문항은 두 자릿수 1개, 세 자릿수 2개, 네 자릿수 3개로 모두 6개이며, 대상자는 시각적 자료로 제시된 두 개의 아라비아 숫자(예: 1, 2)를 보고 큰 수를 선택하였다.

② 숫자 산출

숫자 산출을 평가하기 위해 숫자와 관련된 정보를 묻는 질문에 응답 하였다. 문항은 모두 4개이며 의미 지식이 최소한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질문은 ‘일 년의 총 날짜 수(365)’, ‘하루의 총 시간(24)’, ‘돈 세기 (1500)’, ‘대상자의 생년월일(예: 1954. 10. 14)’이며 응답은 아라비아 숫자로 쓰 는 것이었다.

③ 숫자 변환

숫자 변환을 평가하기 위해 3가지의 하위 과제를 실시하였다. 각 과제 는 두 자릿수 2개, 세 자릿수 3개, 네 자릿수 5개로 각 10개씩 모두 30개이다.

과제의 유형은 청각적으로 제시된 한글 숫자를 아라비아 숫자로 쓰기(이하, 숫자 받아쓰기), 시각적으로 제시된 아라비아 숫자를 한글 숫자로 읽기(이하, 숫자 읽기), 시각적으로 제시된 아라비아 숫자를 한글 숫자로 쓰기(이하, 한글 변환)로 구성하였다.

④ 계산

계산을 평가하기 위해 사칙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실시하였 다. 모든 문제는 가로 방향의 시각적 아라비아 숫자로 제시하였고, 대상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문제를 세로 방향으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덧셈과 뺄셈은 한 자릿수, 두 자릿수, 세 자릿수로 구성하였고, 곱셈과 나눗셈 은 한 자릿수와 두 자릿수로 구성하였다.

네 가지의 연산에는 각 연산에서 적용되는 산술 규칙을 포함하였다.

각 연산의 산술규칙은 덧셈 ‘n+0=n’, 뺄셈 ‘n-n=0’ 과 ‘n-0=n’, 곱셈 ‘n×1=n’ 과

‘n×0=0’, 나눗셈 ‘n÷1=n’ 과 ‘n÷n=1’이다.

다. 자료 분석

(1) 과제 채점

과제의 채점은 정반응(1점), 오반응(0점)으로 처리하였다. 과제 응답 시, 한자어 숫자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한자어와 고유어 숫자 사용은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7 따라서 한자어 또는 고유어에 관계없 이 수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였다면 정반응으로 하였다. 본 연구 과제의 총 문항은 52개이고, 총 점수는 52점이다. 중도 포기 문항은 오반응으로 처리하였 다.

오류 유형   총 오류의 수 각 오류 유형의 빈도

× 

오류율   총 문항의 수 오류 빈도

× 

(2) 오류율

오류율은 총 9가지의 하위 과제(숫자 이해, 숫자 산출, 숫자 받아쓰기, 숫자 읽기, 한글 변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수식은 각 하위 과제 내의 총 문항 수 중 오반응 한 문항에 대한 백분율이다. 중도 포기 문항은 오반응으로 처리하여 오류율 분석에 포함하였다. 계산의 산술 규 칙 오류는 연산 오류 분석 후 추가적인 오류 유형 분석이기 때문에 연산에서 분석한 결과만을 오류율로 산출하였다.

(3) 오류 유형

오류 유형은 응답 방식(아라비아 숫자 또는 한글 숫자)에 따라 다르 며, 중도 포기 문항은 오류 유형 분석에 포함하지 않았다. 각 하위 과제에서의 오류 유형은 오류 빈도로 분석하였다. 모든 오류 유형을 분석한 후, 하위 과제 의 구분 없이 숫자 처리와 계산에서 나타난 총 오류의 수 중 각 오류 유형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오류 유형 정의 예시

오류 유형 정의 예시 구문 오류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숫자는 같으나 구

조가 틀려 숫자 전체의 크기가 변하는 것

365 → 삼천육백오십

어휘 오류

숫자의 구조는 동일하나 구성 요소인 개 별적 숫자들이 전혀 다른 것으로 바뀌는 것

365 → 삼백육십일 보속 오류 제시 자극과 동일하게 반복해서 쓰는 것 365 → 삼삼삼 숫자 분리

오류 제시 된 자극이 하나씩 분리되는 것 365 → 삼, 육

③ 숫자 변환

아라비아 숫자 받아쓰기의 오류 유형은 기억 오류를 제외하고 (표 4) 와 동일하다. 한글 숫자 읽기의 오류 유형은 구문 오류, 어휘 오류, 보속 오류, 숫자 분리 오류 등 총 4개로 구분하였다(표 5).17,18 한글 숫자 쓰기의 오류 유 형은 구문 오류, 어휘 오류, 보속 오류, 방해 오류, 복합 오류, 숫자 분리 오류, 베껴 쓰기 오류, 자소 오류 등 총 8개로 구분하였다(표 6).17,18

표 5. 한글 숫자 읽기 오류 유형의 정의 및 예시

오류 유형 정의 예시

오류 유형 정의 예시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2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네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통계분석은 다음과 같다.

두 집단 간의 기수법 숫자 처리 및 계산에서의 오류율 차이 검정을 위해 모수 통계 기법인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통 계 분석에 대한 유의수준은 0.05, 0.01, 0.005, 0.001로 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범위 t p-value

이해 산출 받아쓰기1 읽기2 한글3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환자1 0 0 0 0 1 0 2 0 1

환자2 1 0 1 0 5 0 0 0 0

환자3 0 0 0 0 4 0 2 0 0

환자4 1 0 3 2 5 0 0 1 0

환자5 0 1 5 3 1 2 3 2 3

환자6 0 0 0 1 6 1 1 2 3

환자7 4 0 6 1 5 1 2 1 0

환자8 0 2 7 2 6 1 0 2 2

환자9 2 1 6 1 9 2 2 2 3

환자10 2 0 3 2 8 2 2 2 2

환자11 1 0 1 0 4 0 2 1 0

환자12 2 1 1 4 7 1 1 0 2

환자13 1 1 0 0 3 0 0 0 1

환자14 0 0 3 2 7 0 1 0 0

환자15 0 1 7 0 3 2 2 1 0

환자16 1 1 3 0 8 1 0 1 0

소계 15 8 46 18 82 13 20 15 17

표 9. 환자별 숫자 처리 및 계산 오류 빈도

1 숫자 받아쓰기, 2 숫자 읽기, 3 한글 변환, 단위는 ‘회’

이해 산출 받아쓰기1 읽기2 한글3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정상1 0 0 0 0 2 0 1 0 0

정상2 0 0 2 0 2 0 1 0 0

정상3 0 0 0 0 1 0 0 0 0

정상4 0 1 1 2 0 0 1 0 1

정상5 0 0 0 0 0 0 0 0 0

정상6 2 0 1 0 1 0 2 3 3

정상7 0 0 0 0 0 0 1 0 0

정상8 0 0 0 0 0 0 1 0 1

정상9 1 0 0 0 2 0 1 0 1

정상10 0 0 0 0 0 1 0 0 0

정상11 0 0 0 0 1 0 0 0 0

정상12 1 0 0 0 2 0 1 1 3

정상13 1 0 0 0 4 0 1 1 2

정상14 0 1 1 0 5 0 3 0 0

정상15 0 0 1 0 3 0 1 0 0

정상16 1 0 0 0 4 0 0 0 0

소계 6 2 6 2 27 1 14 5 11

표 10. 정상 노인별 숫자 처리 및 계산 오류 빈도

1 숫자 받아쓰기, 2 숫자 읽기, 3 한글 변환, 단위는 ‘회’

2. 숫자 처리 오류 유형

환자군은 숫자 처리에서 숫자 이해를 제외하고 총 오류의 수가 154개, 총 오류 유형이 9개 있었다. 정상군도 숫자 이해를 제외하고 총 오류의 수가 37개, 총 오류 유형이 6개 있었다. 환자군은 정상군보다 총 오류의 수가 많았 고, 정상군에서 나타나지 않은 기억 오류, 보속 오류, 베껴 쓰기 오류가 있었 다(그림 2).

그림 2. 환자군과 정상군의 숫자 처리 오류 유형

총 오류의 수에서 각 오류 유형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한 결과, 환자군 은 구문(38.3%), 분리(18.8%), 복합(16.2%), 어휘(10.4%), 방해(7.8%), 자소 (5.2%), 기억 및 베껴 쓰기(각 1.3%), 보속(0.6%)순으로 높았다. 정상군은 구문 (35.1%), 어휘(21.6%), 분리 및 방해(각 13.5%), 자소(10.8%), 복합(5.4%)순으 로 높았다. 환자군과 정상군 모두 구문 오류가 가장 많았다(그림 3).

그림 3. 환자군과 정상군의 숫자 처리 오류 유형별 백분율

가. 숫자 이해

환자군은 총 15회의 오류가 있었고, 정상군은 총 6회의 오류가 있었 다. 환자군은 세 자릿수 숫자에서 4회, 네 자릿수 숫자에서 11회의 오류가 있 었다. 정상군은 세 자릿수 숫자에서 1회, 네 자릿수 숫자에서 5회의 오류가 있 었다.

어휘 자소 기억 구문 구문

어휘 구문 구문

어휘 숫자 분리 구문 구문

환자1 0 0 0 정상1 0

환자2 0 0 0 정상2 0

환자3 0 0 0 정상3 0

환자4 0 0 2 정상4 2

환자5 0 0 3 정상5 0

환자6 0 0 1 정상6 0

환자7 0 0 1 정상7 0

환자8 1 0 1 정상8 0

환자9 0 0 1 정상9 0

환자10 0 2 0 정상10 0

환자11 0 0 0 정상11 0

환자12 0 4 0 정상12 0

환자13 0 0 0 정상13 0

환자14 0 1 1 정상14 0

환자15 0 0 0 정상15 0

환자16 0 0 0 정상16 0

소계 1 7 10 소계 2

숫자 읽기는 환자군이 어휘 오류 1회, 숫자 분리 오류 7회, 구문 오류 10회로 총 18회의 오류가 있었다. 정상군은 구문 오류가 2회 있었다(표 13).

표 13. 대상자군별 숫자 읽기 오류 유형 빈도

단위는 ‘회’

한글 변환은 환자군이 보속 오류 1회, 베껴쓰기 오류 2회, 구문 오류 6회, 어휘 오류 및 자소 오류 각 7회, 방해 오류 12회, 숫자 분리 오류 22회, 복합 오류 25회로 총 82회의 오류가 있었다. 정상군은 복합 오류 2회, 구문 오 류 3회, 자소 오류 4회, 숫자 분리 오류 및 방해 오류 각 5회, 어휘 오류 8회 로 총 27회의 오류가 있었다. 환자군에서 나타난 복합 오류를 살펴보면, ‘방해 + 자소’, ‘방해 + 베껴쓰기’, ‘숫자 분리 + 자소’, ‘구문 + 자소’가 각 1회, ‘방해 + 어휘’, ‘방해 + 숫자 분리 + 자소’ 각 2회, ‘방해 + 구문’ 4회, ‘방해 + 숫자 분리’ 13회로 나타났다. 정상군의 복합 오류는 ‘방해 + 숫자 분리’, ‘자소 + 어 휘’가 각 1회씩 있었다. 환자군은 정상군보다 오류 유형이 다양하였으며 오류 빈도 또한 높았다.

보속 베껴쓰기 구문 어휘 자소 방해 숫자 분리 복합

환자1 0 0 0 0 1 0 0 0

환자2 0 0 0 0 0 5 0 0

환자3 0 0 0 0 0 3 0 1

환자4 1 0 1 1 1 0 1 0

환자5 0 0 0 1 0 0 0 0

환자6 0 0 0 1 0 0 1 4

환자7 0 0 2 1 0 0 2 0

환자8 0 0 0 0 0 0 4 2

환자9 0 0 1 0 0 2 0 6

환자10 0 0 0 1 0 0 1 6

환자11 0 0 1 0 0 0 3 0

환자12 0 0 0 0 1 0 6 0

환자13 0 0 0 2 0 0 1 0

환자14 0 2 0 0 0 1 1 3

환자15 0 0 0 0 1 0 2 0

환자16 0 0 1 0 3 1 0 3

소계 1 2 6 7 7 12 22 25

표 14. 환자별 한글 변환 오류 유형 빈도

표 14. 환자별 한글 변환 오류 유형 빈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