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문헌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 설문조사, 사례조사, 워크숍, 전문가 자문회의 등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가. 문헌연구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배경과 동향,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 관련 연구문헌, 관련 법, 지원 제도, 통계 자료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연구 문헌 및 관련 법령 수집과 분석을 하였으며, 관련 중앙정부 부처 홈페이지와 협조를 통해 통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나. 포커스그룹 인터뷰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실태와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지 제작을 위해 특정화의 오류를 줄이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증가시키려는 목적으로 포커스그 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 연구 참여자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보육시설 기관장, 교사, 장애 영유아 부모 등 통합교 육 및 통합보육 관계자 41명이 기관과 대상별로 6차에 걸쳐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배경 특성은 <표 Ⅰ-3-1>과 같다. 자세한 배경은 <부록 1>

에 제시되어 있다.

〈표 Ⅰ-3-1〉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 배경 특성

기관구분 대상구분 배경구분 특성

유치원

원장(원감) 시설유형 국공립 단설 2, 국공립 병설 2, 사립법인 1, 사립 개인 2

교사 교사자격 일반교사 4, 특수교사 2

학부모 장애영역 정신지체 1, 발달장애 4, 뇌병변 장애 1, 건강 장애 1

보육시설

시설장 시설유형 국공립 4, 법인 1, 민간개인 2

교사 교사자격 일반교사 5, 특수교사 2

학부모 장애영역 정신지체 3, 발달장애 3, 언어장애 1

2) 포커스그룹 인터뷰 질문 목록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요구사항을 근거로 설문지를 구성 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질문 목록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질문은 마음을 열기 위한 질문으로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참여하게 된 계기에 대한 것이며, 두 번째는 통 합교육 및 통합보육을 하면서 좋은 점과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이고, 세 번째는 질 높은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것, 걸림돌이 되는 것, 가장 중요 한 요소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 목록은 특수교육 전문가 1인의 검토를 거쳐 최종 수정되었다. 구체적인 질문 목록은 <부록 2>에 제시되어 있다.

3) 연구절차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 대상자를 섭외한 후 공문을 발송하여 참여를 부탁하였 다. 사전에 토의할 주제에 대한 질문 문항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 그룹당 90분 에서 120분 정도 토의가 이루어졌으며, 토의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였다. 전사 분 량은 A4 용지 166페이지였다. 공동연구자들은 전사본을 여러 번 읽으면서 본 연구 의 설문지에 포함될 수 있는 질문과 보기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질문의 근거 는 <부록 3>에 제시하였다.

다. 설문조사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의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 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1) 연구대상

본 조사의 모집단은 전국 16개 시도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실시 유치원2)과 통 합보육시설3) 2,170개 기관이다.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기관장 719명(33.13%), 교사 1,063명(34.60%), 장애 영유아 학부모4) 927(32.57%)명의 응답 을 받았다. 이 중 성의 없게 응답한 설문지 각각 28부, 58부, 26부를 제외하고 기관 2) 유치원의 경우 통합 지정 유치원이 없으므로 본 설문조사에서는 특수학급 유무와 상관없이 장

애 영유아가 입원하여 교육을 받고 있는 일반 유치원을 대상으로 함.

3) 장애아를 3명 이상 보육하는 시설로서 시․군․구청장이 통합시설로 지정한 시설임.

4) 보육시설에 다니는 경우 일반적으로 학부모나 학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나, 본 연구에 서는 유치원과 보육시설을 다니는 경우를 모두 일컬어 학부모와 학급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장 설문지 691부, 교사 설문지 1,005부, 장애 영유아 학부모 설문지 901부를 최종 분

시설 구분 국공립 38.9(269) 19.7(136) 19.2(133)

사립 61.1(422) 41.5(287) 19.5(135) 지역 구분

대도시 47.3(327) 27.2(188) 20.1(139) 중소도시 37.6(260) 22.7(157) 14.9(103) 읍면지역 15.1(104) 11.3( 78) 3.8( 26)

성별 남자 13.6( 94) 11.0( 76) 2.6( 18)

여자 86.4(596) 50.1(346) 36.2(250)

연령

20대 0.4( 3) 0.1( 1) 0.3( 2)

30대 16.8(115) 7.9( 54) 8.9( 61)

40대 45.7(312) 25.3(173) 20.4(139) 50대 29.1(199) 20.8(142) 8.3( 57) 60대 이상 7.9( 54) 7.0( 48) 0.9( 6)

학력

고등학교 졸업 1.3( 9) 0.3( 2) 1.0( 7)

3년제 이하 대학 졸업 13.1( 90) 6.3( 43) 6.8( 47)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 32.6(224) 20.5(141) 12.1( 83) 대학원 졸업 이상 53.1(365) 34.3(236) 18.8(129)

전공

유아교육학 70.7(484) 47.9(328) 22.8(156)

보육 관련학 3.8( 26) 0( 0) 3.8( 26)

-5년~10년 미만 84.9(393) 45.4(210) 39.5(183) 10년~20년 미만 12.7( 59) 6.3( 29) 6.5( 30)

20년 이상 2.4( 11) 1.9( 9) 0.4( 2)

〈표 Ⅰ-3-3〉 설문 참여 교사의 배경 특성

n=1,005

주: 결측치를 제외한 비율임

배경 변인 전체 유치원 보육시설

시설 구분 국공립 49.3(495) 22.6(227) 26.7(268)

사립 50.7(510) 27.7(278) 23.1(232)

지역 구분 대도시 49.9(504) 23.4(236) 26.5(268)

중소도시 36.6(370) 17.8(180) 18.8(190)

읍면지역 13.5(136) 9.1( 92) 4.4( 44)

성별 남자 0.7( 7) 0.1( 1) 0.6( 6)

여자 992(99.3) 50.5(504) 48.8(488)

연령

20대 59.6(587) 29.0(286) 30.6(301) 30대 27.3(269) 13.0(128) 14.3(141)

40대 12.5(123) 8.3( 82) 4.2( 41)

50대 0.6( 6) 0.2( 2) 0.4( 4)

학력

고등학교 졸업 4.3( 43) 0.2( 2) 4.1( 41) 3년제 이하 대학 졸업 44.5(441) 19.4(192) 25.2(249)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 40.8(404) 22.4(222) 18.4(182) 대학원 졸업 이상 10.3(102) 8.8( 87) 1.5( 15)

전공

유아교육학 64.0(634) 45.0(446) 19.0(188) 보육 관련학 11.8(117) 0.3( 3) 11.5(114)

특수교육학 1.3( 13) 0.3( 3) 1.0( 10)

유아특수교육학 6.6( 65) 4.4( 44) 2.1( 21)

아동학 5.0( 50) 0.6( 6) 4.4( 44)

사회복지학 4.6( 46) 0.1( 1) 4.5( 45)

일반 교육학(초중등 포함) 0.8( 8) 0.1( 1) 0.7( 7)

기타 5.9( 58) 0.1( 1) 5.8( 57)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경력

5년 미만 93.6(497) 43.1(229) 50.5(268) 5년~10년 미만 6.4( 34) 2.1( 11) 4.3( 23)

10년 이상 - -

-〈표 Ⅰ-3-4〉 설문 참여 학부모의 배경 특성

n=901

주: 결측치를 제외한 비율임

배경 변인 전체 유치원 보육시설

시설 구분 국공립 53.5(451) 16.4(138) 37.1(313)

사립 43.5(392) 28.0(253) 15.4(139)

지역 구분 대도시 49.9(450) 20.3(183) 29.6(267)

중소도시 36.8(332) 16.8(151) 20.1(181) 읍면지역 13.2(119) 8.7( 78) 4.6( 41)

자녀의 장애 종류

시각장애 1.9( 16) 1.1( 9) 0.9( 7)

청각장애 5.5( 45) 3.5( 29) 1.9( 16)

정신지체 24.7(203) 8.0( 66) 16.6(137) 지체장애 12.5(103) 6.3( 52) 6.2( 51)

모 92.7(828) 42.0(375) 50.7(453)

조부모 0.3( 3) 0.1( 1) 0.2( 2)

기타 2.2( 20) 1.3( 12) 0.9( 8)

연령

20대 4.7( 41) 2.2( 19) 2.5( 22)

30대 76.7(673) 35.1(308) 41.6(365)

40대 17.6(154) 7.8( 68) 9.8( 86)

50대 0.9( 8) 0.7( 6) 0.2( 2)

60대 이상 0.1( 1) 0.1( 1) 0( 0)

학력

고등학교 졸업 미만 3.0( 27) 1.7( 15) 1.4( 12) 고등학교 졸업 37.6(334) 16.2(144) 21.4(190) 3년제 이하 대학 졸업 20.5(182) 9.6( 85) 10.9( 97)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 35.4(314) 16.8(149) 18.6(165) 대학원 졸업 이상 3.5( 31) 1.7( 15) 1.8( 16)

생활정도

200만원 미만 21.6(171) 10.5( 83) 11.1( 88) 200만원~300만원 미만 30.3(240) 13.9(110) 16.4(130) 300만원~400만원 미만 25.9(205) 12.0( 95) 13.9(110) 400만원 이상 22.1(175) 9.7( 77) 12.7( 98)

2) 실태 및 요구 조사 도구

문헌연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와 연구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대상에 따라 기관장용, 교사용, 학부모용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설문지는 대상별로 2 차에 걸친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 검토를 거쳐 수정하였다. 이렇게 수정한 설문 지는 유아특수교육전문가 2인에게 검토를 받았다. 설문지 내용은 <부록 4>, <부록 5>, <부록 6>에 제시되어 있다.

기관장용 설문지는 일반 현황,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프로그램 운영, 가정 및 타 기관 연계, 정책 지원, 인적 사항의 일곱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문항의 종류는 총 28개이고, 문항에 따라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표 Ⅰ -3-5>와 같다.

〈표 Ⅰ-3-5〉 기관장 대상 설문지의 구성

구 분 질 문

일반 현황 기관의 종류

위치한 지역의 생활 정도 학급, 영유아, 교사 현황

인적 환경 별도의 전문인력 유무 / 전문인력 유형 보조인력 유무 / 보조인력 유형

인력 확보의 만족도 / 고용 어려운 인력 / 인력 확보가 어려운 이유 물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에 대한 배려 여부 / 종류 / 없는 이유

필요한 시설과 장비

프로그램 운영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계기

장애 영유아 입학결정 방법 / 장애 영유아 선발 기준

프로그램 운영시간 / 장애 영유아 프로그램 이용시간 및 통합시간 장애인식개선 교육 실시 여부 / 교육 횟수 / 실시하지 않는 이유 기관의 통합 형태 / 바람직한 통합교육 및 보육의 운영 형태 기관의 강점과 취약점

가정 및 타 기관 연계

부모 대상 정보 제공 정보 기관과 연계가 필요한 기관 외부 자문 여부 / 자문 영역

인근 지역이나 영유아가 다니는 기관의 목록 소유 여부

타 기관과의 상호협조 정도 / 협조 내용 /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정책 지원

현재 지원 여부 / 지원받고 있는 내용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의 어려움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 중앙정부 지원에 대한 의견

인적 사항 성별 / 연령 / 학력 / 전공 / 경력

교사용 설문지는 기관장용 설문지와 같이 일반 현황,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프

학부모용 설문지는 일반 현황,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만족도, 가정 연계 프로그램, 정책 지원, 인적 사항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문항의 종류는 총 29개이고, 문 항에 따라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표 Ⅰ-3-7>과 같다.

〈표 Ⅰ-3-7〉 학부모 대상 설문지의 구성

구 분 질 문

일반 현황

기관의 종류

기관 등원 방법 / 시간 프로그램 이용시간

어머니 직장 여부 / 직장 그만 둔 이유 자녀 장애 관련 정보

유치원이나 보육시설 이외의 프로그램 이용 여부 / 소요 비용 / 이용 이유

특수교육대상 자녀에게 지출하는 총 비용 입학 거부 경험 여부 / 이유

기관을 그만 둔 경험 여부 / 이유 자녀를 보낼만한 기관의 충분한 정도 통합교육과 통합보육

만족도

기관에 대한 만족도

자녀 발달의 기대수준과 만족도

가정 연계 프로그램

프로그램 계획, 활동, 평가시의 참여 요구도와 참여 정도 기관과의 주된 의사소통 정도와 요구 정도

기관의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소개 여부, 참여 여부, 참여 및 희망 빈도

조언 구하는 대상

정보와 서비스의 부족을 느낀 시기

정책 지원

기관의 통합 형태 /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운영 형태 기관에 보내면서 어려운 점

통합교육과 통합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점 통합교육 담당교사의 중요한 요건

바람직한 교사, 장애아, 일반아의 비율 필요한 시설이나 장비

필요한 가족 지원 내용 중앙정부지원에 대한 의견

인적 사항 장애아와의 관계 / 연령 / 학력 / 가정의 생활 정도

3) 연구절차

본 설문지는 2007년 6월 28일~29일에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을 실시 하고 있는 2,170개 기관(유치원 1,402개원, 통합보육시설 768개소)을 대상으로 8,180

본 설문지는 2007년 6월 28일~29일에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을 실시 하고 있는 2,170개 기관(유치원 1,402개원, 통합보육시설 768개소)을 대상으로 8,18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