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연구 방법

가. 문헌 분석

건강·위생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및 법제도, 영유아 관련 통계자료, 관련 부 처의 정책 자료(보도자료 등)를 활용하여 주요 정책을 분석한다.

나. 국외사례 분석

선행연구, 자문회의 등을 통해 건강·위생에 대한 관리 및 정책 추진이 체계화 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국외 사례(영국, 호주, 일본, 싱가포르 등)를 검토 및 분 석하였다. 각 국의 영유아 건강관리, 질병관리 및 응급처리, 실내환경 위생 및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 심층 면담

유치원과 어린이집 설립유형을 고려하여 유치원 4개원, 어린이집 7개원의 교 사, 부모와 총 11회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건강·위생 관리 현황 및 어려움을 파악하였다. 교사와 부모의 심층 면담은 구분하여 진행되었으며, 유치원의 경우 교사와 부모가 각각 12명, 어린이집의 경우 교사와 부모가 각각 21명씩 심층 면 담에 참여하였다. 심층 면담의 내용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건강검진 및 예 방접종, 질병 및 응급처치, 실내환경 및 공기질에 대한 관리 현황 및 개선요구

(부록 4, 부록 5 참조)에 대한 것이었다. 심층 면담에 참여한 교사와 부모의 일

라. 설문 조사

유치원 원장 409명, 어린이집의 원장 808명 총 1,217명을 대상으로 건강·위생 관련 현황, 현장의 어려움과 요구 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부록 3 참조)를 실시 하였다. 설문조사는 웹설문을 구축하여 2017년 9월 5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 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설립유형과 지역규모를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의 일반적 배경은 아래의

<표 Ⅰ-3-2>와 같다.

〈표 Ⅰ-3-2〉설문 조사 응답자 일반적 배경

단위: %(명)

유치원의 경우 공립병설 37.2%, 사립사인 37.2%, 공립단설 13.2%, 사립법인 12.5% 순이었으며, 원장의 연령은 29~39세가 36.9%로 가장 많았으며, 경력은 11~20년 이하가 35.7%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기관 정원수는 100~200 명 미만이 41.1%, 현원 수는 100명 이상이 44.3%로 가장 많았다. 어린이집의 경 우 가정 31.2%, 민간 25.4%, 국공립 19.2%, 법인단체등 6.6%, 직장 6.4%, 사회복

유치원 어린이집

전체 100.0(409) 전체 100.0(808)

기관유형 비율 응답자 총 경력 비율 기관유형 비율 응답자 총 경력 비율

공립단설 13.2 10년 이하 24.7 국공립 19.2 10년 이하 17.9

공립병설 37.2 11~20년 이하 35.7 사회복지법인 6.2 11~20년 이하 61.5 사립법인 12.5 21~30년 이하 27.9 법인단체 등 6.6 21~30년 이하 17.6

사립사인 37.2 31년 이상 11.7 민간 25.4 31년 이상 3.0

가정 31.2

직장 6.4

협동 5.1

기관 정원 비율 응답자 연령 비율 기관 정원 비율 응답자 연령 비율

20명 미만 7.3 29~39세 36.9 20명 미만 17.8 29~39세 22.6 20~50명 미만 23.2 40~49세 35.0 20~50명 미만 45.2 40~49세 45.3 50~100명 미만 16.6 50~59세 26.4 50~100명 미만 26.4 50~59세 27.4 100~200명 미만 41.1 60세 이상 1.7 100~200명 미만 9.3 60세 이상 4.7

200명 이상 11.7 200명 이상 1.4

현원 비율 기관 연면적 비율 현원 비율 기관 연면적 비율

40명 미만 30.1 400m2미만 31.3 40명 미만 58.0 400m2 미만 72.3 41~100명 미만 25.7 400m2이상 68.7 41~100명 미만 33.8 400m2 이상 27.7

100명 이상 44.3 100명 이상 8.2

지법인 6.2%, 협동 5.1% 순이었다. 응답자의 연령은 40~49세가 45.3%로 가장 많 았으며, 총 경력은 11~20년 이하가 61.5%로 가장 많았다. 기관 정원수는 20~50 명 미만이 45.2%, 현원수는 40명 미만이 58.0%로 가장 많이 비율을 차지하였다.

마.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연구방향 설정, 설문지 내용 및 문항 검토, 영유아의 안전한 교육‧보육 환경 조성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정보 수집과 연구 협력을 위해 관련 공무원과의 정책연구(실무)협의회를 진행하였다. 현재까지 실 시한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일정과 내용을 정리하면 <표 Ⅰ-3-3>과 같다.

〈표 Ⅰ-3-3〉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실시 일정 및 내용

구분 개최 일자 참석자/인원 내용

1 2017. 3. 8.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담당자/2인 어린이집 급식 영양 및 위생 관리 실태 파악 2 2017. 3. 14. 교육부 공무원/2인 연구 방향 논의 및 유치원 건강‧위생 관리

현황 파악 3 2017. 3. 23.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

담당자/1인 어린이집, 유치원 급식 영양 및 위생 관리 현황 파악

4 2017. 3. 23. 보건복지부 공무원/2인 연구 방향 논의 및 어린이집 건강‧위생 관리 현황 파악

5 2017. 3. 27. 의과대학 교수/1인 영유아 건강관리 및 응급처치 관련 현항 6 2017. 4. 6. 유치원 원장/4인 유치원 건강‧위생 관리 현황 및 개선사항 파악 7 2017. 4. 14. 서울연구원 박사/1인 유치원, 어린이집 실내공기질 관리 및

문제점 파악 8 2017. 4. 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1인 어린이집 실내공기질 측정 기준에 대한

의견 수렴

9 2017. 4. 18. 어린이집 원장/3인 어린이집 건강‧위생 관리 현황 및 개선사항 파악 10 2017. 4. 20. 가정어린이집 원장/4인 가정어린이집 건강‧위생 관리 현황 및

개선사항 파악 11 2017. 5. 17. 한국실내환경학회

교수/1인

유치원, 어린이집 실내공기질 관리 및 문제점 파악

12 2017. 11. 2. 어린이집 원장/4인 조사결과 공유 및 개선방안 논의 13 2017. 11. 14. 유치원 원장 및 교사/

3인 조사결과 공유 및 개선방안 논의

14 2017. 12. 8. 유아교육‧보육 교수/4인 건강‧위생 관련 국외사례 검토 정책 제언 논의

바. 제3차 어린이 안전 포럼 개최

영유아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고, 협동연구의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하였다. 2017년 12월 7일에 ‘제3차 어린이 안전포럼: 영유아를 위한 안전한 보육‧교육 환경 조성 방안 (Ⅲ)’을 개최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 관리 실태, 법적 기준 및 관리 방안에 대한 발제를 진행하고 실내공기질 관련 전문가가 토론자로 참여하여 다양 한 의견을 개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