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대상과 방법

문서에서 제주 설화의 생태학적 인식 (페이지 8-11)

이상과 같은 생태학적 인식을 밝혀내려는 의의와 근거를 2장에서 설명을 하고, 생태학적 이론의 틀이 되는 온생명 이론과 가이아 가설에 대한 도입 근거를 소개한다. 그리고 제주 설화와 생태학적 인식의 관련성과 역사성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구체적인 설화를 대상으로 해석을 시도한다.

제주 무가에는 일반신본풀이, 당신본풀이, 조상신본풀이가 다양하게 전승되는데 3장에서 는 일반신본풀이 세 편을 분석하고 당신본풀이의 육식금기에 대해 해석하였다. 일반신본풀 이 세 편을 선택한 배경은 본풀이의 내용에서 고대적 요소를 많이 간직하면서 온생명적 인

6) 김병주, 이상해, 「풍수로 본 한국 전통마을의 생태적 환경친화성」, 『건축역사연구』 제15권 2호 통권 46 호, 2006.

식이나 가이아적 생명력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작품들을 위주로 했다. 그리고 당신본풀이 에서는 소나 돼지의 금기가 나타나는 본풀이를 선택해 생태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천지왕본풀이>는 창세개벽신화라는 점에서 고대의 사유를 간직하고 있으며 육지 부의 <창세가>나 <셍굿> 등 다른 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풍부한 화소-천지개벽, 수명장자 징치, 천지왕과 지산국 부인의 결연, 아들의 부친 탐색, 해와 달의 조정, 인세차지경쟁 등 여섯 가지로 구분-가 나타난다.7) 이런 고대적 사유와 화소를 분석해 보면 제주인을 포함한 우리 선인들이 태초에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인식하는데 있어 생태적인 사유, 일원 론적 사고를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부분들을 좀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 아 그 상징하는 바를 찾고 서로 어떤 유기적인 관련을 맺으며 세상을 열어 가는지 살펴본 다.

두 번째로 <세경본풀이>를 선택했는데, 이는 농경신본풀이라는 측면에서 이미 생태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나 더 크게는 자청비의 행적에서 엿보이는 온생명적 사유 때문이다.

즉 생명을 적극적으로 북돋움으로써 자신과 다른 생명을 동시에 풍성하게 하는 가이아의 면 모로서의 자청비와, 다른 생명과의 관계성에 주목해 <세경본풀이>의 생태학적 인식을 끄집 어낸다.

세 번째로 <이공본풀이>는 원강아미의 자기완결적인 희생정신으로 인해 할락궁이의 생명 을 꽃피우는 온생명적 개체의 모습이 엿보인다. 반면, 보생명의 역할을 등한시하고 자기만 살찌우려 하다가 도태되는 재인장자의 모습에서 온생명의 균형이 깨지는 모습도 볼 수 있 다. 이들의 대립적 모습에서 생명과 생명현상의 순환 고리를 이해했던 선조들의 생태적 사 유를 들여다보았다.

그리고 당신본풀이에 유독 많이 등장하는 육식금기에 대한 생태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육식금기 신화가 어떻게 생겼으며 당시 지역과 지역민이 살아왔던 흔적과 고민들이 어 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지, 지금의 육식문화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보기 위함이다. 생태 학적으로 던져주는 문제가 많은 이야기라는 점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본풀이이다.

4장에서는 제주의 전설에 드러난 생태적 인식을 조명하였다. 설화의 대부분이, 전승민들 이 일반 백성이라는 점에서 이미 그들의 삶의 궤적과 적응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측면에 서 생태적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 조금 더 나아가 그러한 생태 적 사유가 유독 돋보이는- 제주의 창조나 한라산, 물, 생물에 대해 어떻게 관념하였는지 비 교적 선명히 볼 수 있는- 설문대할망 설화, 풍수설화와 뱀 설화에 주목해, 제주민들이 자연 이 주는 한계와 혜택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적응하며 살아왔는지를 살피고 그 속에 있는 생 태학적 사유와 삶의 방식을 들여다보려 한다. 그러다보니 고대적이고 원초적 생명력의 화소 를 많이 조명하게 되어 신화적인 전설을 많이 포함하게 되었다.

<설문대할망>설화에서는 가이아적인 대지모신을 잃게 된 역사적 원인과 생태학적 의의를 살펴보았고, 풍수설화에서는 제주의 풍수설화들이 가지고 있는 생태적이고 자연친화적인 삶 의 방식들을 살펴 현대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개발주의의 한계를 짚어보았다. 그리고 뱀 설 화에서는 뱀 설화와 신앙이 성행할 수밖에 없었던 제주의 생태ㆍ지리적인 원인들을 유추해 보고 지역의 문화와 신앙에 대한 객관적ㆍ보편적 시각을 가질 것을 얘기하고 그 생태학적 의의를 찾아보았다.

이러한 설화들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할 때 가졌던 세부적인 논의 방식은, 3장에서는 제주 신화의 생태학적 인식 중에서도 가이아나 온생명 이론에서 보이는 온생명적 사유에 주

7)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130쪽.

목했다. 그래서 신화의 구조나 신들의 활동 모습에 나타나는 ‘생명 활동의 살림’에 주목하여 일원론적이고 관계 지향적이었던 신과 인간의 관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생명 살림’의 모 습으로 풀어내어 서로의 생명을 더 풍성하게 살리는 인식의 측면을 보았다. 앞으로 신화의 전체적인 모습을 진단하고 생명철학의 섬세한 분석이 더 보완돼야 한다는 한계가 있음을 인 정한다. 신화를 생태학적 시각으로 조명했다는 시론적 의의를 갖고 싶다.

4장에서는 제주의 설화를 다루었는데 기존의 문화해석에 덧붙여 생태적인 조건이 설화의 내용이나 신앙을 구성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었다고 하는 ‘설화의 생태학적 토대 분석’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생태학적 배경에 주목하다 보니 자연과 함께 상생했던 선인들의 삶에 주목하게 되고 그것이 현대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하지만 현대사회에 서 가지는 의의와 전망에 대해 더 깊은 고민과 결과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제주 신화나 전설의 생태학적 의의를 살펴보면서, 우리의 전통 속에 있었던 생태학적 삶 의 방식들을 밝혀내고 그러한 전통이 박제되어 살피는 대상만이 아닌, 현대의 삶의 철학이 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의의를 찾아보고자 했다.

문서에서 제주 설화의 생태학적 인식 (페이지 8-1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