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작물 생산성 로드맵은 본 연구에서 사용될 작물모형 의 활용 방안 모형의 개선 및 새로운 모형의 개발 등을 포함하는 기후변화가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평가 적응 및 대응 방안 개발 연구의 단기 및 중장기 계획을 염두에 두어서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된 로드맵은 기후변화가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분석 모듈 구축 연구 진행에 있어 기본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연구 재현을 통한 작물모형의 평가 (1) Field data

작물모형의 평가를 위한 기후변화 연구 로 벼는 전남대 광주 에서

년에 획득한 온도구배온실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또한 각기 다른 위도 개 지점을 추가하여 기후변화 영향평가 연구를 수

행하였다 그림 콩은 미국의 에서

년 그리고 수수는 에서 년

획득한 를 사용하였다 그림

는 온도 구배처리 및 농도처리가 가능한 터널식 온실로 에 설치된 대표적인 기후변화 연구 시설 중 하나이다 그림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농도 수준 온도 수준

및 벼 품종 세 가지 로 연구 수행되었다

개방계 대기 이산화탄소 증가실험 는

개방공간에서 농도처리가 가능하도록 설치한 기후변화 연구 시설로

시설 대비 상대적으로 농작물 재배 환경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농도 수준

이었고 데이터는 농도 수준

및 관수 수준 으로 연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각각 해당 작물에 대하여 에 포함된 작물모형을 이용한 작물의 기후변화 영향 실험 데이 터의 재현 연구를 통한 모형의 모수 추정 및 그에 대한 신뢰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확보된 모형을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및 분석 모듈 구축 연구에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 방안 분석 (2)

기후변화 영향 및 대응 방안 분석 연구를 위하여 먼저 된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주요소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 응한 작물 생육 및 수량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는 및 신기후변화시나리오 하에서 각기 다른

개의 모형으로 모의한 결과를 한 것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하여 농도와 연계한 온도 및 강수량의 변이 정도를 기상자료에 가감하여 각 각 년 년 년을 대표하는 기상자료로 사용하였다 표

가 보고한 동아시아지역 미래 이산화탄소 농도는 시나리오로

년 년에 년에 으로 예측되었고 시나

리오로 년 년에 년에 으로 예측되었다 이러

한 이산화탄소 농도변화와 연관하여 기상요소에 대한 미래 기후변화 예측을 위하여 개 모형으로 모의하여 앙상블 평균 한 자료를 표 에 나타내었다

농작물 대상 기후변화 영향평가 분석 방법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기후 변화 대응 및 적응 시스템의 구축을 시도하였으며 구축된 시스템의 요약 정보는 그 림 에 나타내었다 본 시스템의 기본 구성은 기후변화 연구를 위하여 최적화 구 동 준비된 작물모형 및 모의를 위한 입력 자료에 대한 이다 현재 입력 자료 중 공간변이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자료 구축이 완료되었다 작물 기후변화 시나

리오 자료는 부산대학교 안중배 교수 연구실에서 구축한 기상자료 모형 기상 값 를 으로 사용하고 및 시나 리오 하에서의 동아시아에 대한 년 년 년 변이 값 표 을 가감하 여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를 구축하였다 토양자료에 대한 는 현재 미 구축 되어 있으나 향후 농촌진흥청의 정밀토양도로부터 읍 면 동 단위의 대표 토양 통을 추

출하여 이 토양 통의 토양 속성 자료로부터 모델 입력 토양 파일을 작성할 예정이다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핵심 요소는 작물모형으로 작물의 생 육 및 환경 변수 예 토양 수분 에 대한 시계열 패턴 모의 및 수량 예측 정보의 생산 및 전달 기능을 한다 작물모형은 현장 자료의 재현 성능에 대한 신뢰 확보가 필수적 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모형의 최적화 구동 으로 정의하였다 그림 또한 작물모형은 연구 지역 내 또는 대단위 지역의 작물 생육 및 수량 변이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도록 을 이용한 기반의 작물모의 시스템을 구축하 여 격자 정보자료를 처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