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장량 이라 정의 하여 수종별로 그 값을 산출하였다

은 일반적으로 매개변수의 적합성을 알아보거나 중요한 변수에 집중하고자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차 임상도정보를 통해 현재 산림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생장량을 예측하였다

은 국가산림자원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한 생장모형과 임상 도 자료를 융합하여 전국의 산림재적을 추정한 바 있다 는 임분 평균직경과 수고 밀도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 경생장을 통해 임분재적을 예측하는 생장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림 표 본 연구에서는 이 고안한 산림재적 평가 모형을 적용하되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한 생장모형과 본 연구에서 고안한 생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다만 이 고안한 모형은 연년 반경생장모형 임으로 이를 연년 직경생장모형으로 전환하였다 임목의 재적은 직경과 수고로부터 산출되며 식 수종별 계수는 표 과 같다 산림청

 ··

 ·

  ·

   ·

 ··

산림생장 취약성평가 (2)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고안한 생장모형을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장 취 약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식

    m ax m in

 m in

     

임분의 미래 임목 축적 임분의 현재 임목 축적

서는 식 와 식 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겨울철 평균기온의 변화에 따른 꽃 매미의 알 폐사율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   

   

        

×

  

산림병해충 취약성 (3)

본 연구에서는 이 사용한 생태계기능 취약성평가 방법을 응용하 여 꽃매미의 발생 가능성을 통해 산림병해충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그림 산림 병해충 취약성의 민감성은 알 폐사율의 변화정도 즉 변이성 으로 평가하 고 적응성은 변이성의 변화경향 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겨울철 월 월 평균기온에 따른 꽃매미 알 폐사율을 의미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병해충 발생 민감성은 기후변화에 따른 알 폐사율의 변화정 도 즉 변이성으로 평가한다

산림기능의 민감성 산림기능의 변이성

민감성은 식 과 같이 계산되며 이 변이성의 값이 클수록 기후변화에 따른

민감성은 높은 것이며 반대로 낮은 변이성 값은 상대적으로 민감성이 낮은 것을 의

산림병해충 취약성은 산림병해충 발생의 변이성이 평가되는 민감성에서 병해충 발생의 연도별 또는 기간별 변이의 변화경향으로 평가되는 적응성을 감하여 평가한다

산림기능 취약성 민감성 변이성 적응성 변화경향

산림생장과 산림병해충 취약성 평가를 기반으로 산림 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본 과제에서는 산림생장과 병해충취약성 결과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 하여 종합적인 취약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취약성평가 결과를 사 이의 값으로 표준화한 뒤 식 을 통해 종합적인 취약성 결과를 도출하였다

산림취약성평가  산림생장취약성평가  산림병해충취약성평가

연구결과

수종별 수령에 따른 반경 연년 생장량 분포 (1)

반복 방법으로 의 비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생 장량과 수령의 관계식에 대한 계수의 각 통계 값들을 도출하고 생장추정곡선을 나타 내었다 그림 표 는 수종별 생장모형을 추정한 결과이다 회귀식에 대한

검정 결과를 보면 모든 수종에서 각 인자들이 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인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수종별 연령에 따른 반경 연년생장량 분포는 그림 과 같다 연령에 따른 반 경생장량을 살펴보면 수종에 상관없이 수령이 낮을 때는 분포 범위가 넓고 수령이 증가할수록 범위가 좁아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임목의 생장 특성과 일치하는 경향이며 수령이 낮을수록 기상 토양 임분밀도 지위지수 등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로부터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수종에 대해 표 의 추정된 계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표준생장량식을 유도하였다 표

소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참나무류 신갈나무 제외

 ∆∙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생장률의 감소는 다른 수종과의 경쟁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며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따라 소나무의 분포 지역이 현재에 비해 감 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분포를 예측한 연구결과들과도 일치한다 김재욱과 이동근

보완한 생장모형을 통해 소나무의 표준생장과 기온 강수의 영향관계를 을 통해 분석하여 표 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회귀식에 대한 검정 결과를 보면 모든 수종에서 각 인자들이 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생장모형 결과 비교 (3)

두 생장모형에서 추정된 계수들을 통해 시나리오에 따른 년 소나무 림의 표준반경생장량을 추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비교를 위한 연구대상지는 제주도 지역의 소나무림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제주도 지역은 고도의 변이가 매우 크 며 이에 따라 각 소나무 임분의 기상조건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모형을 검증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림 는 각 생장모형을 통해 예측된 제주도 소나무림의 년 표준반경 생장량을 나타낸다 먼저 기존의 모형 결과를 살펴보면 실제로 소나무림의 생육과 생장에 적합하지 않은 매우 높은 고도 지역에서 표준생장량이 가장 높게 추정되었 다 이는 기존 생장모형에서 소나무림의 생장과 온도는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 로 분석되었고 기존생장모형은 선형적 모형이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소 나무림의 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모의되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보완된 생장모형의 결과를 보면 온도가 높은 저지대 지역과 소나무림 생 육에 불리한 고산지대의 경우 표준생장량이 낮게 추정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중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