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방법

2. 연구진행 절차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첫 번째 단계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 자가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1) 문헌 고찰

자가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세부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의 자료를 검색하였다. 국내 자료는 RISS의 상세 검색을 통해 ‘고혈압’ 그리고 ‘자가’

라는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였고 학위 논문 17편, 국내 학술지 논문 16편으로 총 35 편이 검색되었고 이중 5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또한 ‘대사증후군과 중재’라는 키워 드로 논문을 검색한 결과 학위 논문 66편, 국내 학술지 논문 32편으로 총 98편이 검 색되었고 이중 5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국외 자료의 경우 PUBMED를 통해

‘nursing intervention for self-care and self-management with hypertension으로 검 색했을 때 총 6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이중 고혈압과 관련된 5편의 논문을 검토하 였다. 또한 ’nursing intervention with metabolic syndrome'으로 검색했을 때 총 62편 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이중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논문 7편을 검토하였고 대사증후군 과 고혈압이 동반된 논문 2편을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총 2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검

토하였다. 본 연구가 고혈압과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혈압 전단계 환 자나 비만 성인, 일반성인, 폐경여성, 당뇨를 동반한 경우 등은 제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자가관리 또는 자가관리 행위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단 순 운동 프로그램이나 체중 감량 프로그램, 식이교육 등의 프로그램은 제외하였다.

(2) 개발된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검증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가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타당도 검증 은 전문가와 사용자인 환자에게 실시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내용 타당도 검증은 고혈 압 및 대사증후군 환자를 진료한 경험이 있는 심장 전문의 3명, 간호사 3명, 간호학과 교수 3명을 대상으로 검증하였고 각 문항에 대해 3점 이상의 점수에 80%이상 합의한 내용을 선정하였다(Lynn, 1986). 사용자에 의한 내용 타당도 검증은 경기도 소재 1개 대학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고혈압 또는 대사증후군으로 진료 중인 환자 중 본 연구 에 참여하지 않은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자가관리 역량 강 화 프로그램 개발 목적과 의의 등을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사용될 프로그램의 내용 및 미니포켓의 내용에 대해 검증하였다. 대상자에게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주면서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자가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 평가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1개 대학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고혈압 환자로 대사증후군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수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Cohen(1992)의 표본 추출 공식에 따른 표본 수 계산 프로그램인 G 파워프로그램 3.1.2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검정력 .80, 효과크기 .40(medium effect size)의 Repeated measured ANOVA를 시행할 경우 총 표본 수는 64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가 심장혈관센터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확산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군은 월요일과 화요일 외래를 방문하는 대상자로 하고 대조군은 수요일과 금요일에 외래를 방문하는 대상자로 다음의 선정 기준과 제외 기 준을 고려하여 선정 하였다.

<선정 기준>

① 만 19세 이상

②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인 환자로 본태성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항고혈압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③ 대사증후군으로 아래의 5가지 상태 중 3개 이상을 가지는 경우

∙ 혈압 ≥130/85mmHg 또는 현재 항고혈압 약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 중성지방 수치 ≥150mg/mL

∙ 복부둘레가 남성 ≥90cm 그리고 여성 ≥80cm

∙ 공복혈당 수치 ≥100mg/dl 또는 현재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중인 경우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남성 ≤40mg/dl 그리고 여성 ≤50mg/dl

<제외기준>

① 이차성 고혈압을 가진 대상자

② 고혈압으로 인한 임상적 합병증이 있는 경우

-뇌혈관질환(뇌출혈, 뇌경색), 관상동맥 및 대동맥질환(PCI, CABG, valve OP), 말초혈관질환(stent삽입 및 파행증(claudification) 증상 동반), 심부전, 신장질환 (CKD, chronic kidney disease)으로 복막이나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경우

③ 임신부

④ 현재 고콜레스테롤 혈증으로 오메가 3나 fibrate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2) 실험처치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24주 동안 월 1회씩 총 7 회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중재 시기 별 중재 내용과 중재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 펴보면 연구 등록일에 교육 자료를 통한 소그룹 교육을 통해 고혈압과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제공하였다. 또한 자가관리 행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염, 저지방, 저탄수화물 식이 내용과 7515 순환운동, 신체활동으로 걷기와 식후 좌식행도 금하기, 자가 혈압 측정, 약물 복용에 대한 내용을 개별교육을 통해 제공하였다. 이때 미니포 켓을 제공하였고 미니포켓 자가 기록 방법을 교육하였다. 4주에는 자가관리 행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자가 혈압 측정 순서 및 주의 사항과 약물 복용과 관련된 주의

사항을 리플렛 우편 발송을 통해 제공하였다. 8주에는 전화 상담을 통해 제공된 교육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고 자가관리 행위의 실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혈 압 측정 실천, 하루 종일 걸은 총 걸음 수 기록하기, 식후 움직이기 실천, 7515 순환 운동 실천, 식이로 염분 섭취 제한, 불포화 지방산 및 양질의 탄수화물 섭취 실천 정 도를 미니포켓 자가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전화 상담을 통해 치료 유지를 지 속하도록 하기 위해 병원 방문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외래 방문 일정에 대해 재공지 하였다. 12주에는 병원을 방문하였고 개별 상담과 미니포켓 모니터링을 통해 자가관 리 행위 실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자가 혈압 측정 실천, 하루 종일 걸은 총 걸음 수 기록하기, 식후 움직이기 실천, 7515 순환운동 실천, 식이로 염 분 섭취제한, 불포화 지방산 및 양질의 탄수화물 섭취 실천 정도를 확인하였다. 16주 에는 자가관리 행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간단한 요리 방법 및 운동과 신체 활동 에 대한 간단 소개 내용을 리플렛 우편 발송을 통해 제공하였다. 20주에는 전화 상담 을 통해 제공된 교육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고 자가관리 행위의 실천 현 황을 파악하기 위해 혈압 측정 실천, 하루 종일 걸은 총 걸음 수 기록하기, 식후 움직 이기 실천, 7515 순환운동 실천, 식이로 염분 섭취 제한, 불포화 지방산 및 양질의 탄 수화물 섭취 실천 정도를 미니포켓 자가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전화 상담을 통해 치료 유지를 지속하도록 하기 위해 병원 방문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외래 방문 일정에 대해 재공지 하였다. 24주에는 병원을 방문하였고 개별 상담과 미니포켓 모니 터링을 통해 자가관리 행위 실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자가 혈 압 측정 실천, 하루 종일 걸은 총 걸음 수 기록하기, 식후 움직이기 실천, 7515 순환 운동 실천, 식이로 염분 섭취제한, 불포화 지방산 및 양질의 탄수화물 섭취 실천 정도 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처지 내용은 Table 1과 같다.

중재

중재

(3) 연구도구

① 자가관리 행위

자가관리 행위는 신체 활동, 식이 습관, 약물 이행 정도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신체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Craig 등(2003)이 개발한 International Activity Questionnaire-Short Form을 이용 하였다. 본 도구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간호학과 교수 2명의 자문을 받아 도구를 수정, 보완하였다. 본 도구는 총 7문항 으로 구성되며 지난 한주 동안의 활동 정도에 대해서 묻고 있다. 과격한 신체 활동은 8METs, 보통 정도의 신체 활동은 4METs, 보통 속도로 걷는 것은 3.3METs, 앉아 있는 것은 1METs로 보고 기간(duration) x 일주일 동안의 빈도 (frequency per week) x METs를 통해 MET-minutes per week 값을 산출하였 다. 도구 개발 당시 criterion validity는 약 80%였다.

⦁식습관(Eating Habit)

식이 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Sallis (1996)가 개발한 Eating Habits Confidence Survey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간호학과 교수 2명의 자문을 받아 도구를 수정, 보완하였다. 본 도구는 4개 영역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5점 Likert 척도이다. 4개의 영역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경향(sticking to it), 저열량(reducing calories), 저염(reducing salt), 그리고 저지방(reducing fat)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5개의 문항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영역인 저열량, 저염 저지방과 관련된 15문항만을 이용하였다. 측정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항상 그렇다’로 측정되며 저열량, 저염, 저지방 각 영역의 점수 범위 는 5~25점이며 총 점수 범위는 15~7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저열량, 저염과 저지방 식이를 잘 따른 것으로 본다. Decker & Dennis (2013)의 연구에서 Cronbach's ɑ=.83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ɑ=.62이었다.

⦁약물이행(Medication Adherence)

약물 이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Lee 등(2013)이 한글로 번역한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의 8항목을 사용하였다(Morisky, Green & Levine,

1986). 측정 총 8문항 중 7문항은 예와 아니오로 측정하여 예는 1점, 아니오는 0점으로, 마지막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0은 1, 1은 0.25, 2은 0.75, 3은 0.75, 4는 0으로 계산한다. 총 0~8점의 점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6점 미만인 경우 이행도 낮음(low adherence), 6점 이상 8점 미만인 경우 이행도 보통(medium adherence), 8점 이상인 경우 이행도 높음(high adherence)으로 구분된다.

1986). 측정 총 8문항 중 7문항은 예와 아니오로 측정하여 예는 1점, 아니오는 0점으로, 마지막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0은 1, 1은 0.25, 2은 0.75, 3은 0.75, 4는 0으로 계산한다. 총 0~8점의 점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6점 미만인 경우 이행도 낮음(low adherence), 6점 이상 8점 미만인 경우 이행도 보통(medium adherence), 8점 이상인 경우 이행도 높음(high adherence)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