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급변하는 환경과 경쟁 속에서 의료기관들은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생 존전략을 고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략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인적 자원 관리이다(문인오, 2010; 박혜란, 김광점, 2014). 인적자원 중 간호사는 전체 의료 인력 구성의 43.2%를 차지하며(병원간호사회, 2016), 병원조직의 생산성과 경제 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 인력의 효율적인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박광옥, 2006; 유명숙, 2016).

최근 직장 삶의 질(Quality of Work Life, QWL)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간 호인력 유지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조명받고 있으며(Lees &

Kearns, 2005; McGillis & Kiesners, 2005), 직장 삶의 질 개선은 보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다(Fu et al., 2015). 간호 사에게 있어 직장 삶의 질이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업무를 수행하면 서 간호사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일과 개인 적 삶과의 균형, 조직의 문화인식, 업무 특성 및 업무 환경 등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Brooks et al., 2007; Fu et al., 2015).

직장 삶의 질 증진은 간호 서비스를 향상할 수 있으며, 개인의 업무성과와 더 불어 조직의 생산성을 증가시킨다(이주혜, 하주영, 2018; Pujiyanto, Suprihati, Nursalam, & Ediyati, 2017). 반면, 직장 삶의 질 저하는 이직률을 높이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어 병원의 입장에선 더 큰 비용을 지출하게 되며, 간호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Davey, Cummings, Newburn-Cook, & Lo, 2009; Inalhan, 2003;

Manwatkar, 2016). 이렇듯 직장 삶의 질은 개인 및 조직, 나아가 대상자에게 큰

건강관리환경에서 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Janaabadi & Nastiezaie, 2012; Khaghanizadeh, Ebadi, & Rahmani, 2008), 직장 삶의 질 관련요인을 규명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과 개인의 건강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김미지, 류은정, 2015; Dolan et al., 2008). 또한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는 직장 내 괴롭힘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며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mir &

Rodwell 2012; Topa & Moriano, 2013).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과 사회적 지지 및 직장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업무환경 개선,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관련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국 외의 간호학계에서는 직장 삶의 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국내 간호학 계의 관심은 부족하다(김미지, 류은정, 2015; Nowrouzi et al., 2016). 국내에서 수행한 연구를 보면, 직장 삶의 질 도구개발(김인숙 등, 2016), 구조모형 구축 및 검증 연구(김미지, 류은정, 2015)를 통해 이론적 근거는 마련하였으나 간호 실무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선행연 구는 이직의도와 소진 등 부정적인 개념인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본 연구가 대 부분이며(박미숙, 오청욱, 한혜숙, 2018; 서민숙, 김정혜, 2017; 연영란, 2015; 최 미건, 김혜경, 2015; 최소은, 김상돌, 이삼순, 2013), 직장 내 괴롭힘, 사회적 지 지 및 직장 삶의 질 간의 단편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있으나(김미지, 류은정, 2015; Azevedo, Nery, & Cardoso, 2017; Dolan et al., 2008; Eslamian et al., 2015), 이 세 변수 간의 관계를 본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사회적 지지 및 직장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 직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직장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