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

3.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창업’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창업의 법적 정의를 적용 하였다.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을 비롯한 창업 관련 지원 법률에 따르면 창업 기 업은 전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체로서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을 의미한다(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 2019). 본 연구에서도 사업 시작 후 7년 이내의 기업을 창업 기업으로 구분하였다.

‘농촌’의 공간적 범위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에 따라 읍·면 지역을 농촌으로 정의하고 해당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창업을 ‘농촌 창업’ 활동으로 구분 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농촌 창업의 생산 활동 범위는 농업·농촌과의 연관성을 고려 하여 농업·농촌의 자원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창업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김광 선 외(2018)의 농촌 산업 분류를 적용하여 농·수·축·임산물, 지역 특산물, 문화·생 태 자원 등 농업·농촌 관련 유·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제조업과 관광·유통 등의 서비스업의 창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3.2. 연구 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분석, 통계자료 분석,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 전 문가 원고 위탁 등을 활용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최신 창업 기업의 성 장 요인에 관한 연구 결과와 일반적인 창업과 구분되는 농촌 창업의 특성을 정리 하였다.

우리나라 농촌 창업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 사이의 사업체 총조사 원시데이터를 수집하여 농촌 창업의

전반적인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6차산업 기초실태조사, 농업법인조사 자료를 활 용하여 주요 부문별 농촌 창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농촌 창업 경영체들 의 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기업체 DB를 활용하였다. ㈜한국기업 데이터가 보유한 기업 DB 중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농촌에서 창업한 총 7만 2,323개의 경영체를 구분하여 농촌 창업 경영체의 현황 및 생명 실태, 성장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기업 DB 자료를 기반으로 생존 분석과 성장 요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농촌 창업 경영체의 생멸 및 성장 요인을 도출하였다.

농촌 창업 경영체들의 입지 요인과 생산활동의 특성 그리고 정책 수요를 파악 하기 위해 200개 경영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농촌 지 역의 유형(읍·면)과 산업 부문(제조업·서비스업)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농촌 창업 경영체의 성장 경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창업 경영체에 대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정책 개선 방향 및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주요 창업 지원 기관의 담당자와 농촌 산업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 하였다.

3.3. 연구추진 체계

연구추진 체계는 <그림1-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그림 1-1> 연구추진 체계도

자료: 저자 작성.

제2장

창업 생태계 특성과

농촌 창업 생태계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2장

창업 생태계 특성과 농촌 창업 생태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