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3장

농촌 창업 활동 현황과 특징

시에서는 11.37% 증가하였으며, 창업 경영체에서 고용한 인원수는 농촌에서 40.82% 증가하였고, 도시에서는 24.48% 증가하였다. 2018년에는 2015년 대비 창 업 경영체와 고용 인원이 도시와 농촌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도시에서 창 업한 경영체와 고용 인원이 각 11.92%, 15.11% 감소한 반면, 농촌에서는 각 4.73%, 4.45% 감소하여 도시보다 농촌에서 창업과 이를 통한 고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는 2010년 대비 도시에서 창업 업체 수가 1.95% 감소하였는데, 농촌에서는 24.10% 증가하였다. 고용 인원은 농촌에서 25.68% 증가하였는데, 도시에서는 5.37% 증가에 그쳤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2010년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도시에 비해 농촌에서 창업과 고용 창출이 더 활 발하게 이루진 것으로 보인다. 도시보다 농촌에서 창업과 이를 통한 지역 경제 활 성화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편린이라고 판단된다.

<표 3-1> 2010∼2018년 지역별 창업 및 기창업 업체 수와 고용 인원수 변화

단위: %

연도 지역

업체 수 고용 인원수

기창업 창업 기업수 계 기창업 업체 고용 인원

창업 업체

고용 인원 고용 인원 계

’10~’15

농촌 22.22 38.28 24.11 33.59 40.82 34.12 도시 14.45 11.37 13.99 18.54 24.48 19.06 계 15.87 15.21 15.77 21.12 26.84 21.61

’15~’18

농촌 12.15 -4.73 9.93 10.57 -4.45 9.42 도시 8.02 -11.92 5.07 7.82 -15.11 0.00 계 8.82 -10.69 5.99 8.34 -13.41 1.76

’10~’18

농촌 27.05 24.10 26.71 32.30 25.68 31.86 도시 19.12 -1.95 16.50 21.75 5.37 16.01 계 20.69 2.82 18.50 23.79 8.96 19.19 주 1) 송미령 외(2020)의 <표 2-7>, <표 2-8>을 참조하였음.

2) 창업 기업은 2010, 2015, 2018년에 창업한 기업을 말함.

3) 기창업 기업은 조사 연도 이전에 창업한 기업을 말함. 예를 들어 2010년 기준 2009년 이전에 창업한 기 업임.

4) 변화율은 기준 연도 대비 비율임. 예를 들어 2010~2015년의 고용인 수 변화율은 (2015년 고용인수 – 2010년 고용인수)/(2010년 고용인수)임.

자료: 통계청(2010, 2015, 2018). 전국 사업체 총조사.

산업별 농촌 창업 현황을 살펴보면, 농업을 비롯한 농촌산업 관련 창업 또한 증가 하는 추세이다. 농식품산업의 창업은 연평균 약 13.7%의 성장률로 증가하고 있다.2) 농업법인 중 영농조합법인의 증가세는 감소하고 있으나, 농업회사법인은 2011년부 터 2017년 사이 연평균 14.7%가량 창업하는 경영체가 매해 증가하고 있다.

<그림 3-1> 농식품산업 창업 현황

단위: 건

자료: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2019) 참고하여 저자 작성.

<그림 3-2> 농업법인 창업 현황

단위: 건

자료: 농림축산식품부(각 연도). 󰡔농업법인조사󰡕.

2)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기준으로 농업, 음료제조업, 식품제조업을 농식품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농업인들이 농업·농촌의 자원을 활용하여 창업하는 농촌융복합산업 부문의 창 업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림식품분야 6차산업 경영체는 2009년 부터 2016년까지 총 5,094개소, 평균 연 630개소가 새롭게 창업하였다. 사업 분야 별로 보면 농식품 가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체험 관광, 직매장, 농가식 당의 순이다.3) 창업 경영체는 일반사업자(41.6%)와 농업법인(29.8%)이 가장 많 으며, 다음으로 농업인(18.0%), 마을공동체(4.5%), 농협(3.5%) 순이다.

<그림 3-3> 6차산업 창업 경영체 현황(2009~2016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농어촌공사(2017) 참고하여 저자 작성.

농촌에서 이루어지는 창업의 다른 형태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 사회적 경제 조직이 있다. 2011년 「협동조합 기본법」이 제정된 후 농촌에 소재지 를 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의 창업은 매년 지속되고 있다. 협동조합은 연간 500여 개소가 증가하고 있으며,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은 연간 약 60여 개소 이상 증가하고 있다.4) 전국적으로 사회적기업은 영리기업 중 상법상 회사 형태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으며(76.7%), 비영리기업은 23.3%를 차지하고 있다. 마을기 업은 영농(어)조합법인(73.2%)의 형태가 가장 많으며, 그 외에 상법상 회사 13.7%, 협동조합 3.9%의 형태로 설립되고 있다.

3) 6차산업 기초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6차산업 참여 경영체 모수는 각 도 및 시·군에서 제공한 자료이다.

4)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의 첫 인증 및 지정 연도를 창업 연도로 분석하였다.

<그림 3-4> 농촌 사회적경제 조직 창업 현황

자료: 행정안전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내부자료 참고하여 저자 작성.

1.2. 농촌 창업 경영체 현황

한국기업데이터5)의 DB를 이용하여 농촌 창업 경영체의 현황 및 생멸 실태, 성 장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0~2020년 5월 기준이고, 분석 대상은 농촌 (읍, 면) 소재지에서 사업자등록을 한 창업 경영체 중 농촌 창업 산업 부문6)에 해 당하는 총 7만 2,323개의 창업 경영체이다.

2010~2020년 중반까지 농촌에서 창업한 경영체 중에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0년부터 2020년 5월까지 농촌에서 창업한 경영체 7만 2,323곳 중 도소매업, 제조업이 55%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등 생산자 서비스업과 여 가 관련 서비스업 비중이 뒤를 이어 높게 나타나고 있다.

5) 한국기업데이터(KED)의 데이터는 일반법인 및 공시 의무가 없는 기업 등 약 480만 기업(누적)의 정 보를 보유하고 있다. 기업생멸행정통계에서도 기업 생멸 검증 등에 사용하기도 하며, 기업 개요 및 현 황, 재무 정보 등을 입수하여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 전체 사업체수는 통계를 생성하는 기관 및 목적 등에 따라 제각각으로 집계되어 일관된 정보를 확보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도 농촌 의 창업 활동의 전반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보조 지표로 활용하였다.

6) 김광선 외(2018), 박지연 외(2016)에서 정의한 농촌 산업의 범위를 준용하였다.

<표 3-2> 농촌 창업 기업 산업별 분포(2010년 이후)

단위: 개소, %

산업분류 전체 비율

농림어업(A) 4,880 6.7

제조업(C) 19,197 26.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E) 118 0.2

도매 및 소매업(G) 20,633 28.5

숙박업 및 음식점업(I) 3,238 4.5

정보통신업(J) 2,116 2.9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7,566 10.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N) 7,684 10.6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O) 6 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936 1.3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R) 5,949 8.2

합 계 72,323 100

자료: 한국기업데이터 DB 활용하여 저자 작성.

2010년 이후 창업한 경영체는 농촌 지역 내에서도 원격지 농촌보다 상대적으로 도시와 인접한 농촌 지역7)을 선호하며, 지자체별로 보면 경기도와 경상도, 충남 도, 전남도가 창업지역으로 선호되고 있다. 법인은 면 지역에 위치하는 비중이 큰 데 반해 개인 경영체는 서비스 대상인 소비자가 몰려있는 읍지역을 선호하는 경향 을 보이고 있다.

<그림 3-5> 경영체 형태별 입지 지역

단위: %

자료: 한국기업데이터 DB 활용하여 저자 작성.

7) 이 장에서 원격 농촌과 일반 농촌에 대한 구분은 정도채 외(2019)의 지역 구분을 활용하였다.

창업 경영체는 업종별 특성이 반영되어 창업 지역과 기업 유형에 따른 입지 특 성의 차이가 나타난다. 생산 및 서비스 시설을 갖춰야 하는 제조업과 사회복지 서 비스업은 상대적으로 지대가 저렴한 면 단위에 설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여가 서비스업은 주요 소비자의 접근성이 좋은 읍을 중심으로 창업 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표 3-3> 주요 업종별 창업 경영체 입지 지역 및 기업 유형

단위: %

산업분류 읍·면 구분 지역 구분8) 기업 유형

원격농촌 농촌 개인 법인

제조업(C) 36.3 63.7 18.3 81.7 19.6 80.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48.6 51.4 18.7 81.3 20.2 79.8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R) 62.6 37.4 16.7 83.3 74.0 26.0 자료: 한국기업데이터 DB 활용하여 저자 작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