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문헌고찰

5. 연구의 이론적 기틀

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Akhtar & Asghar 2015). Bronfenbrenner와 Crouter (1983)는 인간을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을 설명할 때 유기체(Individual)를 중 심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미시체계(Microsystem), 중간체계(Mezzosystem), 외체 계(Exosystem), 거시체계(Macrosystem) 및 시간체계(Chronosystem)의 계층 화된 구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생태체계적인 접근은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 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정도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있어 보다 다양한 체계 단위로 접근할 수 있다(강보민 2020; Bronfenbrenner & Crouter, 1983).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는 것은 개인적 특성뿐 만 아니라 그들이 속한, 가족, 그룹, 지역사회로부터 받는 영향까지 모두 포 함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Lawman, 2013).

Bronfenbrenner와 Crouter (1983)는 유기체를 둘러싼 환경들이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및 시간체계가 일련의 내재화된 구조로 이루어

달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존재한다고 보고되 었다(Bronfenbrenner & Crouter, 1983; Eriksson, Ghazinour & Hammarstr öm, 2018). 이와 같이 생태체계이론의 각각의 체계는 개인의 삶이 여러 환 최승순과 최만규, 2014; Bronfenbrenner & Crouter, 1983).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소득수준, 결혼여부, 식생활형편, 흡연, 말한다(Bronfenbrenner & Crouter, 1983; Dev, McBride, Fiese, Jones &

Cho, 2013). 개인의 발달과 변화가 계속되는 것처럼 미시체계의 환경도 계 속 변화하며, 개인의 일상에도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친다. 이런 미시체계는 개인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많으며,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신체적 질환, 가 족관계, 심리적·사회적 특성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배나래와 박충선, 2009;

이규리와 최현경, 2019; 이현경, 김미선, 최승순과 최만규. 2014;

Bronfenbrenner & Crouter, 1983).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을 이웃과의 상호작용에서는 외식빈도, 건강서 비스에서는 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검진 수진 여부를 미시체계 변인으로 선 정하였다.

중간체계는 개인이 발달에 실제로 참여함으로 개인을 둘러싼 직접적인 환경에 변화가 일어나도록 영향을 끼치는 경우이고 성장하는 유기체가 두

가지 이상의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과정간의 상호관계나 과정을 의미하며 선행연구에서는 가족, 이웃, 친구 등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이는 개인이 속한 직장, 이웃, 지역사회를 포함하였다(이규리와 최현 경, 2019; Bronfenbrenner & Crouter, 1983; Eriksson et al., 2018).

외체계는 발달하는 개인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근접환경에서 영향을 주는 야 한다(Bronfenbrenner & Crouter, 1983; Lucini et al, 2016).

Bronfenbrenner와 Crouter (1983)의 생태체계이론은 다양한 학문에 많은 연구가들이 적용하지만 전체 체계를 다루기에는 너무 광범위하여 연구 대

리고 외체계와 거시체계를 한체계로 묶어 3가지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소연(2019), 김연하와 김민주(2019), 김은아와 장금 성(2011), 손미선(2020)의 연구를 근거로 하여 생태체계이론의 체계 중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유기체 변인과 유 기체 변인에 영향을 주는 미시체계 변인, 성인 1인 가구를 둘러싼 지역사회 환경요인인 외체계 변인으로 구분하여 연구 변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다음과 같다(그림 3).

그림 2. 생태체계이론(Bronfenbrenner & Crouter, 1983)

그림 3.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