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지표에 대한 잠재적 하위그룹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잠재계층분석과 기계학습기법을 활용한 첫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총 10년간(2009년∼2018년)의 자료를 이용하 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유형화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며 최종 대상자는 1,371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 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연령, 체질량지수, 주관적 체형인식, 비만여부, 음주, 흡연, 폭음빈도, 최장 일자리 종류 등이 중요도가 높은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성인 1인 가구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유형화를 통 해 분류된 그룹은 ‘성인전기 고신체활동 그룹’, ‘성인중기 여성 고혈압 그 룹’, ‘성인중기 흡연·음주 그룹’, ‘성인중기 비만·복부비만 그룹’이었다. 또한 대사증후군 영향요인에 따른 잠재계층그룹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 4개의 잠 재계층은 교육수준, 소득수준, 외식 빈도, 식생활 형편, 주관적 건강상태, 주 관적 체형인식 등의 일반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각 그룹별 대사증후군이 발생 예측을 알아본 결과 ‘성인중기 비만·복부비만 그룹’이 가장 높은 확률을 나타내어 대사증후군 발생에 가장 취 약한 고위험 그룹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유형화 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새로운 시도로써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분류된 잠재유형별 맞춤형 중재를 개발함에 있 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예방에 기여 할 수 있 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규명된 계층의 유형에 따른 체계적인 맞춤형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 추후 대사증후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도출된 그룹별로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대 사증후군의 영향요인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하고 기계학습기법을 통해 확 인한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에 적용한 생태체계이론의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 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변인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대규모 조사연구를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대상자를 다년간 추적 분석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년간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양상과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잠재추이분 석 또는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종단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경화, 김형수, 박애란, 김희영과 이건세(2018). 한국 청소년 도박유형 특성 의 잠재계층분석. 간호행정학회, 48(2), 232-240. doi:10.4040/jkan.201 8.48.2.232

강민아와 이수경(2017). 대학생의 모바일 헬스 기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 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 미디어논문지, 7(9), 429-442. doi:10.14527/ajmahs.2017.09.73

강보민(2020). 중년 1인 가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일반 매체 적용. 아동간호학회지, 20(3), 205-214. doi:10.4094/chnr.2014.20.

3.205

살생각 예측요인 비교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2(6), 3103-3115. 8-2017) 자료를 이용하여. 가정의학, 10(1), 44-52. doi:10.21215/kjfp.

2020.10.1.44 13(8), 419-429. doi:10.14400/JDC.2015.13.8.419

김유미, 장동민, 김성수, 박일수와 강성홍(2009).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당 뇨환자의 관리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0(5), 1100-1108.

김은경과 박숙경(2016). 우리나라 여성 1 인가구와 다인가구 여성의 건강행 태 및 질병이환율 비교: 2013 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한 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83-494. doi:10.5932/JKPHN.2016.30.3.483 김은아와 장금성(2012).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구축. 한국간

호교육학회지, 18(2), 312-322. doi:10.5977/jkasne.2012.18.2.312

김상훈(2009).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노인비만여성의 비만, 체력 및 대사증후군

김종원, 김도연과 이정아(2013).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비만 남중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8), 56-65. doi:10.5762/KAIS.2019.20.8.56 노언경, 정송과 홍세희(2014).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문미경과 이수경(2017). Applying of Decision Tree Analysis to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대한의료정보학회, 23(1), 43-52.

문초이, 이형만과 이언석(2017). 홍채 분석기반 스트레스 진단시스템. 한국

박일수, 김유미와 강성홍(2015). 건강위험요인 상태변화에 따른 고혈압 건강 17(5), 664-675. doi:10.5720/kjcn.2012.17.5.664

박해찬, 류현승과 노희태(2013). 중년 남성의 운동과 음주, 흡연 습관이 체 학회, 19(11), 126-136. doi:10.5762/KAIS.2018.19.11.126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과 박민진(2008).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213.

변미리, 민보경과 박민진(2019). 서울시 1인 가구의 공간분포과 주거이동 분석.

한국인구학, 42(4), 91-119. doi:10.31693/KJPS.2019.12.42.4.91

변해원과 조성현(2015). 인공신경망 분석과 결정트리 결합에 의한 중년 고 혈압 예측모델링.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2), 9-18. do i:10.14257/AJMAHS.2015.04.25

서정미, 임남규, 임중연과 박현영(2016).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사회경 11(1), 221-231. doi:10.22143/HSS21.11.1.17

손미선(2020).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알레르기질환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유형 분석. 박사학위, 건국대학교, 충주.

손미선, 지은선(2019). 알레르기질환 아동의 가정 내 환경요인과 문제행동의 관계: 2015년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0(4), 426-436. doi:10.12799/jkahn.2019.30.4.426

송채훈과 김관호(2020).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지적장애 중년여성의 건 강관련체력, Irisin 및 Leptin 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8(3), 321-329. doi:10.34284/KJGD.2020.08.28.3.321

서재룡과 배상수(2011). 일개 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농 촌의학 지역보건, 36(4), 264-279. doi:10.5393/JAMCH.2011.36.4.264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패턴.

기상 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1(3), 535-544. doi:10.210 보건간호학회지, 32(1), 30-43. doi:10.5932/JKPHN.2018.32.1.30

안지현과 박유경(2020). 한국 성인의 혼밥 횟수와 건강 관련 요인 조사: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26(2), 85-100. doi:10.14373/JKDA.2020.26.2.85

양명희와 권재기(2013). 청소년들의 학업정서 지각 유형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한국청소년연구, 24(4), 203-229.

엄흥섭, 김윤년과 윤경일(2008).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심방세동유형 예측모형개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3(1), 51-63.

오정은(2014). 성인 남성에서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대한비만학회지, 23(2), 99-105. doi:10.7570/kjo.2014.23.2.99

윤미정과 김영미(2018). 한국인의 성별에 따른 나트륨 섭취태도 및 식행동과 적용. 지역사회간호학회, 30(1), 11-24. doi:10.12799/jkahn.2019.30.1.11 이대웅, 문상호, 이효주와 이소담(2016). 데이터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한

고령자의 자살위험 예측요인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5(1), 297-329.

이명선, 송현종과 김보영(2018). 1인 가구의 신체적 건강수준, 건강행태와 주관적 우울감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5(2), 61-71.

doi:10.14367/kjhep.2018.35.2.61

이상균, 유조안과 그레이스 정(2015).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 비교. 보건사회연구, 39(3), 380-407. doi:10.15709/hswr.2019.39.3.380

이한나(2020). 1인 가구의 사회서비스 수요와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020(10), 21-35. 연구, 8(2), 75-89. doi:10.24007/ajpess.2020.8.2.007

임준형, 최인영과 박혜경(2019).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 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1), 2

49-260. doi:10.17548/ksaf.2019.01.30.249 기회. 정보시스템연구, 24(4), 139-152. doi:10.5859/KAIS.2015.24.4.139 전지원과 김경아(2018). 청소년 건강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사회자본의 영향 검증: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의 비교를 통하여. 디지털융복합 연구, 16(6), 385-397. doi:10.14400/JDC.2018.16.6.385

전진아(2014). 한국 성인의 성별 정신건강 수준 차이: 우울을 중심으로. 보

63(6), 649-659.

조영경, 심경원, 석혜원, 이홍수, 이상화 등(2019).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 건강 행태와대사증후군에서의 차이: 성별과 세대에 따른 분석. 대한가정의학회지, 9(4), 373-382. doi:10.21215/kjfp.2019.

9.4.373

조영복, 우성희와 이상호(2017). 홍채학기반이 질병예측을 위한 홍채인식 알 고리즘.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1(1), 107-114.

조영숙과 염동문(2019). 한국 중년남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잠재계 층분석. 간호행정학회, 49(1), 104-112. doi:10.4040/jkan.2019.49.1.104 조원섭, 유승현과 김혜경(2015).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건

강관련행동 군집유형과 영향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5), 17-31. doi:10.14367/kjhep.2015.32.5.17

주은실과 최지선(2017).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의 유형화. 간호행정학회, 47(6), 817-827. doi:10.4040/jkan.2017.47.6.817 채현주와 김미종(2020).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른 미충족 의료현황과 관련 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1), 93-103. doi:10.4069/kjwhn.2020.03.23 최수빈, 백진경, 곽정현, 정혜경과 강해진(2020). 노년층 1인 가구와 2인 이상 한가정학회, 55(2), 141-152. doi:10.6115/fer.2017.011

한지형, 고대균과 최현자(2019). 머신러닝을 통한 가계의 재무스트레스 영향

요인 예측 및 분석: XGB의 활용. 소비자학연구, 30(2), 21-43.

Akhlaghi, M. (2020).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P 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against risk factors of the metaboli c syndrome. Nutrition Research Reviews, 33(1), 1-18.

doi:10.1017/S0954422419000155

Akhtar, S., & Asghar, N. (2015).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district swat.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65(9), 1001-1004.

Ali, M., Sterk, G., Seeger, M., Boersema, M., & Peters, P. (2012). Effect of hydraulic parameters on sediment transport capacity in overland flow over erodible bed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6 (2), 591-601. doi:10.5194/hess-16-591-2012.

Alyass, A., Turcotte, M., & Meyre, D. (2015). From big data analysis to personalized medicine for al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Bio Medic al Center Medical Genomics, 8(1), 1-12. doi:10.1186/s12920-015-0108-y Andriani, P., & Chamidah, N. (2019). Modelling of hypertension risk fact

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prevent hypertension in indonesia.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1306(2019), 012027. Advanc ed online pulication. doi:10.1088/1742-6596/1306/1/012027

Bae, S., Urrutia Rojas, X., Patel, D., Migala, W. M., Rivers, P. A., &

Singh, K. P. (2007).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mong single-and multiple-member household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1(5), 514-525. doi:10.5993/AJHB.31.5.7

Bansal, R., Gubbi, S., & Muniyappa, R. (2020). Metabolic syndrome and COVID 19: Endocrine-immune-vascular interactions shapes clinica l course. Endocrinology, 161(10), 1-15. doi:10.1210/endocr/bqaa112 Boardman, J. D., & Alexander, K. B. (2011). Stress trajectories, health b

-ehaviors, and the mental health of black and white young adults.

Social Science & Medicine, 72(10), 1659-1666.

doi:10.1016/j.socscimed.2011.03.024

Bronfenbrenner, U., & Crouter, A. C. (1983). The evolution of environme ntal model in developmental research. New York, NY: Willey

Bronfenbrenner, U., & Crouter, A. C. (1983). The evolution of environme ntal model in developmental research. New York, NY: Wille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