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문헌고찰

1. 성인 1인 가구의 현황과 특성

(1) 이론적 정의: 동거인 없이 1인 혼자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 생계 를 유지하는 19세∼64세에 해당하는 세대의 단독 가구 를 말한다(통계청, 2005).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Erikson과 Erikson (1998)의 생애 발달 과정을 근거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설문지 결과 중 19세∼64세의 세대구성이 1인 가구(세대주)를 의미한다.

2) 대사증후군

(1) 이론적 정의: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 2001) 에서 제시한 고지혈증 치료지침(National Cholesterol Educati 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Ⅲ, [NCEP-ATP Ⅲ]에 근거하여 고혈압, 고혈당, 고밀도지질단백혈증, 고중성지 방혈증, 복부비만 중 3가지 이상의 임상적 소견이 있을 경우 대사증후군이라 말한다.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검진조사 자료에서 NCEP-ATP Ⅲ에서 제시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의 5가지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대사증 후군으로 정의한다.

① 고혈압: 혈압이 130/85mmHg 이상 또는 고혈압치료 중인 경우

② 고혈당: 공복혈당인 100mg/DL이상 또는 당뇨병치료

중인 경우

③ 고밀도지질단백혈증: 고밀도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여자 50mg/DL 미만

④ 고중성지방혈증: 중성지방 150mg/dL이상

⑤ 복부비만: 허리둘레가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이상

Ⅱ. 문헌고찰

1. 성인 1인 가구의 현황과 특성

1인 가구라는 용어는 통계청이 2005년 1인 가구에 대한 개념을 도입하면 서부터 등장했고, 그 전에는 ‘단독가구’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어 왔다(조수 민, 민소희, 손다애와 김은순, 2020). 통계청(2005)에 따르면 1인 가구는 혼 자서 살림하는 가구, 즉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 는 가구를 말한다(변미리 등, 2019).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518만 가 구로 전체 가구 중 29.3%로 가구원수별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 했고, 2045년이 되면 1인 가구의 비율은 36%까지 늘어날 전망이다(통계청, 2018).

이처럼 1인 가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크게 자신만의 개인 생활을 영위하고 싶은 사회적 분위기와 경제적 빈곤으로 인한 사회구조적 문제, 그리고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들 수 있다(강소현과 박정윤, 2020; 이여봉, 2017). 그리고 비혼 및 이혼율의 증가로 인하여 1인 가구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강은나와 이민홍, 2016).

1인 가구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1인 가구의 증가추세에 따라 초기에 는 1인 가구의 생성원인은 무엇이며, 주로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 펴본 연구(변미리 등, 2019; Fujiki, 2020) 에서 시작하여 1인 가구의 지역적 분포와 인구학적, 사회적, 경제적 특징을 연구하는 주제로 점차 증가하여 왔다(권주안, 이유진과 최혜경, 2007). 또한 1인 가구의 범죄피해(Lauritsen, 2001), 1인 가구의 주거형태와 소비특징(이재수와 양재섭, 2013), 1인 가구 의 정책적 수요(강은나와 이민홍, 2016; 변미리 등, 2008) 등을 살펴보는 연 구로 시대별로 그 주제와 관심이 점차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1인 가구는 형성 요인에 따라 자발적 1인 가구와 비자발적 1인 가구로 구분되는데(변미리 등, 2019; 이한나, 2020) 자발적 1인 가구란 주로 30∼40

대의 연령층에 해당되며 사회적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혼연령이 늦어 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 D])가입 국가 중에 이혼율이 2016년 기준 9위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

따르면, 1인 가구 생활이 비만과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다인가구에 비해 질 병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Hedblad et al., 2002).

하지만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반드시 건강이 나쁘다고 단정 짓기 는 어렵다. 1인 가구의 수면의 질이 다인 가구보다 좋다거나(Bae et al., 2007), 1인 가구의 여성이 다인가구의 여성보다 신체활동을 더 활발히 한다 는 연구 결과들도 보고되었다(김영주, 2009).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1인 가 구의 경우 오히려 가족을 부양하는 스트레스나 부담감으로부터 해방되어 자신의 건강관리에 집중할 수 있고, 실제 도시에 거주하는 성인전기1인 가 구의 경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식단관리에 철저하여 다인 가구보다 오 히려 양호한 건강 수준을 유지한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김승전 등, 2015).

이상의 문헌에서 살펴본 결과 성인 1인 가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인 가구는 동질적인 특성을 지닌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 해 긍정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연구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성인 1인 가구는 건강을 포함한 모든 측면에서 다인 가구보다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