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 인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또한 Bronfenbrenner와 Crouter (1983)의 생태체계이론을 토대로 유기체, 미시체계, 외체계 변인을 선정하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의

등의 변수가 공통적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안보미와 손지희(2018)의 연구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김상훈, 2009; Tamura, Omura, Toyoshima & Araki, 2020). 하지만 최근 연구를 살펴보면 성인전기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진단기 준 중에서 비만, 허리둘레,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결과 가 보고되었고, 이는 성인전기에서도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김아린, 2018; Gaydosh, Schorpp, Chen, Miller, &

Harris, 2018; Nolan, Carrick-Ranson, Stinear, Reading & Dalleck, 2017;

Lee, Kang & Lee, 2020).

성인전기에서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이유는 성인중기와 성인후기에는 이미 건강습관이 고착화되어 건강행태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인전기인 청년기에 올바른 건강습관의 기반을 마련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중요하고 예방전략에

있어서도 차별화가 필요하다(Lee et al., 2020; 강민아와 이수경, 2017; 강한

며 이는 고혈압을 가진 중장년 여성의 혈압이 대사증후군 영향요인이라는 송 2009; Wang, Shi, Liu, Liu & Shi, 2018).

세 번째 그룹은 ‘성인중기 남성 흡연·음주 그룹’이다. 이 그룹의 유기체변

거로 ‘성인중기 남성 흡연·음주 그룹’에게 음주와 흡연은 대사증후군 발생에

복부비만에 이환되어 있었다. 비만과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있어 가장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은 비만과 복부비만

적 관계망 등)와 거시체계(문화, 가치관, 규범 등) 및 시간체계를 설명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횡단단면자료인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유형을 확인한 연구로 의미가 있지만, 조사대상이 연도마다 달라져 대사증후군의 종단변화 및 추이를 확인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유형화하고 기계학습기법을 적용하여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분석한 새로운 시도였음에 의의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 전국 단위의 대표성이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 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 파악된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영향요인 유형 결과는 성인 1인 가구에게 일반화가 가능하다.

셋째,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성인 1인 가구의 대사증후군 위 험요인을 통계적 수치에 근거하여 이질적인 계층으로 구분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확인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