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황 과 향후 정책 방안 : 일상 생활 기능 의 자립 향상 을 중심 으

기에서 중점적 연구의 핵심은 일차적으로 기능장애발생의 과정상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인자를 규명하는데 있고, 이차적으로 정책과제로써 이를 제 거 또는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보건의료지원체계를 정리, 제언하는데 두고 있다.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본 연구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활용되고 있는 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출발은 노인건강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를 생활기능의 자 립 촉진에 두고 있기 때문에, Nagi 및 Verbrugge 등이 이론적으로 정립한 장애발생과정1)(disablement process)단계별로 장애의 촉진요인과 억제요인 에 대한 분석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장애발생과 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각 장애발생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 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보건의료서비스일지라도 그 효과정 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각 장애발생단계를 측정할 수 있는 각종지표가 필요하고, 이들 지표를 이용한 조사가 수행되어 있어야 한다. 지난 1990년대 이후 본 연구수행과 관련된 전국단위의 표본조사를 보면, 국민건강영양조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노인장기요양 보호 욕구실태조사 등이 있는데, 이들 조사에 사용된 지표항목이 반드시 일 치하지 않다는 점 이외에 장애발생단계 중, 특정의 일부단계에 해당하는 지 표만으로 조사되었다는 점이 본 연구분석상 제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 전국 노인생활실태조사자료는 1994년, 1998년, 2004년, 2008 년 등이 있지만, 2008년도의 조사자료의 공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2004년도 자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고,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는 1998 년, 2001년, 2005년, 2007년, 2008년 등이 있지만, 2007년과 2008년도에

1) 이에 대한 설명은 2장의 제2절에서 설명하고 있고,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자 하는 경

우에는 선우덕 외, 허약노인대상의 보건의료서비스 개발 및 효율적 운영체계 구축방안, 한

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를 참조하기 바람.

17

제1 장 서론

는 일상생활기능(ADL, IADL) 지표가 누락되어 있어서 2005년도의 자료 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노인 장기요양보호 욕구실태조사 자료는 2001년도 밖에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2001년, 2004년 및 2005년도의 자료에서는 모두 동일한 일상생활동작 지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상의 동일성을 기할 수 있 었으며, 특히, 2001년도의 자료에서는 다른 2종류의 자료와 달리 치매와 우울증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포함되어 있어서 정신인지기능에 대한 분 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둘째, 현행 노인건강정책에 대한 내용과 주요 선진국가의 노인건강정책 에 대한 고찰은 국내외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때, 가능한 한 본 연구의 핵심적 목표인 생활기능자립의 촉진측면에서 추진되 고 있는 정책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기능장애의 영 향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존의 각종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고찰한 후, 본 분석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해보는 것으로 하였다.

셋째, 이러한 분석결과와 주요 선진국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일상생활기 능자립을 위한 효과적인 노인건강지원정책을 제언하는 것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은 본 분석의 이론적 개념인 장애발생과정의 각 단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한 기초분석자료가 존재하 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만성질환이나 낙상부상과 같은 장애과 정의 초기단계나 일상생활동작과 같은 마지막 단계의 장애관련 지표는 존 재하지만, 기능적 손상(impairment)이나, 제한(limitation)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부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용지표에 한하여 장애발생의 영 향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다.

K I H AS

02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