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산모의 산후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며 산모의 산후 정신건강을 증진하여 초저출산 문 제에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 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연구의 내용을 기술하 였다. 또한 본 보고서에서 활용되는 연구의 틀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 다. 제2장에서는 산후우울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산후 정신건강의 현 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산후우울 또는 산후 정신건강에 관 한 국내외의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산후우울 측정 도구를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과 산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 로 연구한 내용을 구분하여 각 절에서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1절에 서 국내의 산후 정신건강과 관련된 법률과 지원 사업의 현황을 정리하였 고 제2절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산모와 신생아의 산후 관리에 관

18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한 권고안’과 영국 보건임상연구소(NICE)의 산전 산후 정신건강 지침을 중심으로 외국의 사례를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산후 정신건강의 현황과 산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전국 실태 조사 자료(2차 자 료)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관련 데이터인 2008년 출생 아동 및 가구를 패 널로 하여 출산 전후 우울 수준을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조사와 4차(2012 년)와 5차(2014년)에 산후우울을 측정할 수 있는 CES-D 문항을 조사한 여성가족패널조사, 2015년 조사에 산후우울 관련 문항을 신규로 포함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와 전국적으로 주요우울장애(기 분장애)를 조사한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2)를 살펴보고 이들이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점검하였다. 최종적으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정신질환실태 조사,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 하여 산후 정신건강 상태, 의료 이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교 차분석과 회귀분석 등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제6장에서는 출산 한 지 1년 미만인 산모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조사 를 수행하였다. 산후 정신건상 상태 파악을 위한 에딘버러 산후우울 검사 (한국어판) 10문항(대한의학회, 대한신경정신학회)을 포함하여 산모의 일반 사항, 사회경제적 특징, 산과적 특징, 가족 및 사회 요인, 산후 활용 하고 있는 정신 관리 방법 및 욕구 등을 파악하여 수요자의 관점에서 산 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7장에서는 고찰한 선행 연구와 국외 사례, 다양한 2차 자료(데이터) 분석 결과, 심층 면접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2) 정신질환실태(역학) 조사는 정신건강 실태조사, 국민정신건강실태조사, 정신질환실태 역학 조사, 정신질환실태 조사 등 여러 용어로 불리고 있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2016년 보고 서에 제목으로 사용된 ‘정신질환실태 조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제1장 서론 19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우리 사회 산모의 산후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산후우 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 관련 법안과 지원 사업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기존 통계자료 분석, 관련 전국실 태 조사 자료(2차 자료) 파악 및 기술 통계분석, 건강보험 전산 청구 자 료 심층 통계분석(회귀분석),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질적 조사 방법(심 층 면접)을 활용하였다.

양적인 방법으로 2차 자료의 분석은 산후 정신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data)의 현황을 파악한 후, 조사의 사례 수 등을 감안하 여 분석이 가능하며 최근에 공개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 조사 자료(2015)’, ‘정신질환실태 조사 자료(2006, 2011, 2016)’, ‘국민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산모 에 관한 많은 요인을 포함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회귀 모형을 통해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적 방법으로 심층 면접 분석은 출산 후 1년 이내인 산모를 대상으로 인지하고 있는 정신건강의 상태, 에딘버러 검사를 통한 산모의 정신건강 상태를 알아보고, 산모가 느끼는 산후 정신건강의 문제,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욕구 등에 대해 심층 면접을 하는 질적 분석을 수행하 였다. 이를 통해 산모들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그들의 정책 욕구를 분 석하였다. 심층 면접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문서 번호 제2017-10호)을 받은 후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을 완료한 대상자는 산후우울 검사인 에딘버러 검사(한국어판) 결과 에 따라 9점 이하인 우울 비위험군을 A집단으로 분류하고, 10점 이상인

20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우울 위험군을 B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에딘버러 검사 결과 9점 이하인 A 집단 8명과 검사 결과 10점 이상으로 우울 위험군인 B집단 7명 등 출산 한 지 1년 이내인 산모 총 15명이 본 연구를 위해 심층 면접에 참여한 분 석 대상자이다.

또한 국내외 사례 분석을 위해 국내의 산후 정신건강 관련 법률인 정 신건강 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 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과 모자보건법, 국가의 정신건강 종합대책, 서울시의 산후 정신건강 관련 지원 사업인 서 울아기 건강 첫걸음 사업을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로는 미국의 산후우울 증 관련 법안, 세계보건기구(WHO)의 산후 관리 권고안, 영국 보건임상 연구소(NICE)의 산후 정신건강 지침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