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통계 및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 전문가 간담회, 외부원고 의뢰 등을 실시하였다. 우선 통계 자료로서는 농 림부, 통계청,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특히 중소기업청 시장경영지원센터는 2006년부터 정기시장이 포함된 「재래시장 실태 조사보고」를 발간하고 있으며, 이 조사자료는 시장의 시설이나 운영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유용하다. 본 연구를 위해 시장경영지원센터의 협조를 받아 정기시장에 관한 원자료를 조사 및 분석 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4

이 연구를 위해 세 종류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는 전국의 정기 시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장내 상인모임(번영회․상인회)의 대표, 시 장 관리자(또는 대리인), 지자체 담당자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진 이 20여 개의 시장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외에는 전 화, 이메일 및 팩스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상인들의 출시 및 상거 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8개 시장에서

4 다만 본 조사와 조사 목적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대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127명의 상인을 대상으로 연구진이 현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 로 시장이용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방문자를 대상으로 현지조사 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일반소비자, 관광형 소비자, 판매농가로 구분하 였으며, 총 19개 시장에서 700명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용자 조사를 위해 (주)엠브레인에 면접조사를 위탁하였다.

정기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관련한 참고문헌이 매우 적어 원외 전문 가인 지역문화연구소 정승모 박사에게 원고를 의뢰하였다. 이 원고는 산재 되어 있는 정기시장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관련한 사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서, 본 연구에서 관련 부분에 대한 사례 등을 제시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이 연구는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량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시장의 규모 등 에 의해 시장을 유형화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장의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별 영향 정도를 계측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장 간 연계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응용하였다.

1970년대와의 비교를 위해 당시 정기시장에 관한 센서스 겸 종합연구서 인 김성훈 등(1977)을 활용하였다.

그림 1. 연구추진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