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인지도

Ⅲ.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 및 수행 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2개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개의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출 하 였으며 최종적으로 135명이었다.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 2. 응급환자 직접 간호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자 제외

3. 임상경력 3개월 미만인 자 제외

본 연구의 표본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 검 정력 .80 효과크기 .15, 예측요인 9개로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대상자 수를 산 출한 결과 119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143명을 대 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140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7.9%이었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5부를 제외한 총 135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C. 연구 도구

1.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박현희(2013)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하여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문정은(2015)이 수정ㆍ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10문항으로 각 문항 은 Likert 7점 척도로 ‘매우 아니다(1점)’, ‘대체로 아니다(2점)’, ‘약간 아니다(3 점)’, ‘그저 그렇다(4점)’, ‘약간 그렇다(5점)’, ‘대체로 그렇다(6점)’, ‘매우 그렇다 (7점)’로 부정형 질문으로 구성된 4번 문항은 측정 점수를 역전환 하여 총점을 선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 인식이 긍정적 임을 의미한다.

문정은(20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5이었으며, 김 순옥과 라진숙(2018)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9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6이었다.

2.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 인지도는 김봉희(2003)가 임상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를 측 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73문항)를 홍문희(2015)가 현행 감염관리지침(대한병 원감염관리 학회, 2011;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2012)을 토대로 의료기관 상급 종합병원용 인증조사기준(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요구 하는 것으로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37문항 6개 영역으로 손 위생(9문항), 혈관 내 카테 터 감염관리(9문항), 요로감염관리(7문항), 폐렴관리(5문항), 격리(4문항), 소독 멸균관리(3문항)로 분류되어 있다. 각 문항의 인지도는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중요하지 않다(1점)’, ‘중요하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중요하다(4점)’, ‘매 우 중요하다(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인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홍문희(20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7이었으며, 김 소영(2019)의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5이었다.

3. 감염관리 수행도

감염관리 수행도는 김봉희(2003)가 임상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측 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73문항)를 홍문희(2015)가 현행 감염관리지침(대한병 원감염관리 학회, 2011;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2012)을 토대로 의료기관 상급 종합병원용 인증조사기준(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요구 하는 것으로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37문항 6개 영역으로 손 위생(9문항), 혈관 내 카테 터 감염관리(9문항), 요로감염관리(7문항), 폐렴관리(5문항), 격리(4문항), 소독 멸균관리(3문항)로 분류되어 있다. 각 문항의 수행도는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하지 않는다(1점)’, ‘하지 않는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게 한다(4점)’, ‘항상 그렇게 한다(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홍문희(20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이었으며, 김 소영(2019)의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3이었다.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19년 12월 23일부터 2020년 1월 14일까지 총 23일간에 거쳐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개의 지역응급의료센터에 근무 중인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자가 해당 병원 간호부에 방문하거나 이메일을 보내어 연구의 목적과 조사내용을 설명한 후 승인을 받아 해당 병원의 응급실 수간호사의 협조로 설문 회수 상자를 비치하고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 설명문에 적힌 연구 내용을 읽고 동의한

간호사가 자기기입 방식하에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지를 작성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E.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윤리적 고려를 위해 A 대학교의 기관 생명 윤리 심의위원회의 승인(승인번호: AJIRB-SBR-SUR-19-489)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설문지에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연구 참여의 철회 가능성 및 철회 시 불이익의 부재, 비밀 보장 등을 기술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과 익명성 보장을 위하여 설문 봉투를 밀봉하여 설문 회수 상자에 넣는 방식으로 수거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익명성과 자료의 비밀보장을 위하여 번호를 부여한 후 관리하였으며, 조사한 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와 코딩 된 자료는 연구자 1인만이 접근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컴퓨터에 보관 및 관리 하였다. 보관한 설문지는 잠금장치가 있는 보관함에 연구자가 직접 3년간 보관 후 안전하게 폐기한다.

F.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 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며, 대상 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G.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지역의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 므로 연구결과를 전체 응급실 간호사로 확대하여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 다. 또한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을 직접 관찰하여 조사한 것이 아니라 자가 보고식 설문을 활용한 연구방법으로 실제 수행도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 기 때문에 결과를 해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8.53(±4.98)세였으며, 25∼30세 미만이 40.7%(55명)로 가 장 많았으며, 25세 미만은 23.7%(32명), 30∼35세 미만은 21.5%(29명), 35세 이 상은 14.1%(19명)이었다. 최종학력은 4년제 간호대 졸업이 51.5%(69명)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이상 졸업 6.7%(9명), 3년제 간호대 졸업이 5.2%(7명)였다. 결 혼 상태는 미혼이 81.5%(110명), 기혼이 18.5%(25명)였다. 근무경력은 평균 5.09년(61.11±52.88개월)으로 3년 미만인 경우가 47.4%(64명)로 가장 많았으며, 5년∼10년 미만이 21.5%(29명), 10년 이상이 17%(23명), 3∼5년 미만이 14.1%(19명)이었다. 근무 기관의 형태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68.9%(93명)로 지 역응급의료센터 31.1%(42명)보다 많았다. 감염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 상자는 94.1%(127명)로 감염관리 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 5.9%(8 명)보다 많았으며, 병원 내 감염관리 활동 지침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있다고 응 답한 경우는 96.3%(130명)로 높게 나타났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및 조직문화와 인지도

1.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대상자의 감염 관리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51±0.38점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격 리 영역이 4.80±0.3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소독멸균관리 영역이 4.68±0.49점, 폐렴관리 영역이 4.65±0.46점, 손 위생 영역이 4.44±0.46점, 요로감 염관리 영역이 4.42±0.50점,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이 4.37±0.5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2>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기술통계

(N=135)

영역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수행도 4.51±0.38 3.30 5.00 1-5

격리 4.80±0.39 3.25 5.00 1-5

소독멸균관리 4.68±0.49 3.00 5.00 1-5

폐렴관리 4.65±0.46 3.20 5.00 1-5

손 위생 4.44±0.46 3.22 5.00 1-5

요로감염관리 4.42±0.50 3.00 5.00 1-5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4.37±0.56 2.11 5.00 1-5

2.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감 염관리 조직문화 정도는 총점 70점 만점에 55.59±7.84점, 평점 평균 7점 만점에 5.56±0.78점이었다. 감염관리 조직문화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병원 의 감염관리지침을 준수하는 것은 부서의 당연한 업무이다.’(6.46±0.78점)였으며,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던 항목은 ‘감염관리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다는 것을 알 았을 때 부서에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한다.’(5.02±1.35점)였다.

<표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기술통계

(N=135)

영역 총점

평균±표준편차

평점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조직문화 55.59±7.84 5.56±0.78 32 70 10-70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에 대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대상자의 감염 관리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66±0.36점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격 리 영역이 4.84±0.35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소독멸균관리 영역이 4.77±0.44점, 폐렴관리 영역이 4.74±0.40점, 손 위생 영역이 4.70±0.38점,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이 4.60±0.49점, 요로감염관리 영역이 4.49±0.52점 순이었 다.

<표 4>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 기술통계

(N=135)

영역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인지도 4.66±0.36 3.54 5.00 1-5

격리 4.84±0.35 3.00 4.90 1-5

소독멸균관리 4.77±0.44 3.00 5.00 1-5

폐렴관리 4.74±0.40 3.40 5.00 1-5

손 위생 4.70±0.38 3.44 5.00 1-5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4.60±0.49 2.56 5.00 1-5

요로감염관리 4.49±0.52 3.00 5.00 1-5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 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는 <표 5>와 같다. 연령(F=0.78, p=.510), 최종학력(F=0.09, p=.915), 결혼 상태(t=-0.06, p=.949), 근무경력(F=1.62, p=.188), 근무 기관 형태(t=1.88, p=.062), 감염관 리 교육 여부(t=-0.62, p=.537), 감염관리 지침서 존재 여부(t=0.76, p=.450) 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수 차이

D.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 관관계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는 <표 6>과 같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인지도(r=.34,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는 <표 6>과 같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인지도(r=.34, p<.001)와 양의 상관관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