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이란 입원, 외래진료 를 포함하여 의료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하며, 환자와 병원근무자,

는 요인으로(De Bono et al., 2014) 감염관리 조직문화란 감염관리 수행에 대해

등, 2015; 김현희, 2017)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응급실 간호사를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표준주의지침 수행의 관계(김현희, 2018), 감염관리 인지도와 감염관리 수행도(김소영, 2019)에 대한 연구가 있었 다.

국외의 경우 주로 종합병원 전체 간호사(Asadollahi et al., 2015; Sharif et al., 2016; Marques et al., 2017; Nematian et al., 2017)나 간호 대학생(Atalla et al., 2016; Sundal et al., 2017)을 대상으로 손 위생이라는 감염관리 수행의 일부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최근 신종 감염병의 출현으로 감염관리 실천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감염관 리 수행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것 으로 생각되나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조직문화를 포함한 감염관 리 인지도와 수행도의 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상태로 이에 대한 추 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조직문화 및 인지 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 시키고, 궁극적으로 의료관련감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응급실 감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 지도와 수행도를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한다.

2.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 다.

4.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C. 용어의 정의

1. 감염관리 조직문화

1) 이론적 정의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조직 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 신념, 행동방식으로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양식, 규범과 기 대를 지각하는 정도로 감염관리 수행에 대해 개인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의 정도를 말한다(문정은, 2015).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감염관리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박현희(2013)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하여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조직문화 를 측정하기 위해 문정은(2015)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 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 인식이 긍정적임을 의 미한다.

2. 감염관리 인지도

1) 이론적 정의

감염관리 인지도는 이미 알고 있는 감염관리 지식에 대하여 중요하다 고 생각하는 주관적인 정도를 말한다(김혜정, 2000).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감염관리 활동의 주요항목인 6가지 영역(손 위생,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요로감염관리, 폐렴관리, 격리, 소독멸균관리)에 대한

김봉희(2003)의 도구를 홍문희(2015)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인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 감염관리 수행도

1) 이론적 정의

감염관리 수행도는 병원감염관리를 위하여 실제로 수행하고 있다고 생 각하는 정도를 말한다(최선주, 1998).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감염관리활동의 주요항목인 6가지 영역(손 위생,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요로감염관리, 폐렴관리, 격리, 소독멸균관리)에 대한 김봉희(2003)의 도구를 홍문희(2015)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Ⅱ. 문헌고찰

임지고 이끌 수 있는 부서의 체계와 운영 규정이 표준주의 지침 수행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Quan et al., 2015), 동료들의 지원과 팀워크가 표준 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ozembojm et al., 2015).

Brewster와 Dixon-Woods(2016)의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수행을 위한 구성원들 간의 상호적인 협력과 규범은 감염관리 수행 활동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해당하는 감염관리를 위한 재료와 장비의 물질적 지원이 충분하고, 적절한 감시와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조직문 화는 의료관련감염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Zingg et al., 2015).

국내의 연구에서도 긍정적인 조직문화는 표준주의 지침을 수행하는데 주 요 요인이며(심순아, 2018; 김현희, 박형란, 2019), 감염관리 활동에 대해 조직문 화 인식이 긍정적일 때 간호사의 감염관리 활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순옥, 라진숙, 2018). 또한 최성애(2019)의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조직문 화 인식이 높다는 것은 감염관리 지침을 수행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감염예방을 위한 수행도 향상을 위해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와 관련된 감염관리 수행 정도를 조사 및 분석하는 연구는 긍정 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

B.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인지도

26∼30세 미만이 31∼35세 미만 보다 수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013) 교육을 통한 감염관리 인지도 향상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김순옥, 라 진숙, 2018).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효과적인 의료관련감염관리를 위해서는 병원 의 지지적인 환경 체계 마련(이덕자 등, 2015)과 더불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식 교육을 강화하면서 계속적인 교육과 훈련은 물론 체계적인 평 가와 감시 및 피드백 등을 통한 인지도를 강화시켜야 한다(이선주, 2015). 따라 서 응급실 간호사의 체계적인 감염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감염관리 인지 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향상시키는 전략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Ⅲ. 연구방법 A.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 및 수행 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B.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2개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개의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응급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출 하 였으며 최종적으로 135명이었다.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 2. 응급환자 직접 간호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자 제외

3. 임상경력 3개월 미만인 자 제외

본 연구의 표본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 검 정력 .80 효과크기 .15, 예측요인 9개로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대상자 수를 산 출한 결과 119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143명을 대 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 140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7.9%이었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5부를 제외한 총 135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C. 연구 도구

1.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박현희(2013)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하여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문정은(2015)이 수정ㆍ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10문항으로 각 문항 은 Likert 7점 척도로 ‘매우 아니다(1점)’, ‘대체로 아니다(2점)’, ‘약간 아니다(3 점)’, ‘그저 그렇다(4점)’, ‘약간 그렇다(5점)’, ‘대체로 그렇다(6점)’, ‘매우 그렇다 (7점)’로 부정형 질문으로 구성된 4번 문항은 측정 점수를 역전환 하여 총점을 선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 인식이 긍정적 임을 의미한다.

문정은(20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85이었으며, 김 순옥과 라진숙(2018)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9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86이었다.

2.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 인지도는 김봉희(2003)가 임상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를 측 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73문항)를 홍문희(2015)가 현행 감염관리지침(대한병 원감염관리 학회, 2011;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2012)을 토대로 의료기관 상급 종합병원용 인증조사기준(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요구 하는 것으로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37문항 6개 영역으로 손 위생(9문항), 혈관 내 카테 터 감염관리(9문항), 요로감염관리(7문항), 폐렴관리(5문항), 격리(4문항), 소독 멸균관리(3문항)로 분류되어 있다. 각 문항의 인지도는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중요하지 않다(1점)’, ‘중요하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중요하다(4점)’, ‘매 우 중요하다(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인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홍문희(2015)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7이었으며, 김 소영(2019)의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95이었다.

3. 감염관리 수행도

감염관리 수행도는 김봉희(2003)가 임상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측 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73문항)를 홍문희(2015)가 현행 감염관리지침(대한병 원감염관리 학회, 2011;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 2012)을 토대로 의료기관 상급 종합병원용 인증조사기준(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14)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요구 하는 것으로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도구의 총 문항은 37문항 6개 영역으로 손 위생(9문항), 혈관 내 카테

본 도구의 총 문항은 37문항 6개 영역으로 손 위생(9문항), 혈관 내 카테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