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8.53(±4.98)세였으며, 25∼30세 미만이 40.7%(55명)로 가 장 많았으며, 25세 미만은 23.7%(32명), 30∼35세 미만은 21.5%(29명), 35세 이 상은 14.1%(19명)이었다. 최종학력은 4년제 간호대 졸업이 51.5%(69명)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이상 졸업 6.7%(9명), 3년제 간호대 졸업이 5.2%(7명)였다. 결 혼 상태는 미혼이 81.5%(110명), 기혼이 18.5%(25명)였다. 근무경력은 평균 5.09년(61.11±52.88개월)으로 3년 미만인 경우가 47.4%(64명)로 가장 많았으며, 5년∼10년 미만이 21.5%(29명), 10년 이상이 17%(23명), 3∼5년 미만이 14.1%(19명)이었다. 근무 기관의 형태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68.9%(93명)로 지 역응급의료센터 31.1%(42명)보다 많았다. 감염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대 상자는 94.1%(127명)로 감염관리 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한 대상자 5.9%(8 명)보다 많았으며, 병원 내 감염관리 활동 지침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있다고 응 답한 경우는 96.3%(130명)로 높게 나타났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B.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및 조직문화와 인지도

1.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대상자의 감염 관리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51±0.38점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격 리 영역이 4.80±0.3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소독멸균관리 영역이 4.68±0.49점, 폐렴관리 영역이 4.65±0.46점, 손 위생 영역이 4.44±0.46점, 요로감 염관리 영역이 4.42±0.50점,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이 4.37±0.5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표 2>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기술통계

(N=135)

영역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수행도 4.51±0.38 3.30 5.00 1-5

격리 4.80±0.39 3.25 5.00 1-5

소독멸균관리 4.68±0.49 3.00 5.00 1-5

폐렴관리 4.65±0.46 3.20 5.00 1-5

손 위생 4.44±0.46 3.22 5.00 1-5

요로감염관리 4.42±0.50 3.00 5.00 1-5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4.37±0.56 2.11 5.00 1-5

2.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상자의 감 염관리 조직문화 정도는 총점 70점 만점에 55.59±7.84점, 평점 평균 7점 만점에 5.56±0.78점이었다. 감염관리 조직문화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던 항목은 ‘병원 의 감염관리지침을 준수하는 것은 부서의 당연한 업무이다.’(6.46±0.78점)였으며,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던 항목은 ‘감염관리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다는 것을 알 았을 때 부서에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한다.’(5.02±1.35점)였다.

<표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기술통계

(N=135)

영역 총점

평균±표준편차

평점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조직문화 55.59±7.84 5.56±0.78 32 70 10-70

3.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에 대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대상자의 감염 관리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66±0.36점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격 리 영역이 4.84±0.35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소독멸균관리 영역이 4.77±0.44점, 폐렴관리 영역이 4.74±0.40점, 손 위생 영역이 4.70±0.38점,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이 4.60±0.49점, 요로감염관리 영역이 4.49±0.52점 순이었 다.

<표 4> 대상자의 감염관리 인지도 기술통계

(N=135)

영역 평균±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참고범위

감염관리 인지도 4.66±0.36 3.54 5.00 1-5

격리 4.84±0.35 3.00 4.90 1-5

소독멸균관리 4.77±0.44 3.00 5.00 1-5

폐렴관리 4.74±0.40 3.40 5.00 1-5

손 위생 4.70±0.38 3.44 5.00 1-5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4.60±0.49 2.56 5.00 1-5

요로감염관리 4.49±0.52 3.00 5.00 1-5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 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는 <표 5>와 같다. 연령(F=0.78, p=.510), 최종학력(F=0.09, p=.915), 결혼 상태(t=-0.06, p=.949), 근무경력(F=1.62, p=.188), 근무 기관 형태(t=1.88, p=.062), 감염관 리 교육 여부(t=-0.62, p=.537), 감염관리 지침서 존재 여부(t=0.76, p=.450) 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수 차이

D.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 관관계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는 <표 6>과 같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인지도(r=.34, p<.001)와 양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도(r=.39, p<.001)와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r=.64, p<.001)는 강한 양 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식이 긍정 적일수록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염관리 인지도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관관계

(N=135)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 수행도

r(p) r(p) r(p)

감염관리 조직문화 1

감염관리 인지도 .34(<.001) 1

감염관리 수행도 .39(<.001) .64(<.001) 1

E.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먼저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한 결과 Durbin-Watson 통계량이 1.752로 2에 가까워 자기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공차한계가 각 .88로 0.1이상이었고,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도 1.13으로 10보다 작아 모든 독 립변수의 다중공선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Cook’s D 통계량 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최대값이 0.09로 1.0 이상인 값이 없어서 극단치 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잔차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의 가정도 만족하여 회귀분석의 가정은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감염관리 수행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인지도를 독립변수로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변수들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43%를 설명하였 다. 감염관리 수행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염관 리 인지도(β=.57, p<.001)와 감염관리 조직문화(β=.19, p=.007)로 나타났 다.

<표 7>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35)

영향요인 B S.E β t p

감염관리 조직문화 .09 .03 .19 2.74 .007

감염관리 인지도 .61 .07 .57 8.18 <.001

R²= .44 Adjusted R²= .43 F=50.85 p<.001

F. 추가분석

1. 대상자의 하위항목별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점수 차이

대상자의 하위항목별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의 점수 차이는 <표 8>과 같다.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를 나타낸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손 위생 영역이 0.26±0.47점으로 인지도와 수행도의 차이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 0.23±0.48점, 폐렴관리 영역 0.09±0.38점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를 나타 낸 하위 항목은 ‘환자 주변(모니터 조작 등)접촉 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0.53±0.85점, ‘말초정맥관 주사부위에 삽입한 날짜와 시간을 기입한다.’

0.53±1.10점 순으로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표 8> 대상자의 하위항목별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점수 차이

(N=135)

항 목 인지도 수행도

t p

M±SD M±SD

손 위생 4.70±0.38 4.44±0.46 6.51 <.001

1.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된 경우는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4.83±0.47 4.76±0.46 1.68 .095 2. 아포를 생성하는 균(C.difficile 등)은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4.75±0.57 4.70±0.49 1.02 .309

3. 장갑 착용과 상관없이 손 위생을 한다. 4.65±0.58 4.41±0.70 3.31 .001

4. 환자 접촉 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67±0.53 4.27±0.70 6.24 <.001 5. 청결, 무균처치 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80±0.47 4.50±0.62 5.87 <.001 6. 체액 노출 위험이 있은 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85±0.43 4.71±0.54 2.98 .003 7. 환자 접촉 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73±0.54 4.47±0.63 4.50 <.001 8. 환자 주변(모니터 조작 등) 접촉 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49±0.67 3.96±0.81 7.26 <.001 9. 동일한 환자라도 오염 부위에서 청결한 부위로 이동 시 손 위생을

시행한다. 4.54±0.70 4.18±0.78 4.55 <.001

(N=135)

항 목 인지도 수행도

t p

M±SD M±SD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4.60±0.49 4.37±0.56 5.61 <.001

10. 말초 정맥관 주사 부위에 삽입한 날짜와 시간을 기입한다. 4.41±0.82 3.88±1.19 5.64 <.001 11. 말초 정맥관은 72~96시간 간격으로 교환한다. 4.67±0.60 4.49±0.71 3.04 .003 12. 중심 정맥관 삽입부위의 이상 여부(부종, 발적 등)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4.74±0.52 4.48±0.68 5.04 <.001

13. 중심 정맥관 거즈 드레싱은 2일마다, 투명필름 드레싱은 7일마다

교환한다. 4.56±0.64 4.38±0.79 2.97 .004

14. 중심 정맥관 드레싱의 상태(부착상태, 건조상태 등)를 기록한다. 4.59±0.63 4.44±0.73 2.62 .010 15. 주사부위를 소독한 후 다시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4.67±0.57 4.42±0.72 4.63 <.001 16. 3-way로 주사 시 주입구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한다. 4.53±0.70 4.19±0.89 4.92 <.001 17. 혈액, 혈액산물, 지질을 주입한 수액 세트는 24시간 이내 교환

한다. 4.67±0.60 4.58±0.67 1.71 .090

18. 일반적인 수액 세트는 96시간 이내 교체한다. 4.59±0.78 4.50±0.79 1.40 .164

(N=135)

항 목 인지도 수행도

t p

M±SD M±SD

요로감염관리 4.49±0.52 4.42±0.50 1.85 .063

19. 소변 백은 항상 방광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4.82±0.42 4.81±0.44 0.22 .828 20. 유치 도뇨관부터 소변 백까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4.62±0.77 4.64±0.70 -0.27 .790 21. 소변 백을 비울 시 개인용 수집 용기를 사용한다. 4.42±0.81 4.17±1.09 3.33 .001 22. 도뇨관 삽입 후 점막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잘 고정한다. 4.52±0.64 4.53±0.69 -0.12 .903 23. 소변 백을 비운 후 소변 백 입구를 소독제로 닦는다. 4.36±0.74 3.95±1.10 4.44 <.001 24. 주기적으로 도뇨관을 교체할 필요는 없으며 감염의 증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 교체한다. 4.07±1.25 4.19±10.4 -1.67 .097

25. 적은 양의 소변 검체가 필요한 경우 채취 부위(port)를 소독 후

주사기를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수집한다. 4.65±0.56 4.64±0.59 0.25 .804

(N=135)

항 목 인지도 수행도

t p

M±SD M±SD

폐렴관리 4.74±0.40 4.65±0.46 2.82 .006

26. 흡인 시 장갑을 착용한다. 4.73±0.51 4.77±0.50 -1.03 .305

27. 흡인 전, 후 손 위생을 시행한다. 4.77±0.44 4.62±0.66 2.64 .009

28. 흡인 시 일회용 멸균 카테터를 사용한다. 4.84±0.36 4.81±0.46 0.94 .348 29. 금기가 아닌 경우 흡인 예방을 위하여 상체를 30∼45도 올린다. 4.64±0.54 4.48±0.81 2.36 .020 30. 인공기도 삽입 및 절개부위의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4.70±0.55 4.54±0.64 3.34 .001

격리 4.84±0.35 4.80±0.39 1.63 .105

31. 전파 예방을 위해 격리환자 및 보호자에게 격리 교육을 시행한다. 4.77±0.46 4.79±0.49 -0.32 .753 32. 공기주의(결핵 등) 격리병실에 출입 시 N95 마스크를 착용한다. 4.89±0.36 4.81±0.45 2.55 .011 33. 접촉주의 격리병실에 출입 시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4.84±0.42 4.79±0.49 1.51 .127 34. 접촉주의 환자 물품은 일회용이나 그 환자만 사용한다. 4.87±0.39 4.82±0.40 1.62 .109

소독멸균관리 4.77±0.44 4.68±0.49 2.54 .012

35. 멸균/소독 물품은 오염 물품과 분리 보관한다. 4.81±0.48 4.77±0.49 1.23 .222 36. 멸균 물품은 선입선출(먼저 소독된 것을 먼저 사용)한다. 4.73±0.55 4.66±0.60 1.52 .132 37. 멸균 물품 사용 전 유효기간을 확인한다. 4.76±0.48 4.61±0.67 2.91 .004

Ⅴ. 논의

원의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윤형진, 오준걸, 2015) 타 부서에 비해 감염관리 수

지속적인 감시와 평가가 줄어들면서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평점 평균 5.56점(총점 55.59점)이었으며,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간호사의 행동 개선을 끌어낼 수 있는 실질적인 감염관리를 활성화하는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감 염관리 인지도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며, 감염관리 인지도는 응 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병원 내에 긍정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 형성과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높여야 하며,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감염관리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감 염관리 인지도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며, 감염관리 인지도는 응 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병원 내에 긍정적인 감염관리 조직문화 형성과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높여야 하며, 이러한

관련 문서